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te-scavenging activity

검색결과 573건 처리시간 0.035초

솔순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Pine Bud (Pinus densiflora))

  • 조은경;정보림;최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573-157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솔순의 기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열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여러 생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솔순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SOD 유사활성, XO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솔순의 항산화력은 2 mg/mL에서 71.4%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은 2 mg/mL 농도에서 85.4%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2 mg/mL에서 70.9%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솔순 열수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는 pH 1.2와 3.0에서 53~59%, pH 6.0에서 40%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항고 혈압 측정실험에서는 시판되는 항고혈압제 captopril과 비교분석 하였는데, 0.1 mg/mL에서 93.0%였고 같은 농도의 솔순 열수 추출물은 14.6%의 낮은 저해율을 나타냈다. 하지만, 1 mg/mL에서 44.7%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솔순 열수 추출물의 비교적 양호한 저해활성을 보였다. 혈당강하능의 지표로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능을 분석한 결과 솔순 열수 추출물 3 mg/mL의 농도에서 43.3%의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주름 예방 효과의 지표로 elastase 활성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10 mg/mL의 농도에서 59.6%의 저해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솔순 열수 추출물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증명하고 있는 것으로 천연의 건강 및 미용 소재로써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ntioxidant Activities of Mulberry (Morus alba L.) Leaf Extrac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tOH

  • Kim, Bum-Keun;Park, Kee-Jai;Lim, Jeong-Ho;Jeong, Jin-Wo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476-1480
    • /
    • 2009
  • Antioxidant activities of mulberry leaf extrac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tOH were investigated. Total phenolic content and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extract from 70% EtOH were the highest. Extracts obtained from EtOH-water mixture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higher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ies than other treatment (p<0.05).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inhibition was the greatest at 50% EtOH concentration (p<0.05). The extracts from 30-70% EtOH exhibited higher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value than rest of the concentration (p<0.05). In case of nitrite scavenging activity, much higher scavenging activities were observed when the extraction was performed with EtOH or EtOH-water mixture (p<0.05).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centration of EtOH as extraction solvents can affec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ulberry leaf, which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optimal solvent conditions for the extraction.

Effect of Red Pepper Seed on Kimchi Antioxidant Activity During Fermentation

  • Sim, Ki-Hyeon;Han, Young-Si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295-301
    • /
    • 2008
  •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pepper seed kimchi extracts were examined. The extracts were evaluated by various antioxidant assays that included determinations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nitric oxide scavenging,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metal chelat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ll the kimchi extracts showed strong antioxidant activities by the tested methods. The 7% red pepper seed kimchi that was fermented for 6 days possessed the highest activity according to the performed tests. Yet,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y was exhibited against nitrite, by extracts from kimchi for 0 day of fermentation rather than 6 days. All the activities for the kimchi fermented for 0 day with the addition of 7% red pepper seed increased markedly with an increase in concentration. With the exception of metal chelating and SOD activities, for the antioxidant properties assayed, the red pepper seed kimchi extracts were found to be highly effective.

UV 조사한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의 변화 (Changes in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Angelica keiskei and Brassica loeracea var. acephala Vegetable Juices Treated with UV Irradiation during Storage)

  • 최구희;권상철;이경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87-1193
    • /
    • 2010
  • 녹즙은 가열살균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매우 짧아 비가열 살균기술 중의 하나인 UV 살균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을 제조한 후 저장기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변화 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온살균방법 중 UV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을 제조한 후 UV 처리에 따른 저장기간 내 항산화 활성의 변화 및 아질산염 소거능 변화를 측정하였다.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의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UV 처리에 의하여 다소 감소하였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대조군 및 UV 처리군 모두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DPPH 전자공여능의 변화는 UV 처리 직후 대조군에 비하여 UV 처리군이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고 저장기간 내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UV 처리군 간에는 크게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TS 활성을 보면 UV 처리 직후 녹즙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UV 처리군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케일의 경우 UV 처리군간에는 처리 유속이 느릴수록 낮게 나타났다. 금속이온 제거능에서는 신립초의 경우 UV 처리 직후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UV 처리군이 다소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UV 처리 유속과는 크게 관계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케일의 경우, 대조군과 UV 처리군 모두 제조 직후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는 신립초와 마찬가지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지질과산화 억제능은 신립초와 케일 모두 blank에 비하여 낮은 O.D.값을 보여 지질과산화 억제능이 있었으며 대조군보다 UV 처리군이 다소 높은 O.D.값을 보여 UV 처리 시 지질과산화 억제능이 감소함을 나타냈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대조군과 UV 처리군 모두 큰 차이가 없었으며 pH 1.2에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현미의 발아정도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변화 (Germination Dependency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rown Rice)

