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ogenous extractive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가열조리가 복어 추출물 함질소화합물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of the Composition of Nitrogenous Compounds in Globefish Meat Extracts by the Cooking Method)

  • 양영;한영실;변재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5-96
    • /
    • 1990
  • Globefish, Fugu xanthopterus, known to have a severe toxin, is one of the favorite food in Korea and Japan when the toxic part is removed. In this paper, the effect of cooking on the composition of nitrogenous components in the extractives from globefish cooked investigated and the changes of the taste compounds originated from the nitrogenous components in the extractives were discussed. When the sample fish was analysed for general composition, drip amount and pH by the different methods of thawing, the method effective method was the running water thawing. Total nitrogen content in raw globefish and the frozen globefish was not different, and the nitrogen content was increased with the heat treatment. It seemed that the nitrogen content was higher in the extract from the boiled globefish than that of the steamed globefish. Taurine, lysine, glycine and alanine were occupied about 70% of the total free amino acids.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higher in the extracts from the frozen sample than those from the raw sample. The amount of free amino acids was increased when the globefish soup cooked under the direct-heat cooking than in the microwave oven-heat cooking. Among nucleotides in the extracts from the thawed and cooked fishes, IMP and inosine contents were increased, and the both components were decreased with the heating time and by the heating method. Tne content of total creatinine-nitrogen were 50% of the total nitrogen content of the extracts, but the concentration of glycinebetaine, TMA and TMAO were only a few amoun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otal creatinine components, including free amino acids such as taurine, lysine, glycine and alanine, and IMP might be the important components contributing to the taste of the cooked globefish.

  • PDF

천연 및 양식산 넙치의 함질소엑스분과 아미노산조성 (Comparison of Nitrogenous Extractives, Amino Acids in Wild and Cultured Bastard)

  • 오광수;이형주;성대환;이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73-877
    • /
    • 1988
  • 천연산 및 양식산 어류의 식품성분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서, 횟감으로 즐겨 먹는 고급어종인 넙치를 천연산과 양식산으로 구분하고 아울러 유사어종인 도다리의 함질소엑스분 및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양식산 넙치는 천연산에 비해 수분함량이 다소 않은 반면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은 약간 적었으나 대제로 성분조성이 비슷하였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천연산 넙치가 305.03mg/100g, 양식 산이 253.42mg/100g, 도다리가 340.10mg/100g이었고, taurine의 함량이 월등히 많고 다음이 alanine, glycine, lysine순이었다.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모두 유사하였다. 핵산관련물질 중 IMP 함량은 천연산 넙치가 408.31mg/100g, 양식산이 356.26mg/100g으로 도다리의 178.61mg/100g에 비해 월등히 높았고. TMAO, total creatinine 역시 천연산이 양식산에 비해 함량이 많았다. 시료어의 주요 구성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isoleucine, valine 등으로 서로 비슷하였고 전체함량은 천연산 넙치가 21.94g/100g, 양식산이 20.12g/100g, 도다리가 17.63g/100g이었다. 사료의 아미노산 조성과 양식어의 조성 사이에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 PDF

Hydrophilic Extracts of the Bark from Six Pinus Species

  • Masendra, Masendra;Ashitani, Tatsuya;Takahashi, Koetsu;Susanto, Mudji;Lukmandaru, Ganis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80-89
    • /
    • 2019
  • Pine barks are important biomass resources because they are utilised in the production of pine wood and rosins. However, no chemical study has been conducted on the hydrophilic status of pine barks in Indonesia. This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hydrophilic extracts of the barks from six Pinus species (P. elliotii, P. caribeae, P. oocarpa, P. merkusii P. montezumae, and P. insularis). The hydrophilics of pine barks were analys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presence of polyphenol contents in the 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the barks of six Pinus species was determined using the tannin-formaldehyde method, Folin-Cioucalteu assay, and vanillin-HCl assay. The ethanol and hot water soluble extractives derived from inner barks were higher in quantity when compared to those derived from the outer bark samples. The polyphenol measurement showed that the highest value of total phenol content was derived from the outer bark of P. montezumae whereas those of the total phenol and tannin- formaldehyde contents were derived from the inner and outer barks of P. oocarpa. GC-MS analysis revealed that nitrogenous compounds are dominant constituents in the inner and outer barks of the six species, followed by sugars and monophenolics, respectively.

