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dules

검색결과 1,182건 처리시간 0.033초

Hook Wire를 이용한 폐결절의 위치선정 및 생검 (Lung Biopsy after Localization of Pulmonary Nodules with Hook Wire)

  • 김진식;황재준;이송암;이우성;김요한;김준석;지현근;이정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81-686
    • /
    • 2010
  • 배경: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이 보편화되면서 기존의 단순흉부촬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작은 폐결절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렇게 발견된 폐결절중 크기가 작거나 폐실질 내부에 위치한 결절은 육안 및 촉진으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생검을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원에서는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위치선정을 시행한 후 흉강경하 폐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10년 6월까지 31명의 환자(남자 17명, 여자 14명)에서 34개의 폐결절을 대상으로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 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위치선정을 한 후, 흉강경하 폐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Hook wire의 이탈 여부, 개흉술 전환 빈도, 위치선정 후 수술 시작까지의 시간, 수술시간, 수술 후 합병증, 대상 병변의 조직학적 진단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34예 중 12예는 간유리 병변이었으며 22예는 고형의 폐결절이었다. 병변 크기의 중앙값은 8 mm (범위: 3~23 mm)였으며 병변 깊이의 중앙값은 12.5 mm (범위 1~34 mm)였다. 위치선정 후 마취 시작까지 걸린 시간의 중앙값은 86.5분(41~473분)이었으며, 수술시간의 중앙값은 103분(25~345분)이었다. 1예에서 wire의 흉강 내 이탈이 있었으나 성공적으로 목표 병변을 절제하였다. 4예에서 흉막유착으로 인해 개흉술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목표 병변을 찾지 못해 개흉술로 전환한 예는 없었다. 조직학적 진단에서 전이성 암이 15예로 가장 많았으며, 원발생 폐암 9예, 비특이적 염증소견 3예, 결핵성 염증소견 2예. 림프절 2예, 활동성 결핵 l예, 비정형 샘 증식증 1예 및 정상폐조직 1예로 보고되었다. 결론: 폐실질 내에 위치한 간유리 음영 및 폐결절의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을 위해 본원에서는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 Hook wire를 삽입하여 폐결절의 위치를 선정한 후 폐 생검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이 방법이 정확하면서 최소침습적이고 합병증 발생 및 진료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술기라고 생각한다.

뇌전이 종양의 발견에 있어서 Doble dose Gd-DTPA를 이용한 3 T MRI와 1.5 T MRI간의 비교연구 (Evaluation between 3.0 T vs 1.5 T MRI in Detection of Brain Metastasis using Double Dose Gd-DTPA)

  • 정우석;김형중;안철민;이재훈;허진;조응혁;정태섭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9권2호
    • /
    • pp.101-108
    • /
    • 2005
  • 목적: 작은 뇌전이 종양의 조기 발견은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1.5 T MRI와 3.0 T MRI 간의 크기에 따른 뇌전이 종양의 발견율을 비교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폐암으로 진단 받은 16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TNM 병기를 위해 뇌 MRI를 시행하였다. Gd-DTPA 를 2배 용량으로 투여 후, 3.0 T MRI에서 훼손경사회복획득으로 촬영하였으며 그 후 1.5 T MRI에서 T1 스핀 에코로 촬영하였다. 3명의 방사선과 전문의가 합의하여 MRI를 판독하였으며 정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3.0 T와 1.5 T MRI에서 크기에 따라 민감도, 양성 예측률,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신호 강도를 사용하여 전이 종양과 인접 조직간의 신호강도 비를 계산하였다. 결과: 162명의 환자 중 31명에서 1.5 T 또는 3.0 T MR에 뇌전이 종양이 발견되었다. 3.0 T MRI에서 143개의 종양이 발견되었으나 1.5 T MRI에서 137개의 종양이 발견되었다. 6개의 종양이 3.0 T MRI에서만 발견되었으며 크기는 모두 3 mm 미만이었다. 3.0 T MRI의 민감도, 양성 예측률, 정확도는 각각 100%, 100%, 100%이며, 1.5 T MRI에서는 각각 95.8%, 88.3%, 85.1% 이다. SI ratio는 1.5 T MRI보다 3.0 T MRI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25). 결론: Double dose Gd-DTPA를 이용한 3.0 T MRI는 3 mm미만의 뇌전이 종양을 발견하는데 있어서 1.5 T MRI 보다 우수하다.

