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m23

Search Result 95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lectron Withdrawing Group을 함유한 Polythiophene의 합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stic of Polythiophene Containing Electron Withdrawing Group)

  • 홍혁진;한신호
    • 공업화학
    • /
    • 제23권6호
    • /
    • pp.539-545
    • /
    • 2012
  • 전자를 끌어당기는 benzotriazole을 vinylene으로 thiophene과 연결한 3-(2-benzo-triazolovinyl)thiophene (BVT)을 합성하고, FT-IR 및 $^1H$-NMR, $^{13}C$-NMR, 2D hetero-cosy spectra로 구조분석을 하였다. 합성한 BVT와 3-octylthiophene (OT)을 공중합 하였다. 공중합체들은 수평균 분자량 12000 (PDI 2.67)과 15000 (PDI 2.55)을 나타내었으며, THF, TCE와 chloroform 등의 유기용매에 잘 용해되었다. 공중합체들의 BVT와 OT의 공중합된 비율은 $^1H$-NMR spectra에 의하여 BVT : OT = 1 : 1.8과 1 : 2.8 (mol/mol)로 확인되었다. 파장 470 nm와 465 nm에서 UV-vis 최대 흡수를 나타내었고, photoluminescence (PL)는 각각 ${\lambda}_{max}$ = 662 nm와 641 nm로 나타나 적색계로 관찰되었다. 공중합체의 band gap은 각각 1.96 eV, 2.02 eV로 poly(3-octylthiophene)보다 더 증가하였다. 또한, poly(3-octylthiophene)에 비해서 HOMO 에너지 준위는 모두 낮아졌으나, LUMO 에너지 준위는 모두 높아졌다.

백제보 상류하천구간의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CDOM 흡수계수 결정을 위한 적정파장 선정 (Selection of proper wavelenth for determination of CDOM absorption coefficient using hyperspectral images in upstream reach of Baekje weir)

  • 김진욱;장원진;이용관;박용은;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85-85
    • /
    • 2021
  • CDOM(Colored or Chromophoric Dissolved Organic Matter)은 바다, 호수 및 강에서 담수, 오수, 퇴적물 등으로부터 공급된 유기물질의 일종으로 가시광선에서 빛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며, 2016년부터 환경부에서 선정한 하천, 호수 등 방류수의 수질오염 표준인 TOC(Total Organic Carbon)를 간접 추정할 수 있는 매개변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제보 상류 23 km 구간을 대상으로 2개년(2016~2017) 중 7일의 초분광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내륙지역의 CDOM에 대한 적정 반사도 밴드값(Rrs)과 CDOM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한다. CDOM은 흡수계수(αCDOM)를 통해 간접 추정되며, 흡수계수의 기준 파장값(λ)은 연구별로 350 nm, 375 nm, 400 nm, 412 nm 및 440 nm 등 다르게 나타난다. 초분광영상은 AsaFENIX 초분광 센서에서 관측된 380~970 nm까지 4 nm 간격, 127개 대역의 분광해상도와 2 m의 공간해상도를 가진 영상을 활용하였으며, 자료의 연속성을 위해 smoothing 기법을 활용하여 가공하였다. 추정 알고리즘은 Random forest를 활용하였으며, 70%의 trainning과 30%의 test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산출된 CDOM은 결정계수(R2), Nash-Sutcliffe efficiency(NSE)를 이용하여 실측 CDOM과 비교하였다. 흡수계수별 CDOM의 산정 결과 αCDOM(350 nm)의 trainning, test에서 각각 R2가 0.71, 0.74, NSE가 0.25, 0.49로 가장 높았으며, 적정 반사도 밴드값은 Rrs(466), Rrs(493), Rrs(548), Rrs(641)를 사용하였을 때 trainning, test에서 각각 R2가 0.93, 0.90, NSE가 0.85, 0.6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HPLC를 이용한 축산식품중 잔류 설폰아미드제의 동시분석법 연구 (A study on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residual sulfonamides in livestock production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황래홍;김영수;윤은선;김기근;이규학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3-28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plore the most sensitive and useful method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five sulfa drugs(sulfamethazine, sulfamerazine, sulfamonomethoxine, sulfadimethoxine, sulfaquinoxaline) in livestock productions(pork muscle, bovine muscle, chicken muscle, milk ) by HPLC with UV detector and reverse phase colum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1. For mobile phase acetonitrile-0.01M ammonium acetate (23:77) showed more applicable sensitivity and retention times than acetonitrile-1% acetic acid(23:77). Thus acetonitrile-0.01M ammonium acetate(23:77) selected and applied to the modification test, from which it was found pH 6.75 was the most adequate. 2. Optimal wavelength of UV for SMT(sulfamethazine), SMR(sulfamerazine), SMM(sulfamonomethoxine), SD(sulfadimethoxine), and SQ(sulfaquinoxaline) were 266, 266, 265, 269 and 250nm, respectively, and that for simultaneous application it was 263nm. 3. The average recovery rate by extractant(chloroform, dichloromethane, chlorform+dich-loromethane) in the classic metho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but that by chloroform higher than the others. Thus chloroform was found to be adequate as extractant in this classic method. 4. The average recovery rate was 86.5% by the MSPD(matrix solid phase disperse) method,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by the classic method(p<0.05). Also the recovery rates by metho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in accordance with sample and type of drug. The MSPD method was much superior to classic method on clean-up.

