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te scavenging effect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31초

제조방법에 따른 강하주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Gangha-ju Liquor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Method)

  • 유영주;정순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1-122
    • /
    • 2003
  • This studies were performed to develop a Korean traditional folk liquor namely Gangha-ju has been prepared at Bosung district in Korea,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and anti-oxidation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Gangha-ju were investigated. Ethyl-alcohol 20% and 30% Gangha-ju were brewed with glutinous rice wine, distilled liquor and 6 herbs of ginger, cinnamon, etc.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30% Gangha-ju were acidity 0.22, pH 4.31, amino acidity 3.26, transmittance 59 and conductivity $911\;{\mu}s/m$, and 20% Gangha-ju were 0.43, 4.20, 6.26, 62 and $924\;{\mu}s/m$.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ethyl alcohol, acetic acid, butanol, n-amyl alcohol, iso-pentyl alcohol, ethyl acetate, butyl acetate, acetaldehyde and furfural were detected, and main aroma compounds of Gangha-ju were isopentyl alcohol and ethyl acetate. Anti-oxidation activity by DPPH method was evaluated 31.32%,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 was 31.79%.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everal microorganisms was pronounced strong activity over a wide range of test organisms, and Leuconostoc mesenteroids and Salmonella Ttyphimurium, Staphylococcus epidermidis were found to be more sensitive to Gangha-ju than Escherichia coli and Aspergillus flavus.

Antioxidant and ACE Inhibitory Activity of Cultivated and Wild Angelica gigas Nakai Extracts Prepared Using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 Noh, Bo-Young;Lee, Hye-Jin;Do, Jeong-Ryong;Kim, Hyun-Ku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4호
    • /
    • pp.274-28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cultivated Angelica gigas Nakai (CAG) and wild Angelica gigas Nakai (WAG) extracts prepared by extraction with water, 30% ethanol, 60% ethanol, or 90% ethanol.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the WAG extrac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AG extracts and 0.1% and 1.0% solutions of the comparative substance, L-ascorbic acid. The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f the CAG extracts was higher than that of WAG extracts.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was highest (33.95%) in the CAG water extrac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st in the 60% ethanol extracts of WAG.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he CAG and WAG extracts was highest at a pH of 1.2.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was highest (43.72%) in the water extract of WAG. Th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est (83.84%) in the 60% ethanol extract of WAG.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ill b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antioxidant and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of Angelica gigas Nakai extracts.

산지별 마늘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작용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 신정혜;주종찬;권오천;양승미;이수정;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7-245
    • /
    • 2004
  • 마늘의 이화학적 및 생리 활성적 특징을 비교하고자 남해, 제주 및 의성산 마늘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성분,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활성 및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마늘의 수분, 회분, 조단백, 조섬유의 함량은 산지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남해산 마늘에서 총당 및 수용성 페놀 화합물의 함량이 높게 정량되었다. 유리당은 fructose, sucrose 및 lactose가 정량되었으며, 유기산은 총 5종 검출되어 남해산 마늘에서 malonic acid가 23.7$\pm$1.16 mg%, citric acid의 함량이 22.1$\pm$0.82 mg%로 가장 높았다. 무기물은 7112.6~9067.3 mg/% 범위였으며, K의 함량이 4117.3$\pm$7.19~5175.3$\pm$9.61 mg%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0.2%의 시료첨가구에서 남해 및 의성산 마늘에서 각각 46.2기.25%, 37.0$\pm$1.16%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1.2 및 pH 4.2의 반응용액에서 모두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pH 1.2의 반응용액에 0.2% 및 0.1% 농도의 시료 첨가시 95%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SOD유사활성은 0.02~0.001% 농도의 시료 첨가시 효과가 있었으며 남해산 마늘은 6.0$\pm$0.37~14.4$\pm$0.69%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 활성은 0.2% 및 0.1% 농도의 시료 첨가시 나타났으며, 남해 및 의성산 마늘의 경우 Sal. typhimurium균주에 대해서 74.7$\pm$0.70%및 51.7$\pm$1.11%, 제주산 마늘은 B. subtilis 균주에 대해서 28.6$\pm$0.90%의 생육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시판 과일주스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mmercial Fruit Juices)