계절에 따른 미더덕의 정미성분 조성 변화에 관한 연구 (Seasonal Variations of Taste Components in Warty Sea Squirt(Styela clava))

  • 이강호;김민기;홍병일;정병천;이동호;박천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74-279
    • /
    • 1995
  • 미더덕의 계절에 따른 성분 조성을 분석하여 식품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3~10월 사이의 정미성분과 그 계절적 변화를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미더덕의 총엑스분질소량은 6월에 294mg/100g, 7월에 160mg/100g으로 감소하다가 그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리아미노산 중 taurine(45~50%)과 proline(12~18%)이 가장 많았으며, 그밖에 glutamic acid, alanine, glycine의 함량이 많았다. 핵산관련물질 중에서는 AMP의 함량이 가장 풍부하였고, glycine betain은 6월에 256mg/100g으로 최고치를 보였다. 미더덕의 엑스 분질소 조성은 유리아미노산이 50~6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betaine(11~15%), 핵산관련 물질(5~8%), TMAO 및 총 ceratinine 순이었다. 미더덕의 유기산은 succine, malic, lactic 및 pyroglutamic acid가 전체 유기산의 8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그 중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Omission test한 결과, 미더덕의 맛은 유리아미노산, betaine, 핵산관련 물질, 불휘발성 유기산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레토르트 살균처리가 적색육 및 백색육 어류의 성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1. 함질소엑스분 및 텍스튜어의 변화- (Changes in Food Components of Dark, White-Fleshed Fishes by Retort Sterilization Processing -1. Changes in Nitrogenous Extractives and Textures-)

  • 오광수;성대환;최종덕;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3-129
    • /
    • 1991
  • 수산물을 원료로 한 고온가열처리 식품의 성분 및 품질변화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가다랑어육과 명태육을 각각 마쇄 균질화하여 각 3B관에 충전, 밀봉한 후 자숙처리($98^{\circ}C$, 30분) 및 $121.1^{\circ}C$에서 Fo 5, Fo 10, Fo 20에 달하는 열처리를 하여 이들 가열처리가 어육의 함질소엑스분 및 텍스튜어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가열처리에 따른 시료 어육의 일반성분 변화에서, 수분함량은 가열처리 전에 비해 가열처리 후에, 또한 Fo값이 증가할수록 약간씩 감소하였고,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은 상대적으로 약간씩 증가하였으며, 조지방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시료가다랑어육 및 명태육의_pH는 각각 5.46 및 6.63이었고, Fo 20 시료는 5.75 및 6.82로서 가열처리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고, 휘발성염기질소량 역시 가열처리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다. 히스타민 함량은 시료 가다랑어육이 6.1mg/100g, 명태육이 0.1mg/100g이었고, 자숙처리에서는 각각 11.6mg/100g 및 0.3mg/100g, Fo 20 시료의 함량은 각각 8.2mg/100g, 0.1mg/100g이었다. 가다랑어육의 총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984.8mg/100g으로 histidine, taurine, alanine, leucine 및 lysine 등이 전체의 $87\%$를 차지하고 있었고, 명태육은 총함량이 282.3mg/100g이었고, taurine, alanine, glycine, glutamic acid 및 lysine 등의 함량이 많았다. 가열처리 정도가 커질수록 이들 총함량은 약간씩 감소하였고, 가다랑어육이 명태육에 비해 감소량이 많았다. 가다랑어육에서는 histidine, taurine 및 alanine의 감소가, 명태육에서는 taurine의 감소가 현저하였다. IMP함량은 가다랑어육의 142.2mg/100g, 명태육이 95.5mg/100mg으로 시료 조제 및 가열처리 중 상당량 감소하였으며, TMAO 함량은 가열처리 중 급속히 감소한 반면, TMA는 가열 전에 비해 급증하였다. Total creatinine 함량의 변화도 비교적 현저하여 Fo 20의 열처리에서 약 $10\%$ 내외가 감소하였다. 시료 어육의 경도, 질김성, 응집성 및 탄성의 변화에서 양 시료 모두 $95^{/circ}C$에서 30분간의 열처리보다 Fo 5의 열처리 쪽이 텍스튜어의 저하가 심하였다.

  • PDF

우렁쉥이 이용에 관한 연구 -3. 우렁쉥이의 정미성분- (Utiliz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3. Taste Compounds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 이강호;김민기;정병천;정우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0-158
    • /
    • 1993
  • 우렁쉥이의 식품학적 가치와 성분적 특성을 밝히는 일환으로 정미성분을 포함한 엑스성분과 그 계절적 변화를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렁쉥이의 계절적 Ex-질소량은 4월에 250mg/100g에서 9월에 330mg/100g으로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우렁쉥이의 유리아미노산중 taurine, proline, glutamic acid, alanine, glycine의 함량이 높았다. 3. 핵산관련물질중 AMP의 함량이 높았다. 4. Glycinebetain의 함량이 homarine보다 훨씬 높았으며 9월에 특히 많았고, 그 계절적 변화는 엑스분질소 및 유리아미노산의 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5. 우렁쉥이의 엑스분질소중 함질소엑스성분이 차지하는 조성은 유리아미노산이 $60{\sim}6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betaine $12{\sim}16\%$, 핵산관련물질 $5{\sim}9\%$, TMAO 및 TNIA 총 creatinine의 순이었다. 6. 우렁쉥이의 유기산은 succinic, malic, lactic 및 pyroglutaric acid가 전체 유기산의 $84\%$ 이상을 차지하며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7. Omission test 결과 우렁쉥이 맛은 유리아미노산, betaine류, 핵산관련물질, 불휘발성 유기산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