• 제목/요약/키워드: non-face-to-face

검색결과 1,374건 처리시간 0.032초

지역사회 노인을 위한 대면과 비대면 운동프로그램이 운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xercise Programs on Exercis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 이다솔;이한숙;김래현;김예슬;김채윤;박범식;박병현;신미지;오은주;우수민;유지민;이주연;정성흠;정효규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7-76
    • /
    • 2023
  • PURPOSE: The study compared the satisfaction of the exercise program in a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manner with the same exercise program.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or 57 seniors over 65 years of age. After conducting 30 minutes of the same exercise program face-to-face on the first visit and non-face-to-face on the second visit,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The survey data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using SPSS 26.0 (SPSS Inc, IBM, USA).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type of exercise program. The Spearman's Rank Correlation was conducted to correlate the satisfac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education level. RESULTS: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face-to-face program was higher than the non-face-to-face exercise programs. All three satisfaction items in face-to-face exercise programs were higher than in non-face-to-face exercise programs (p < .05). The main source of dissatisfaction in the case of face-to-face exercise programs was having a good relationship with people for face-to-face and a 'lack of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non-face-to-face. CONCLUSION: The elderly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face-to-face exercise than in non-face-to-face exercis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accurate satisfaction comparison was possible by conducting the same exercise program on the same subject for a relatively short time, and through this, the development of an exercise program was suggested.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Face-to-face Physical Therapy and Non-face-to-face Physical Therapy in Individuals With Rounded Shoulder

  • Young-ji Cho;Min-je Kim;Cho-won Park;Ye-bin Cho;In-A Heo;Su-jin Kim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0-58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whether non-face-to-face physical therapy would have similar exercise effects to face-to-face physical therapy. Hence, we developed an approach for patients, unable to visit hospitals due to circumstance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to conduct physical therapy comfortably at home. Object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a face-to-face and a non-face-to-face physical therapy treatment on improving a rounded shoulder posture. Methods: The participants with rounded shoulde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face-toface group (n = 15) and a non-face-to-face group (n = 15), and each group performed exercises for four weeks. Th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the bare hands exercise, Thera-Band exercise, and foam roller exercise. The participants in the face-to-face group came to a designated place to perform their exercises, and those in the non-face-to-face group performed the exercises at their own home using Google Meet (Google). Acromial height, total scapular distance (TSD), shoulder pain and dysfunction index (SPADI), and pectoralis minor thickness were measur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R Statistical Software (R Core Team), and a normality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hapiro-Wilk test.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ace-to-face and the non-face-toface groups (p > 0.05). When comparing th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s, both the face-to-face and the non-face-to-fac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romial height, SPADI, and pectoralis minor thickness (p < 0.05), and both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SD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s (p > 0.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porting that shoulder stabilization exercise and pectoralis minor stretching training improves round shoulders.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both the face-to-face and the non-face-to-face physical therapy treatments had therapeutic effects.

코로나19 상황에서 재난분야 교수자를 대상으로 한 비대면 교육의 개선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Survey of Improvement of Non Face to Face Education focused on Professor of Disaster Management Field in COVID-19)

  • 박진찬;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640-654
    • /
    • 2021
  • 연구목적: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국가재난상황에서 정상적인 교육운영이 어려웠다. 비대면 교육은 기존의 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지만 동일한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기란 쉬운 일은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분야 교수자가 비대면교육의 전반적인 운영과 진행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서 비대면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연구방법: 비대면 실시간 교육을 크게 수업이전(Pre-class), 수업 중(In-class), 수업 이후(Post-class) 로 분류하여 교수자의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개선점을 파악 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조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이전에는 교수자를 위한 비대면 교육공간을 제공하는 것도 고려해볼만 하고 비대면 교육장비와 시스템에 대한 사전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또한 수업에 관한 공지를 충분히 함으로써 교육이 원활하게 운영 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실습교육을 위한 비대면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비대면 수업 중에는 교수자와 학습자 그리고 학습자간의 의사소통이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토론식 수업을 적극 활용하여 학습자의 교육 참여를 이끌고,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교육효과를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비대면 수업이후에는 영상기록물로 인한 사생활 보호에 관한 정책을 마련해 사전에 교수자의 사생활을 보호해야 하고 교육 자료에 대한 저작권침해 부분 역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고안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인터뷰 결과를 살펴보면 비대면 교육의 구성요소인 콘텐츠에서는 비대면 교육이 교육 설계부터 비대면 교육에 맞는 교육 인원, 내용, 커리큘럼에 대한 세밀한 계획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시스템에서는 교수자가 비대면 수업을 하기 전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교육을 통해서 교수가 프로그램의 기능을 충분히 익히고 숙지할 수 있는 시간을 줄 필요가 있고 비대면 교육 전 사전점검을 철저히 하고 만일의 문제에 대비하여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helpdesk를 운영을 할 필요가 있다.