  • PDF

LL/2 Cells접종에 의한 C57 BL/6 Mouse 폐에서의 전이과정 (Formation of Metastases in C57 BL/6 Mouse Lung)

  • 김지현;이지영;김우갑;황우익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2호
    • /
    • pp.137-147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C57 BL/6 mouse의 폐가 기원인 LL/2 cell line을 이용하여 C57 BL/6 mouse의 폐에 인위적으로 전이를 유도하여 그 과정을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형성된 암세포가 기존 폐포세포에 apoptosis를 유도하는지 여부를 in situ Apoptosis kit를 이용하여 살펴 보았다. in vitro에서 배양된 LL/2 cell과 이 LL/2 cell을 C57 BL/6 mouse 꼬리 정맥에 주사한 후 약 21일된 mouse 폐에서 관찰되는 암세포의 미세구조를 비교하면 방추형의 세포모양에서 난형 또는 구형의 모양으로 변한 것 외에 커다란 변화가 없었다. mouse 폐에서 암세포는 림프소절과 폐상피의 모세혈관주위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왕성하게 세포분열하여 커다란 암세포 덩어리를 형성하였다. 암세포 덩어리 주변의 정상 폐조직은 광학현미경 관찰에서 폐포구조가 다소 납작해졌다. 그러나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세포 자체의 손상을 볼 수 없었으며 오히려 암세포 덩어리 안에서 기존 정상 폐포세포들이 관찰 되었다. 또한 커다란 암세포 덩어리 안에서 일부의 암세포들이 apoptosis되고 있었다. 주사 후 22일에서 호중성 백혈구가 폐포와 암세포주변에서 31일은 암세포덩어리안에서 혈소판과 함께 다량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LL/w cell은 C57 BL/6 mouse의 폐에 효과적으로 전이를 일으키며 왕성한 세포분열에 의해 커다란 암세포 덩어리를 형성한다. 이 암세포 덩어리가 커지면서 기존 폐포에 물리적인 압박을 주었으나 폐상피세포에서 apoptosis를 유도하지 않았다. 그러나 아주 커다랗게 형성된 암세포 덩어리에서 일부 암세포들이 띠를 이루면서 apoptosis되고 있었는데, 이는 암세포 덩어리가 커지는 만큼 형성되어야 할 혈관형성에 장애가 생긴 결과로 생각된다.분되었다. 6. 미세동맥의 외막은 섬유모세포의 아주 가느다란 돌기들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군데군데 교원섬유들이 관찰되었다.acil을 투여하였을 경우, 초기 (4일)에는 발세포와 혈관사이막의 경우 mitomycin C 투여군에서와 비슷한 미세구조적 변화를 보였으나, 7일군에서는 거의 정상군의 소견과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콩팥토리를 비롯한 콩팥조직에 미치는 세포독성은 mitomycin C가 5-fluorouracil에 비하여 훨씬 더 강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應)된 틸라피아의 제 2차(次) 아가미엽(葉)의 미세구조(微細構造)는 적응기간(適應期間) 동안 표면이 울퉁불퉁한 특징을 나타내었고, 투과전자현미경(透過電子顯微鏡)에 의해서는 해수(海水)에 노출된 염분세포내(鹽分細胞內)에 길게 변형된 미토콘드리아가 관찰되었으며, 잘 발달된 cristae가 확인되었고, 담수(淡水)에 서식하던 개체의 염분세포(鹽分細胞)보다 그 수가 증가하였다. 이와같이 미토콘드리아가 풍부한 염분세포의 존재를 통해서 해수(海水)에 적응하는 동안 일어나는 저삼투압조절(低渗透壓調節) 작용(作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해수(海水)에 적응(適應)된 대부분의 틸라피아는 신장(腎臟)의 보우만 주머니를 가득 채운 신사구체(腎絲球體)를 가지고 있으며, 신사구체(腎絲球體)의 수축은 담수(淡水)에 적응된 개체보다 10%o, 20%o, 30%o에 적응된 개체에서 훨씬 더 많이 발생되었고, 울혈현상(鬱血現象)은 10%o보다 20%o, 30%o에 적응(適應)된 개체의 신장조직(腎臟組織)에서 더많이 발생되었다. 틸라피아의 신사구체(腎絲球體)는 담수(淡水)에서 10%o의 해수(海水)로 이주된지 14일(日) 이후에 신장(腎臟)에서 수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30%o의 해수(海水)에 적응(適應)된 틸라피아의 평균 신사구체(腎絲球體)의 면적은 담수(淡水)에

  • PDF

북극해 천해저 비구형 망가니즈단괴 내 광물종 분포 및 구조적 특성 규명을 위한 라만 분광분석 연구 (Raman Spectroscopic Study for Investig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n-bearing Minerals in Non-spherical Ferromanganese Nodule from the Shallow Arctic Ocean)