  • 강보라;박미정;이흠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89-394
    • /
    • 2006
  • 본 연구는 일반현미와 발아현미의 항산화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일반현미와 발아현미 2종(2.5 mm 발아, 5 mm발아)의 총 메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과 nitrite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발아정도에 따라 활성이 달라졌다. 각 시료의 총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의 극성차이를 이용하여 hexane, EtOAc, 물로 분획하고 다시 각 분획물의 SOD 유사활성 및 nitrite 소거능을 측정하여 활성을 비교하였다. 모든 분획물에서 발아가 더 많이 진행될수록 SOD유사활성이 증가하여 특히 5 mm 발아현미의 hekane 분획물과 EtOAc 분획물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 50 ppm의 74.1%보다 우수하였으며, vitamin C 100 ppm의 94.0%과 유사한 정도의 활성을 보였다. $EC_{50}$ 값 역시 발아정도에 따라 크게 낮아졌으며, 특히 vitamin C의 $EC_{50}$ 값이 38 ppm이었으나, 5 mm 발아현미의 EtOAc 분획물의 $EC_{50}$ 값은 17 ppm으로 분획물임에도 불구하고 vitamin C보다 더 낮은 농도에서 활성을 가졌다. Nitrite 소거능은 현미와 발아현미 모두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pH 1.5에서 물분획물의 $IC_{50}$ 값은 현미 325 ppm, 2.5 mm 발아현미 120ppm, 5 mm 발아현미 122 ppm으로 현미와 발아현미간의 차이는 컸으나, 2.5 mm 발아현미와 5 mm 발아현미간의 차이는 적어 발아에 의해 더 낮은 농도에서 nitrite 소거능을 가지게 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hexane 분획물과 물분획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각각 9.88, 30.8 및 46.5 mg/kg이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CCA 구성 성분은 방부목재로부터 환경 중으로 용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성분들이 인간과 생태계에 미칠 악영향을 평가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을 것으로 판단된다.상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모든 결과로 볼 때 율무의 추출 효소는 chymotrypsin-like serine protease에 속하는 혈전용해효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smotic control group(A/B 25)에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후기당화합물이 첨가된 경우에 SEM상 분리된 세포사이이음(intercellular junction)과 융합된 미세융모를 관찰할 수 있었다. BSA의 투과성은 일 주 배양 후 A30 dish에서만 일 주 배양 후 B5 dish에 비해 19%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결론 : 사구체 상피세포의 HSPG 형성의 감소에 고농도의 당과 후기당화합물은 서로 부가적인 역할을 하고 후기당화합물이 더 큰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HSPG 감소 소견과 더불어 SEM상 장기간 고혈당을 유지하면 사구체 여과기전에서 size-selective와 charge-selective 장벽에 결함을 유발할 수 있으며 당뇨병에서의 단백뇨의 기전 중 하나로 생각된다. MAR 값은 군간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과체중군(0.76)이 정상체중(0.73) 또는 저체중군(0.73)에 비해 높은 값은 보여주었다. 9. 철분은 과체중군(1.67)이 저체중(0.80) 또는 정상 체중군(0.82)에 비해 영양 질적 지수(INQ)가 높았으며(p<0.0335), 비타민 $B_1$은 정상 체중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영양 질적 지수를 보여주었다(p<0.0452)

성숙에 따른 뜰보리수(Elaeagnus multiflora THUNB.) 과실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Fruits of Elaeagnus multiflora THUNB. during Maturation)

  • 홍주연;남학식;이양숙;김남우;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43-648
    • /
    • 2006
  • 본 연구는 뜰보리수 열매의 식품영양학적 평가 및 기능성 물질 발굴의 일환으로 뜰보리수 열매를 이용하여 성숙과정 중의 free radical 소거능을 비롯한 SOD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작용,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등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뜰보리수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성숙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전자공여능의 효과는 더욱 높게 나타났다.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성숙정도에 따른 증가하였고, 농도에 비례하였다. 뜰보리수 열매의 에탄을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가 낮을수록 높았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아질산염 소거 작용이 높게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 활성 저해능은 완숙과 과숙과실의 추출물에 비해서 미숙과실 추출물에서 높았다.

석류 내피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Pomegranate Endocarp)

  • 진소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635-1641
    • /
    • 2011
  • 본 연구는 가식부위가 20~30%로 과즙 착즙 시 주로 버려지고 있으나 석류의 부위별 추출물 중 가장 항산화성이 우수한 천연식품 소재인 석류 내피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천연항산화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석류 내피 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용매에서 극성이 높은 용매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여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각 측정 방법 별로 항산화 활성에 있어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ethyl acetate 분획의 항산화능이 높게 측정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ethyl acetate와 butanol 분획물에서 $IC_{50}$이 각각 2.40 ${\mu}g$/mL, 2.88 ${\mu}g$/mL로 기준 물질인 ascorbic acid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Superoxide anion 소거활성에서 ethyl acetate과 butanol 분획물의 $IC_{50}$은 각각 58.94 ${\mu}g$/mL, 61.91 ${\mu}g$/mL로 기준물질인 tannin acid보다 항산화능이 우수하였다. $ABTS^+$ 소거활성에서 ethyl acetate와 butanol 분획물의 $IC_{50}$은 각각 39.26 ${\mu}g$/mL, 40.95 ${\mu}g$/mL로 나타났으며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0.1 mg/mL)의 흡광도가 1.404로 기준물질인 ascorbic acid보다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다. SOD 유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SOD 유사활성은 $42.88{\pm}0.66%$(dichloromethane), $15.43{\pm}0.85%$(butanol), $12.82{\pm}0.68%$(water)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에서 dichloromethane 분획물의 $IC_{50}$은 115.54 ${\mu}g$/mL로 기준물질인 ascorbic acid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석류 내피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폐자원으로써 버려지는 석류 내피는 식품첨가물 등의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양파 추출물의 화학성분과 아질산염 소거능 효과 (Chemical Components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Onions)