  • 정해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12-719
    • /
    • 2012
  • 실험에서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10종의 100% 과일 주스를 선택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기능성을 측정하였다. pH는 2.83~4.01 범위로 블루베리주스가 가장 낮았고 토마토주스가 가장 높았으며 적정산도는 0.26~1.21%로 석류주스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당도는 10.90~15.93 Brix의 범위로 석류주스가 가장 높았고 토마토주스가 가장 낮았으며 환원당 함량은 8.16~94.30 mg/mL로 블루베리주스와 석류주스가 높게 나타난 반면, 토마토주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석류주스와 블루베리주스에서 높게 나타났고 파인애플주스와 토마토주스에서 낮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사과주스-A, 포도주스-A, 석류주스에서 높게 나타났고 파인애플주스, 토마토주스, 오렌지주스-B 에서 낮게 나타났다.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은 사과주스-A가 가장 높았고 파인애플주스와 포도주스-B가 가장 낮았다. 환원력은 석류주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파인애플주스와 포도주스-B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사과주스-A, 블루베리주스, 포도주스-A, 오렌지주스-B, 석류주스에서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토마토주스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총 페놀 함량과 환원력 간에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석류주스, 블루베리주스, 혼탁형 사과주스가 전반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반면, 파인애플주스와 토마토주스는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실험에 사용한 사과주스, 포도주스 및 오렌지주스는 제품별로 활성에 큰 차이를 나타내어 향후 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The Stydy on Application to Cosmetics of Phellinus Iimteus

  • Young-Ho Cho;Chu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1-107
    • /
    • 1997
  • Phellinus linteus was artificially cultivated in kangwon province in Korea. The air-dried phellinus linteus was frozen in liquid nitrogen tank and powdered in jar. 10g of the powder was extracted with each 200g of ethanol, methanol, distilled water and 1,3-butylene glycol/distilled water 4 hours under refluxing and then the liquidextract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s a result of analysi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thin layer chromarography, many kinds of sugar and flavonoids were detected. Also we knew that phellinus linteus' extract had a strong UV-ray absorption. In the efficacy test for applying to cosmetics,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was confirmed. As a result, 2% of sample was the most potent inhibitory effect and the free radical savenging activity, was 0.31%. This is more effective than any other meterial. In the test of antioxidative activity against lipid autoxidation, phellinus linteus' extract had a good effect by 46% while vitamine E was 42.3%. The immunological activity of phellinus linteus was showed through the activation of macrophage cell. Actually, phellinus linteus activated macrophage function of 1.1-1.8 times including nitrite production compared to control. The whitening effect of phellinus linteus was showed through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melanin biosynthesis of S. bikiniensis and B-16 melanoma cells. Phellinus linteus' extract was showed strong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ith IC50 value of 0.5% and inhibited melanin biosynthesis with 28mm inhibition zone at 0.005%/paper disc in S. bikinniensis, a bacterium used as an indicator organism in this work. Also it inhibited melanin biosynthesis in B-16 melanoma cells with a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0.134%.