  • 이상미;구효진;조현구;김효임
    • 광물과 암석
    • /
    • 제35권4호
    • /
    • pp.409-421
    • /
    • 2022
  • 자연계에서 산출되는 망가니즈단괴 내 광물종 및 원소의 공간적 분포를 규명하는 것은 단괴의 형성 과정 중 변화하는 생성 환경 및 지화학적 조건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최근의 라만 분광분석을 이용한 연구에서 구형으로 성장한 단괴의 성장에 따른 산화망가니즈 광물종의 변화에 대해 연구한 바 있으나, 상대적으로 천해에서 획득되는 비구형 단괴 내 광물종의 분포는 자세히 연구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시베리아해 천해(수심 약 73 m)에서 산출되는 판상의 비구형 망가니즈단괴 내 서로 다른 성장 방향에서 획득된 라만 분광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단괴 내 광물종 및 해당 광물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면밀히 연구하였다. 또한 에너지분산형 X-선 분광분석(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을 통하여 단괴 내부 구조 및 부수광물의 존재에 대하여도 관찰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비구형 단괴의 내부는 중심으로 부터 외곽 방향으로 크게 핵, 철 기질부, Mn-Fe 층으로 구분되었다. Mn-Fe 층 내 서로 다른 성장 방향에서 획득된 라만 분광분석 결과는 모든 방향에 대하여, 단괴 중심부로부터 외곽부로 신호 획득위치가 옮겨감에 따라 산화망가니즈 광물의 경우 터널형 광물의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때, 단괴 내 성장 방향에 따라 구성 광물의 상대적 비율 및 구조적 특성이 크게 다르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총 3가지의 실험 방향 중, 한 방향에서 획득된 라만 분광분석 결과는, 철 수산화물의 비율이 낮고, 버네사이트나 토도로카이트와 같은 산화망가니즈 광물들의 결정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반면, 나머지 두 방향에서 획득된 신호를 분석한 결과, 산화망가니즈 광물들의 결정도가 매우 낮으며 비정질 내지는 결정도가 낮은 철 수산화물들의 비율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구형 단괴가 속성 과정으로 형성되는 동안 단일 단괴 내에서도 지화학적 조건에 차이가 있었다는 것을 지시한다. 더하여, 부수광물로서 암염이 일부 층에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단괴 내 존재하던 해수의 증발로 인해 암염 결정이 형성되었음을 지시한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라만 분광분석을 통해 비구형 단괴 내 광물종의 분포 및 구조적 특성에 대해 제시하였고 향후 본 연구 방법은 다양한 단괴 연구에 적용되어 지구물질의 지질학적 형성 과정에 대한 보다 세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폐 유상피 혈관내피종 3예 (Three cases of Pulmonary Epithelioid Hemangioendothelioma)

  • 이승현;서창균;박순효;김경찬;김민수;한승범;권건영;전영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1호
    • /
    • pp.56-65
    • /
    • 2002
  • 국내에서 폐 유상피 혈관내피종이 악성으로 진행하여 사망한 예는 1예만 보고되어 있다. 단일 폐결절이 있는 환자에서 개흉 폐절제술후 병리조직학적으로 종양세포의 유사분열과 괴사를 동반하여 악성 유상피 혈관내피종으로 진단하고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예상되는 1예와 단순 흉부 촬영상 양측 다발성 폐결절이 있는 무증상 환자에서 비디오 흉강경 폐생검으로 폐 유상피 혈관내피종을 진단 후 조직학적 및 임상적으로 악성 소견 없이 경과를 관찰 중인 1예 및 양측 폐의 다발성 결절성 병변과 늑막액을 동반하여 개흉 폐생검으로 폐 유상피 혈관내피종을 진단 후 호흡부전으로 사망한 1예의 폐 유상피 혈관내피종 3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정자기장이 MC3T3-E1 세포의 골결절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Static Magnetic Field on The Bone Nodule Formation of MC3T3-E1 Cells)