  • 손미예;박석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62-768
    • /
    • 2006
  • 양파 추출물의 식품첨가소재로써 그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양파의 종류(붉은색, 흰색, 황색)와 추출용매(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 열수)에 따른 주요 화학성분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총 유기산과 총 유리당은 각각 건물당 $135.4{\sim}1,255.7mg%$$51.7{\sim}62.9%$ 범위였으며, 각 양파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열수 추출물이 에탄을 추출물보다 높았다.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9.3{\sim}$13.3%$159.8{\sim}584.1mg%$ 범위였으며, 각 용매별 붉은색 양파의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낮은 pH 범위와 추출물 농도의 증가에 따라 높게 나타났는데, pH 1.2에서 붉은색 양파의 에탄을 및 열수 추출물 10 mg/mL 첨가는 약 55% 정도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양파의 추출물에 비하여 2배 이상 높은 수치였다. 따라서 붉은 양파 추출물은 낮은 pH조건에서 아질산염을 소거하여 니트로사민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식품소재로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Physi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alicornia herbacea (Tungtungmadi) Leaf Extracts

  • Min, Jin-Gi;Son, Kwang-Tae;Kim, Ji-Hoe;Kim, Tae-Jin;Park, Jeong-Heum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3호
    • /
    • pp.261-264
    • /
    • 2002
  • The physiologically relevant functional proper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Salicornia herbacea leaves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lipid peroxidation, DPPH radical scavenging, nitrite scavenging, and xanthine oxidase inhibition. Ethyl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n-butanol fractions obtained from the 80% aqueous ethanol extracts of Salicornia herbacea leaves showed strong antioxidative activities in linoleic acid methyl esters. Peroxide values (POV)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treated with the different fractions; the incubation time required to reach a peroxide value of 80 meq/kg was about 40 hrs. However, control linoleic acid methyl esters had POV of more than 480 meq/kg after 40 hr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was much more effective than diethyl ether, n-butanol, chloroform and water fractions, with an $IC_{50}$/ of 279 $\mu\textrm{g}$/mL, but less effective than ascorbic acid ($IC_{50}$/ : 67 $\mu\textrm{g}$/mL).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all fractions increased as pH decreased. Among the fractions,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diethyl ether and ethyl acetate fractions at pH 1.2 were highest at 59.0 and 56.2%, respectively. The diethyl ether fraction obtained from the 80% aqueous ethanol extract of Salicornia herbacea loaves was the most effective inhibitor of xanthine oxidase of all the solvent extracts at 84% inhibition for a 1 mg/mL concen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licornia herbacea leaf extracts may be effective antioxidants, not only in food stability, but also in human health.

인진(茵蔯)으로 쓰이는 사철쑥과 더위지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rtemisia capillaris $T_{HUNB}$. and Artemisia iwayomogi $K_{ITAM}$. used as Injin)

  • 서경순;윤경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2-298
    • /
    • 2008
  • 본 실험은 전자공여능에 따른 $IC_{50}$을 살펴본 것으로 ethylacetate로 추출한 사철쑥 잎추출물에서 1.74${\mu}g/ml$, 잎과 줄기추출물에서 2.24${\mu}g/ml$, 더위지기 잎추출물에서 1.81${\mu}g/ml$, 잎과 줄기추출물에서 1.56${\mu}g/ml$로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 으며 다음으로 ether추출물, methanol추출물, water추출물 순이었으며 hexane추출물에서는 전자공여능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 ethylacetate와 ether 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기준으로 더위지기가 사철쑥에 비하여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pH 조건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은 전반적으로 비극성 용매의 추출물보다는 극성 용매인 methanol추출물과 ethylacetate 추출물에서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pH 1.2에서 ethylacetate추출물은 53.75${\sim}$84.25%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methanol추출물과 hexane추출물에서도 비교적 양호한 소거능을 보였고, water추출물과 ether추출물에서는 소거능이 확실히 나타나지 않았다. 3일간 저장한 linoleic acid 기질에 대한 추출물별 항산화활성은 ethylacetate추출물에서 367${\sim}$423meq/k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hexane, methanol, water, ether추출물순이었고 더위지기가 사철쑥에 비하여 조금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잎추출물과 잎과 줄기추출물사이의 차이는 유의적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