  • PDF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봄감자의 잎 Na 함량 예측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for the Na Content of Leaves of Spring Potatoes Using Hyperspectral Imagery)

  • 박준우;강예성;유찬석;장시형;강경석;김태양;박민준;백현찬;송혜영;전새롬;이수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16-32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간척지의 염분 모니터링을 위한 다중 분광 센서를 개발하기 위해 400~1000 nm 초분광센서를 사용하여 봄 감자의 잎 Na 함량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관개조건은 표준, 한해, 염해(2, 4, 8 dS/m)로, 관수량은 증발량을 기준으로 산정하였다. 영양생장기, 괴경형성기, 괴경비대기에 각각 관개를 시작한 후 1주와 2주 후에 잎의 Na 함량을 측정하였다. 잎의 반사율은 10nm 파장 간격을 기준으로 5 nm에서 10nm, 25nm, 50nm 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으로 변환되었다. PLS-VIP를 사용하여 봄 감자 잎의 Na 함량에 따른 염분 피해 수준을 예측하기 위한 10개의 밴드비가 선택되었다. 선택된 10개의 밴드비 중 가중치가 가장 낮은 순서대로 밴드비를 하나씩 제거하면서 MLR모델을 추정하였다. 모델의 성능은 R2, MAPE 뿐만 아니라 밴드비의 수, 다중 분광센서를 작게 만들기 위한 최적의 FWHM 수로 비교하였다. 1, 2주차의 영양생장기, 괴경형성기와 2주차의 괴경비대기에서 봄 감자의 잎 Na 함량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25 nm의 FWHM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선택된 밴드필터는 430/440, 490/500, 500/510, 550/560, 570/580, 590/600, 640/650, 650/660, 670/680, 680/690, 690/700, 700/710, 710/720, 720/730, 730/740 nm로 Red 및 Red-edge 영역에서 15개 밴드비가 선택되었다.

무선 통신을 위한 Quad-band RF CMOS 전력증폭기 (Quad-Band RF CMOS Power Amplifier for Wireless Communications)

  • 이미림;양준혁;박창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7호
    • /
    • pp.807-815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RF CMOS 180-nm 공정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기기에서 quad-band를 지원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를 설계하였다. 제안한 전력증폭기는 low-band인 0.9,1.8,2.4 GHz 와 high-band인 5 GHz 로 구성되어있으며, 각각 입력 정합회로에서는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최대 선형 전력 확보를 위해 출력 정합회로는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력 정합지점으로 임피던스 변환을 진행하였다. 제안한 전력증폭기는 무선 통신 변조 신호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Long-term evolution(LTE) 10 MHz 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0.9 GHz 및 1.8 GHz 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출력 전력은 각각 23.55 dBm 및 24.23 dBm으로 측정 되었고, 20 MHz 변조 신호를 사용한 경우, 1.8 GHz에서 출력 전력 22.24 dBm 이 측정되었다. 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 802.11n 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2.4 GHz 및 5.0 GHz 대역을 측정하였으며, 출력 전력은 20.58 dBm 및 17.7 dBm으로 확인되었다.

양성자 빔 암치료효과 개선을 위한 산화철 및 산화가돌리늄 나노입자 기반의 방사선증감제 합성 (A Synthesis of Iron Oxide Based and Gadolinium Oxide Based Radiosensitizer for the Therapeutic Enhancement of Proton Beam Cancer)

  • 강보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25-332
    • /
    • 2014
  • 금속나노입자는 진단이나 치료를 포함한 의생명응용분야에 있어 매력적인 특징들을 갖고 있다. 양성자 빔 치료를 위한 방사선증감제로 사용하기 위해 가교덱스트란이 코팅된 산화철나노입자(SPIONs)와 실리카가 코팅된 산화가돌리늄나노입자(SPGONs)를 합성하였다. 덱스트란과 실리카는 각각 SPIONs와 SPGONs의 보호수단이다. 합성된 SPIONs와 SPGONs를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분석한 결과 각각 평균 직경이 3~5 nm와 30~100 nm였다. 합성된 방사선 증감제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세포생존곡선 측정과 Western blotting을 수행하였다. 측정된 세포생존곡선으로부터 계산된 90% 세포사멸 시 방사선증감비는 SPIONs와 SPGONs에 대하여 각각 1.23과 1.03이었다. Western blotting 결과 역시 Cytochrome C의 발현량이 SPIONs를 처리한 암세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보였다.