  • 김광덕;권오원;류현모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5-163
    • /
    • 1998
  • 정자기장이 MC3T3-E1 세포의 골생성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MC3T3-E1 세포를 4well 세포배양접시에 $SmCo_5$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76.4mT의 정자기장을 가한 상태에서 5일, 7일, 11일, 15일 및 21일간 배양한 후 세포의 ALP 활성도를 측정하고 Alizarin red S 염색을 통하여 골결절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dot$정자기장을 가한 군중 7일군, 11일군 및 15일군에서 MC3T3-E1세포의 ALP활성도가 대조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p<0.01) 그중 11일군에서 가장 억제효과가 많았다. $\cdot$Alizarin red S 염색을 통한 골결절 양상은 11일군까지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염색양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15일군에서 대조군은 소량의 골결절이 염색되었으며 실험군은 골결절 염색이 되지 않았으며 21일군에서는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골결절이 염색되었으나 대조군에서 약간 더 염색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 PDF

고립성 폐결절의 감별진단에서 Dynamic CT의 역할 (The Role of Dynamic CT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olitary Pulmonary Nodule)

  • 정진홍;박원종;조인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102-107
    • /
    • 2008
  • 배경 : 고립성 폐결절의 30~40%는 악성결절의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고립성 폐결절의 악성감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근 dynamic CT가 악성 감별에 많이 사용되며, 또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dynamic CT의 혈역동학적 특성들을 비교하여 고립성 폐결절의 악성 여부를 구별하는데 유용한 지표인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재료 및 방법 : 2005년 12월부터 2006년 4월까지 고립성 폐결절로 내원한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Dynamic CT에서는 조영 전, 그리고 조영제를 주입한 후 20초, 40초, 60초, 80초, 100초, 120초, 140초, 160초, 180초의 영상을 촬영하였다. 대상 환자 모두 경피세침술로 조직검사를 하였다. Levene's test를 이용하여 조직검사로 확인된 양성결절과 악성결절에서 dynamic CT의 최대조영증강, 순수조영증강, 조영증강의 기울기, 최대상대조영증강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 조직검사 결과 12명이 악성결절로 확인되었고, 7명은 양성결절로 진단되었다. 최대조영증강(p=0.787), 순수조영증강(p=0.135), 조영증강의 기울기(p=0.698)는 양성결절과 악성결절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최대상대조영증강비는 양성결절보다 악성결절이 더 높은 경향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94). 결론 : 본 연구에서는 dynamic CT에 주로 이용되는 혈역동학적 특성들로 양성결절과 악성결절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조영제를 주입한 후 영상을 좀 더 오랜시간동안 측정하였을 때 보다 정확한 연구결과를 얻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lbendazole을 이용한 뇌낭미충증(腦囊尾蟲症) 치험(治驗) 2예 (Two Cases of Cerebral Cysticercosis Treated with Albendazole)

  • 주경환;임한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6권2호
    • /
    • pp.165-171
    • /
    • 1991
  • Two patients with confirmed cerebral cysticercosis were treated with Albendazole(Zentel$^{(R)}$) at a daily dose of 1.200mg t.i.d. for 14 consecutive days and evaluated for tolerance and therapeutic effects. First case was 29 year old male, who had experience of 4 times of grand mal seizures during 1 year period before administration in Korea University Hospital. His chief complaints were seizure and moderate degree headache. He also had 4 subcutaneous nodules on the thorax, right and left upper arms. Among them one nodule was biopsied and confirmed microscopically as Cysticercus cellulosae hominis. Computed tomography of the brain showed four round low density lesions in right postero-frontal area, sylvian area, intra-occipital area and left parietal area. Second case was 48 year old male, who also had experience of seizures at 3 years, 5 months and 3 months before administration. In this case, no subcutaneous nodules and no headaches were noted. Brain CT showed four round low density lesions in right postero-parietal area and temporo-parietal area, and left temporo-parietal and parietal area. Serum antibody against cystic fluid antigen was detected by ELISA in both cases. The efficacy of the treatment of cerebral cysticercosis was assessed by the frequency of convulsions after treatment for 22 months follow-up. by the disappearance of the densities in cystic lesions at brain CT for 6 months follow-up, and disappearance of subcutaneous nodules, headache and so on. As the results, all low density lesions in both cases were disappeared in films of brain CT, and 4 nodules in first case were also disappeared. No more seizure and complain of headache occurred during the last 22 months after treatment in both cases. Post-treatment complete blood count and liver function test revealed no remarkable change compared to pre-treatment test. In the nations of Latin America, the physicians do not initially recommended the simultaneous administrations of steroids, reserving them only for patients whom the adverse reactions such as severe headache and/or seizures are occurred. According to them, in most patients these symptoms are controlled with aspirin and symptomatic drugs. But our experience using praziquantel is different, and most cerebral cysticercosis patients who takes PZQ had complaint of severe headache and sometimes seizure. So we simultaneously used dexamethasone as 6mg q.i.d. for 14 consecutive days and 6 days tapering thereafter in both cases for prevention of reactions produced by the host in response to the deaths of the parasites. As the conclusion, albendazole is effective in patients who presented cerebral cysticercosis and albendazole may help in the control of cysticercosis.