  • PDF

녹용의 무기질 조성, 항산화능 및 PC-12 신경 세포 보호능에 대한 급여 사료의 영향 (Effect of Feedstuffs on Mineral Composition, Antioxidant Capacity, and Protection of Neuronal PC-12 Cells of Deer Antlers)

  • 조치흥;이봉한;김해영;김영채;김대옥
    • KSBB Journal
    • /
    • 제27권4호
    • /
    • pp.243-250
    • /
    • 2012
  • The ash content, mineral composition, total phenolics, antioxidant capacity, and neuroprotective effect of the antlers of deer fed with herb-incorporated feedstuff (HFS) or normal feedstuff (NFS) were comparatively evaluated. The contents of ash and mineral of the antler of deer fed with HF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ts counterpart. The ash and mineral contents of deer antlers decreased generally from the upper section toward the tip section. The ratios of Ca/ash, Ca/P, and Ca/Fe of antler of deer fed with HFS were lower than those of antler of deer fed with NFS. Antlers of deer fed with HFS had higher total phenolics, nitrite scavenging capacity, and antioxidant capacity than those of deer fed with NFS. Antlers of deer fed with HFS or NFS showed in vitro neuronal protection of PC-12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a dose-dependent manner, where antler of deer fed with HFS generally had higher cellular viability than NFS. These results above suggest that the incorporation of the medicinal herbal complex into feedstuff may improve the biological effects of deer antlers.

생약초 침출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iquors Prepared with Medicinal Plants)

  • 황인식;김선재;박인배;박윤미;박정욱;송현우;조광호;정순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82-286
    • /
    • 2005
  • 생약초 중에서 천궁, 당귀, 갈근, 갈화, 감초를 이용하여 침출주를 제조하여 그 품질특성을 확인하고 그 기능성을 검토하고자 total phenolic compound함량, 항산화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및 angiotensin converting enzymne(ACE) 저해효과를 조사하였다. 생약초 침출주는 pH는 $5.65{\sim}6.36$의 약산성의 경향을 나타냈으며 환원당 함량은 $0.13{\sim}0.45\%$의 범위를, 알코올 함량은 최초 침출할 때 보다 $2{\sim}3\%$가 감소하였다. Total phenolic compound는 갈근 침출주가 $23.9{\sim}54.3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침출주는 감초주가 $5.7{\sim}11.7\;mg\%$로 나타났다. 생약초 침출주의 항산화활성은 갈근 침출주에서 $67.4{\sim}85.3\%$으로 나타나 다른 침출주에 비해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냈다. 이어 갈화 침출주가 $54.3{\sim}78.3\%$로 Pueraria thunbergiana의 뿌리, 꽃을 이용한 침출주가 상대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아질산 소거능도 갈근 침출주에서 $24.6{\sim}56.3\%$를 나타내 다른 소재의 침출주에 비해 월등히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ACE 저해효과는 천궁 침출주에서 $67.3{\sim}78.3\%$의 높은 ACE저해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감초주가 ACE저해효과가 $33.6{\sim}56.9\%$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생약초를 이용한 침출주에서 건강기능성 요소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생리기능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원료의 이용기술, 숙성기술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LED 광질이 브로콜리 새싹의 발아, 생장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D as Light Quality on the Germination, Growth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roccoli Sprouts)

  • 조자용;손동모;김종만;서범석;양승렬;배종향;허북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6-123
    • /
    • 2008
  • 브로콜리의 새싹 발아와 생리활성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LED 광질 종류를 구명하기 위해 청색, 녹색, 적색, 백색, 황색, 적색+청색광을 조광 14시간, 암조건 10시간, 온도는 주간 25, 야간 18로 조절하여 종자 발아와 새싹을 생장을 시켰다. 생리활성 조사는 새싹을 메탄올로 추출한 것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종자 발아율은 광의 종류에 관계없이 3일 만에 100%의 발아율을 나타냈다. 파종 후 8일째의 신선중은 청색광처리구에서 0.389g/10plants로 가장 높았다. 총페놀화합물 함량은 백색광 처리구에서 $83.0mg{\cdot}L^{-1}$으로,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청색광 처리구에서 $72,6mg{\cdot}L^{-1}$로 가장 많았다. 전자공여능은 추출물 $2,000mg{\cdot}L^{-1}$일 때 백색광 처리구에서 93.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추출물이 $500mg{\cdot}L^{-1}$일 때 황색광 처리구에서 66.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추출물이 $2,000mg{\cdot}L^{-1}$일 때 적색광 처리구에서 14.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 추출물 첨가가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ied Yam Extracts on Sausage Quality during Cold Storage)