비대면진료 실행을 위한 법적 쟁점 (Legal Issues for the Implementation of Non-Face-to-Face Treatment)

  • 권오탁
    • 의료법학
    • /
    • 제23권3호
    • /
    • pp.47-87
    • /
    • 2022
  •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으로 인해 비대면진료가 일시적으로 허용되었고 지속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현행 「의료법」은 의사와 의료인 간의 원격의료만 허용하고 있다. 비록 법률해석을 통해 의사와 환자 간의 비대면진료가 허용된다는 의견도 있지만 전체적인 법률체계를 고려할 때 허용되지 않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기술의 발달과 감염병 출현 시기의 단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앞으로 대면진료만을 고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비대면진료가 이뤄질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고 제도화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필요하며, 또 중요하다. 이를 위해 앞으로 논의되어야 할 법률적 쟁점들을 미리 살펴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비대면진료를 구체적으로 규율하기 위해서는 우선 비대면진료의 범위와 대상 질환 그리고 시행 주체가 명확해야 한다. 또한 비대면진료가 시행되기 위해서는 구조적으로 시설과 장비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고 기능적으로는 해당 시설과 장비를 통해 의사와 환자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정보를 실시간 교환할 수 있어야 하고 비대면진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관리체계가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이처럼 비대면진료를 시행하기 위해 새롭게 정비되어야 할 내용뿐만 아니라 비대면진료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책임의 문제와 비용의 문제도 구체적으로 정리될 필요가 있는 법적 쟁점이다.

A study on average changes in college students' credits earned and grade point average according to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COVID-19 situation

  • Jeong-Man, 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167-175
    • /
    • 2023
  • 코로나19 상황에서 대면과 비대면 수업 형태에 따른 대학생의 취득학점과 성적 평점 평균점수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연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액세스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성적데이터를 추출하였다. 연구대상으로 3학기 동안에 15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취득학점 점수와 평점평균값, 중간고사, 기말고사, 과제물 점수, 출석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독립표본 t검정 통계처리를 하였다. 대면반 학생의 취득학점과 평균평점 점수가 더 우수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그 결과 대면반 학생들이 비대면반 학생들의 취득학점 보다 4.39점 높게 나타났고, 평균평점 값이 0.6642점 높게 나타남을 실험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비교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대면반 수업은 평균 21.22, 비대면반 수업은 16.83점으로 비대면반보다 대면반수업의 학점 취득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 점수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대면 학생들의 성적이 비대면 학생의 성적보다 전반적으로 더 높았고, 수업에 참여도가 대면 학생들이 더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 Survey of Satisfaction of Physical Therapy Course according to Teaching Ways after COVID-19

  • Lee, Han Do;Lee, Ji Hong;Kwon, Hyeok Gyu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4권4호
    • /
    • pp.135-139
    • /
    • 2022
  • Purpose: We investigated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therapy course according to teaching ways after COVID-19. Methods: 336 students in major of physical therapy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subjects in the national examination,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6 subjects in the basic field of physical therapy, 2 subjects in the field of physical therapy diagnostic evaluation, 8 subjects in the field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and 3 subjects in other fields. The Likert scale was used. Results: In the basic field of physical therapy, all subjects were shown the high score of the satisfactory in face-to-face classes except for the public health and medical law compared to the non-face-to-face classes and mixed classes. Regarding the field of physical therapy diagnostic evaluation, the principle of diagnostic evaluation was shown the high score of the satisfactory in face-to-face classes compared to the non-face-to-face classes and mixed classes. In the field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all subjects were shown the high score of the satisfactory in face-to-face classes compared to the non-face-to-face classes and mixed classes.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face-to-face classes in most of subjects was shown the high score of satisfactory. We believed that our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hysical therapy major learning methods.

코비드-19로 인한 대학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유형: Q 방법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Types of students' attitudes toward non-face-to-face classes in universities caused by Covid-19: Focusing on the Q methodological approach)

  • 최원주;서상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223-231
    • /
    • 2022
  • 우리의 일상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온 코비드-19는 대학 교육에도 역시 큰 변화를 가져왔다. 전통적인 대면 수업방식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변경되어 수업이 이루어지면서 교수자와 학생 모두 적응에 애를 먹는 모습을 보였고,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학력 격차의 발생 등의 문제 역시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코비드-19로 인한 대학의 비대면 수업에 대해 학생들이 어떠한 태도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대학생들이 비대면 수업에 대해 가지고 있는 주관적 인식의 유형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향후 비대면 수업방식의 개발과 개선에 있어 참고할 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30명의 P 표본과 34개의 Q 표본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5개의 유형이 발견되었다. 첫째, 학습의 효율성 중시형, 둘째, 수업의 참여와 소통 중시형, 셋째, 비대면 수업의 적극적 수용과 활용형, 넷째, 원격 시스템과 장비 작동 오류로 인한 불만형, 다섯째, 상황에 따른 수동적 대응형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보았을 때 각 유형의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을 위한 교육 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비대면 수업, 특히 녹화 강의가 갖는 학습의 효율성 측면에서의 장점은 분명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대면 수업이 대학에서 전면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수업에서 동영상 녹화 강의를 보완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학생들의 학습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COVID-19 대유행 시기에 유치 치아형태학 실습을 통한 비대면 수업의 학습 효과 (Academic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Classes in Deciduous Tooth Morphology Practice during COVID-19 Pandemic)