  • PDF

Improving the Accuracy of Early Diagnosis of Thyroid Nodule Type Based on the SCAD Method

  • Shahraki, Hadi Raeisi;Pourahmad, Saeedeh;Paydar, Shahram;Azad, Mohs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4호
    • /
    • pp.1861-1864
    • /
    • 2016
  • Although early diagnosis of thyroid nodule type is very important, the diagnostic accuracy of standard tests is a challenging issue. We here aimed to find an optimal combination of factors to improve diagnostic accuracy for distinguishing malignant from benign thyroid nodules before surgery. In a prospective study from 2008 to 2012, 345 patients referred for thyroidectomy were enrolled. The sample size was split into a training set and testing set as a ratio of 7:3. The former was used for estimation and variable selection and obtaining a linear combination of factors. We utilized smoothly clipped absolute deviation (SCAD) logistic regression to achieve the sparse optimal combination of factor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estimated model in the testing set,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was utilized. The mean age of the examined patients (66 male and 279 female) was $40.9{\pm}13.4years$ (range 15- 90 years). Some 54.8% of the patients (24.3% male and 75.7% female) had benign and 45.2% (14% male and 86% female) malignant thyroid nodules. In addition to maximum diameters of nodules and lobes, their volumes were considered as related factors for malignancy prediction (a total of 16 factors). However, the SCAD method estimated the coefficients of 8 factors to be zero and eliminated them from the model. Hence a sparse model which combined the effects of 8 factors to distinguish malignant from benign thyroid nodules was generated. An optimal cut off point of the ROC curve for our estimated model was obtained (p=0.44)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was equal to 77% (95% CI: 68%-85%).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for this model were 70%, 72%, 71% and 76%, respectively. An increase of 10 percent and a greater accuracy rate in early diagnosis of thyroid nodule type by statistical methods (SCAD and ANN method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FNA testing revealed that the statistical modeling methods are helpful in disease diagnosis. In addition, the factor ranking offered by these methods is valuable in the clinical context.

갑상선 결절에서 PCNA 측정의 의의 (A Significance of Estimation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in Thyroid Nodule)

  • 김정철;윤정한;제갈영종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00-205
    • /
    • 1994
  •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gen(PCNA) plays an important role in DNA synthesis in nucleoli and is highly conserved non-histone nuclear protein composed of 261 amino acid. and is considered to correlated with the cells proliferative state, because it is synthesized particulary during the proliferative period of late Gland S-phase. Therefore, PCNA index meaningfully increases in the active or proliferative kinetic cells. By the use of recently developed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PCNA,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s can make possible. These staining methods are the useful and productive one for ascertaining the cell's proliferating abillity. Moreover,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 with a antiPCNA antibody has particulrar advantages as follows. By means of these methods, we can stain the tissue that was already fixed in formalin or paraffin wax. We can see with naked eye that which cell is, where is differentiated through a microscope. Lastly, it maintains the whole tissue architecture and makes a search for the correlation. As we have seen above,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s for PCNA have been studied as an impotant factor that can find the cell proliferative kinetics in malignancy and biologic behavior of tumors. To investigate of the proliferative activity in thyroid nodule, Authors evaluated cell proliferative activity by immunostaing for PNCA in 45 pathologically confirmed solitary thyroid nodu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benign nodules were 25 cases(Adenomatous Goiter: 20 cases, Follicular adenoma: 5 cases) and malignant nodules were 20 cases(Papillary Ca : 14 cases, Follicular Ca : 4 cases, Anaplastic Ca : 2 cases). 2) The Most prevalent age groups were 4th decade(11 cases), and the next group was 5th decade. 3) The average PCNA labelling indices were as follows. Adenomatous goiter(I6.9%), Follicular adenoma(37.6%), papillary Ca(26.3%), Follicular Ca(8.8%) and Anaplastic Ca(86.7%).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nign(20.4) and malignant nodules (28.8%) except anaplastic Ca(p=0.3226). 4) When the average tumor size 2cm in papillary Ca, the PCNA indices were 26.0% (below 2cm) : 26.6% (above 2cm) (p=0.9642). The PCNA incidies were 23.9% (with lymphatic spread) : 28.7% (without lymphatic spread) (p=0.7056). There were no signlficant differences in the above cases. In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ell proliferative activity by staining for PCNA between benign and malignat nodules except anaplastic C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