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disabled preschooler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통합학급 일반유아의 장애인식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on Changes in Conceptions of Disability by Non-Disabled Preschoolers in the Inclusive Classroom)

  • 강희연
    • 아동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23-148
    • /
    • 2006
  • In this study of the formation of concepts of inclusion by non-disabled preschoolers in inclusive classroom settings, the researcher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from March 2004 through June 2005 in a single day care center offering inclusive education in Kyung-gi Province. The non-disabled children exhibited changes in their conception of disability through interactions with disabled children. The non-disabled children could b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those who were wary of or disregarded disabled peers; those who disregarded disabled peers while helping them out; and those who actively cared for their disabled peers. Not all children went through the same developmental stages. The speed and degree of change in conception vari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

  • PDF

장애아 부모를 위한 아동학대 예방 프로그램 효과분석 (The Effect of a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 for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 안혜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63-672
    • /
    • 2004
  • Purpose: This study describes the ecological variables effect on child abuse potential and the results from a prevention program for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aiming at decreasing child abuse potential.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30 parents with disabled preschoolers attending an early education center in a community. The program consisted of handouts, small group lectures, support group meetings on understanding the disabled child-parents relationship, communication skill improvement, non-punitive discipline techniques, and influences of child abuse. A non equivalent pre-post test design was employed. Result: Ecological variables, and parenting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 abuse potential in parents with a disabled child. By regression parenting self-efficacy showed(27.1 %) child abuse potential. Both parenting self-efficacy and beliefs in corporal punishment directly related to (52.0%) child abuse potential in parents. The program was effective inbringing some positive changes on pareting self-efficacy beliefs in corporal punishment, and child abuse potential toward disabled children. However, marital discord was not significantly effected. Conclusion: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s should decrease thechild abuse potential in parents. Thus I recommend a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 development; for parents with disabled adolescents, and teachers in disabled child education.

유아의 감각처리가 적응행동 및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ory processing on adaptive and maladaptive behaviors of preschoolers)

  • 김명선;하은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81-19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장애(non-disabled) 유아에서 선별된 감각처리문제군의 적응행동과 내재화/외현화 증상 관련 부적응행동을 대조군과 비교하고 감각처리가 적응/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3-6세 어린이집에 재원하는 비장애 유아에게 단축감각프로파일과 바인랜드 2판을 실시하였고 최종 33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Pearson 상관,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감각처리는 적응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부적응 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부적응행동의 상관계수 범위가 적응행동 상관계수 범위에 비해 높았다. t-test 결과 감각처리문제군은 대조군에 비해 적응행동의 의사소통 및 사회성 관련 영역에서 유의하게 평균이 낮았고, 부적응행동의 모든 영역에서는 유의하게 평균이 높았다. 감각처리 하위요인이 적응/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설명력이 확인되었다. 비장애 유아에서도 발생하는 비정형 감각처리는 적응행동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내재화/외현화 증상 관련 부적응행동에 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라이프 케어를 위한 언어장애인의 언어치료 이용여부에 따른 특성 및 보건의료서비스 인식 비교 :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를 이용하여 (Comparisons of Awareness of Health Care Services and Characteristics in Persons with Speech-Language Disorder Related to Speech Therapy Use for Life Care : From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 of 2017)

  • 강소라;문종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49-258
    • /
    • 2019
  • 보건의료서비스는 장애인을 포함한 국민의 건강을 위해 제공되는 가장 기초적인 사회제도이다. 그러나 언어장애가 있는 사람 중 언어치료 이용여부에 따른 보건의료서비스의 차이를 알아본 연구는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언어장애가 있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언어치료 이용여부에 따른 특성과 보건의료서비스의 인식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언어장애를 가진 사람 229명을 선정하였다. 이 중 언어치료를 이용하는 자와 이용하지 않는 자를 구분하여 그들의 특성(사회인구학적 특성, 장애특성)과 보건의료서비스 인식(미충족 의료, 정부 또는 사회에서 강화해야할 보건의료 서비스)을 비교하였다. 229명의 언어장애가 있는 사람 중 언어치료를 이용하고 있는 사람은 37명(16.2%)이었다. 언어치료 이용자는 비이용자와 비교하여 나이가 젊었고, 미취학인 아동이 많았으며, 월평균 총 가구 소득이 높았으며, 장애등록유형에서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가 더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언어치료 이용자는 비이용자에 비해 미충족 의료 경험의 비율이 낮았다. 미충족 의료 이유에서 언어치료 비이용자 49명의 분포를 살펴보면 '경제적인 이유'와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13명(6.8%)과 12명(6.3%)로 1순위와 2순위를 차지하였다. 언어치료 비이용자와 이용자 모두는 정부(사회)에서 강화해야 할 보건의료서비스로 '장애관리'를 요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장애가 있는 사람의 언어치료 이용의 장벽을 낮추기 위해서 보건의료서비스의 접근성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