  • 손혜지;김종성;김기민;김현정;남순현;이제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10-320
    • /
    • 2022
  • 이 연구는 유치 치아형태학 실습을 통해 비대면 수업의 학습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유치 치아형태학이라는 과목명으로 60명의 본과 1학년 학생들은 대면으로 실습수업을 받고 55명의 예과 2학년 학생들은 비대면으로 실습수업을 받았다. 5주간의 실습수업 후 학생들은 실습 과제를 제출했다. 비대면 수업의 학습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1명의 평가자가 실습 과제를 채점했고 Mann-Whitney U 검정 및 chi-square 검정을 사용하여 대면 수업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대면 수업에서 실습 점수는 77.43 ± 5.97였고 비대면 수업에서 실습 점수는 76.04 ± 5.83이었다. 유치 치아형태학 실습에서 대면 수업과 비교하여 비대면 수업의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 > 0.05). 이번 연구로 치아형태학 같은 비교적 실습 도구가 간단한 수업에서 비대면 수업이 대면 수업의 대안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암 환자 대상 설문지, 맥진기, 설진기 결과를 활용한 한열허실변증에 대한 예비 연구 (Cold-Heat and Excess-Deficiency Pattern Identification Based on Questionnaire, Pulse, and Tongue in Cancer Patients: A Feasibility Study)

  • 최유진;김수담;권오진;박효주;김지혜;최우수;고명현;하수정;송시연;박소정;유화승;정미경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1
    • /
    • 2021
  • Objectives: This pilo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greement between traditional face-to-face Korean medicine (KM) pattern identification and non-face-to-face KM pattern identification using the data from related questionnaires, tongue image, and pulse features in patients with cancer. Methods: From January to June 2020, 16 participants with a cancer diagnosis were recruited at the one Korean medicine hospital. Three experienced Korean medicine doctors independently diagnosed the participants whether they belong to the cold pattern or not, heat pattern or not, deficiency pattern or not, and excess pattern or not. Another researcher collected KM pattern related data using questionnaires including Cold-Heat Pattern Identification (CHPI), tongue image analysis system, and pulse analyzer. Collected KM pattern related data without participants' identifier was provided for the three Korean medicine doctors in random order, and non-face-to-face KM pattern identification was carried out. The kappa value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pattern identification was calculated. Results: From the face-to-face pattern identification, there were 13/3 cold/non-cold pattern, 4/12 heat/non-heat pattern, 14/2 deficiency/non-deficiency pattern, and 0/16 excess/non-excess pattern participants. In cold/non-cold pattern, kappa value was 0.455 (sensitivity: 0.85, specificity: 0.67, accuracy: 0.81). In heat/non-heat pattern, the kappa value was 0.429 (sensitivity: 0.75, specificity: 0.72, accuracy: 0.75). The kappa value of deficiency/non-deficiency and excess/non-excess pattern was not calculated because of the few participants of non-deficiency, and excess pattern. Conclusions: The agreement between traditional face-to-face pattern identification and non-face-to-face pattern identification seems to be moderate. The non-face-to-face pattern identification using questionnaires, tongue, and pulse features may feasible for the large clinical study.

비대면 교육 문제점 파악을 위한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 분석 (Big data text mining analysis to identify non-face-to-face education problems)

  • 박성재;황욱선
    • 한국교육논총
    • /
    • 제43권1호
    • /
    • pp.1-27
    • /
    • 2022
  •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만연해짐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비대면화를 시행하게 되었고, 교육 시스템 또한 급격한 비대면화로 인해 많은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계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교육환경에 맞추어 비대면 교육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성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의견들이 존재하는 소셜네트워크 빅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텍스톰(Textom), 유씨넷6(Ucinet6) 분석 도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와 관련된 키워드가 주를 이루었으며 '기사', '뉴스'등의 높은 빈도의 키워드들이 존재했다. 분석 결과 네트워크 장애 및 보안 문제와 같은 비대면 교육에 관련한 다양한 이슈들을 확인해 볼 수 있었고, 분석 이후 교육 시장의 성장과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른 비대면 교육 시스템의 방향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한 비대면 교육시의 보안 강화 필요성과 수업 방식에 대한 피드백의 필요성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