LED용 Sr-Y-Si-계 산질화물 황색 형광체의 발광 특성 (Luminescence properties of novel Sr-Y-Si-Oxynitride yellow phosphor for LED applications)

  • 정옥근;박종천;류정호;조현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95-200
    • /
    • 2013
  • 고상반응법으로 Ba-Y-Si-계 산질화물 황색 형광체를 합성하였고, 형광체의 발광특성에 미치는 고상반응온도, 환원 열처리 온도 및 $Eu^{2+}$ 활성제 농도의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고상반응온도 $1400^{\circ}C$, 환원 열처리 온도 $1300^{\circ}C$가 최적화된 온도조건으로 조사되었다. 450 nm 파장의 여기 광원에 대하여 합성된 $Ba_9Y_{2+y}Si_6O_{24-3y}N_{3y}:Eu^{2+}$ 형광체는 571~585 nm 영역의 중심파장을 갖는 단일 발광밴드 특성을 나타내었다. 활성제 $Eu^{2+}$ 농도가 3 mol%일 때 가장 강한 발광강도가 얻어졌으며, 5 mol% 이상의 농도에서는 농도소광현상이 관찰되었다. FE-SEM 및 PSA 분석 결과 합성된 형광체는 약 $8.2{\mu}m$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광자결정 광섬유기반 광신호 분배기 개발 (Development of a Ultra Broadband Optical Coupler Based on a Photonic Crsytal Fiber)

  • 윤민석;이상배;한영근
    • 한국광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95-19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광자결정 광섬유를 이용하여 1000 nm 의 광대역폭을 갖는 광신호 분배기를 구현하였다. 제작에 사용된 광자결정 광섬유의 지름은 $130{\mu}m$ 이고 6층의 공기 구멍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광신호 분배기는 두 가닥의 광자결정 광섬유에 열을 가함과 동시에 인장력을 가해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광자결정 광섬유 기반 광신호 분배기의 지름은 $23{\mu}m$ 이었다. 광신호 분배기의 제작 시 인장시키는 길이에 따라 대역폭과 bandedge가 조절되었다. 제작된 광자결정 광섬유 기반 광신호 분배기의 대역폭이 1000 nm에서 50:50의 광신호 분해 효율을 가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광자결정 광섬유의 공기 구멍 구조의 특성으로 인해 주변온도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을 나타낸다.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의 분해능이 광원의 대역폭에 비례하므로 광대역폭을 갖는 광자결정 광섬유 기반 광신호 분배기는 신호 추출을 위한 간섭계 구성에 핵심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IPV 시스템을 위한 전이금속 산화물 다중층 컬러 유리 구현 기술 연구 (Transition Metal Oxide Multi-Layer Color Glass for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

  • 안현식;;장은정;김민회;이재현;최윤석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128-1133
    • /
    • 2019
  • 이 논문에서는 전이 금속 산화물(TMO)층으로 구성된 다층 박막을 사용하는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시스템용 전면 컬러 유리를 제안하였다. 몰리브덴 산화물(MoO3) 및 텅스텐 산화물(WO3)은 굴절률 차이가 큰 계면을 형성하여 적절한 간섭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일 Thermal Evaporator 증착 방법을 통해 다층 박막을 제작함으로써 간단하고 빠르며 저렴한 제조 방법을 제안하였다. MoO3(60nm)/WO3(100nm) 다층 박막으로 90%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갖는 자홍색 유리를 시연하였으며, 이 기술은 상용화된 BIPV 시스템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2종류의 기능성필름이 광학특성과 엽채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Optical Characteristics of Two New Functional Films and Their Effect on Leaf Vegetables Growth and Yield)

  • 권준국;벡조드;박경섭;최효길;이재한;유인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14-320
    • /
    • 2014
  • 소형 비닐하우스에 2종류의 기능성 필름과 관행의 PE 필름을 피복하고 청치마, 적치마, 치커리 등 3종의 엽채류를 재배하여 기능성필름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2종류의 기능성 필름은 PO(polyorefine)계 수지로 만들어졌으며, 엽채류는 흙과 펄라이트를 혼합한 배지에서 육묘하였다. 필름의 광학적 특성에 있어서 기능성 필름은 관행의 PE 필름과 비교하여 광합성 유효광(400-700nm)의 투과율이 높고 자외선(300-400nm)의 흡수율이 높았다. 피복 3개월 후의 광합성 유효광 투과율의 감소 수준은 기능성필름이 PE필름보다 작았다. 이 같은 요인으로 인해 엽채류의 생육과 수량이 기능성 필름을 피복한 하우스에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