  • 박재인;서태수;장애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20-827
    • /
    • 2012
  • 마 가루를 70% methanol로 추출하여 10, 30, 50, 70, 그리고 100 ${\mu}g/mL$의 농도가 되도록 제작한 후 항산화 활성검증에 사용하였으며 비교 항산화 물질로는 ascorbic acid를 이용하였다.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123.03{\pm}0.22$ mg/g으로 나타났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ascorbic acid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100 ${\mu}g/mL$ 농도의 처리구에서 79.33%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SOD유사활성은 처리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였으며, 100 ${\mu}g/mL$ 농도의 처리구에서 64.78%로 가장 높은 SOD유사활성을 나타났다. 마 가루를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 한 다음 마 가루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C), 마가루 추출물 0.1% 첨가한 처리구(T1), 0.3% 첨가한 처리구(T2), 0.5% 첨가한 처리구(T3), 0.7% 첨가한 처리구(T4), 그리고 1.0% 첨가한 처리구(T5) 등 6개 처리구로 나누어 $4^{\circ}C$에서 12일간 저장하면서 3일 간격으로 저장성 실험에 사용하였다. pH 변화는 12일차에서 대조구(C)는 적정 pH 6.2를 넘긴 pH $6.31{\pm}0.03$을 나타냈고 처리구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T4 처리구에서 pH $6.14{\pm}0.09$로 대조구(C)와 처리구 간의 높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명도($L^*$)는 대조구(C)가 $66.73{\pm}0.03$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마 가루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L^*$값은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적색도($a^*$)는 T5 처리구의 저장 12일차에서 $9.89{\pm}0.32$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갈색도($b^*$)는 T5 처리구의 저장 12일차에서 $13.21{\pm}0.17$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지방산화도를 측정하는 TBARS 실험에서는 저장이 진행됨에 따라 대조구(C)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T4 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가장 높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조직감 측정에서 경도는 마 가루의 첨가 비율이 높아 질수록 경도가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면 마 가루 methanol 추출물이 소시지 제조에 첨가된 비율이 높아질수록 지방의 산화가 감소하며 소시지의 저장성 증진에 효과적이나 경도가 증가하고 적색도와 갈색도가 증가하여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이 없는 0.1-0.3% 농도의 선정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건조방법을 달리한 오미자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효과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Omija (Schizandra chinesis bailon))

  • 이슬;문혜경;이수원;문재남;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41-34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건조방법(열풍건조, 원적외선건조, 진공동결건조)을 달리한 오미자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효과를 비교 검토하여 고품질의 건조 오미자를 얻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분 함량 및 수분활성도(Aw)는 열풍건조 > 원적외선건조 > 진공동결건조 순으로 나타났다. pH는 건조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당도는 $6.60^{\circ}Brix$로 진공동결건조 오미자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탁도는 열풍건조 8.24 T%, 원적외선건조 0.32 T%, 진공동결건조 71.85 T%를 나타내었으며, 색도 L, a, b는 진공동결건조가 다른 건조방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은 glucose > fructose > sucrose 순으로 나타내었고, 총 유리당 함량은 진공동결건조 오미자가 5.01 g/100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에서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에서는 각각 진공동결건조 오미자가 88.68%, 93.85%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아질산염 소거능은 원적외선건조 오미자가 90.04%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열풍건조 오미자는 88.78%, 진공동결건조 오미자가 82.58%의 순으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탄닌 함량에서 진공동결건조 오미자가 1633.70 mg/100 g, 351.35 mg/100 g, 514.04 mg/100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건조방법은 오미자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효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공동결건조 오미자는 다른 건조방법에 비해 높은 품질 특성과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