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te scavenging effect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33초

용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탐색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of Solanum nigrum L.)

  • 김아람;김동현;변수민;정강원;권재환;여충원;이정석;정귀택
    • KSBB Journal
    • /
    • 제29권6호
    • /
    • pp.421-425
    • /
    • 2014
  •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ractions (methanol, hexane, methylene chloride, butanol, ethyl acetate and water) of Solanum nigrum L. extract was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of each fractions of methanol, butanol,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hexane and water are $4.41{\pm}0.23%$, $5.57{\pm}0.35%$, $9.89{\pm}0.19%$, $9.86{\pm}0.19%$, $1.89{\pm}0.04%$, and $3.18{\pm}0.06%$, respectively. For assay of antioxidant activity, 1,1-diphenyl-2-picry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re evaluated.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highest effect was obtained from the fraction of ethyl acetate. Reducing power is ordered as ethyl acetate > methylene chloride > methanol. In nitrite scavenging activity, the highest activity was 5.5% (butanol fraction), whereas hexane fraction did not detected. Overall, antioxidant activities are closely related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 in extracts of S. nigrum L.

Bacillus subtilis와 Lactobacillus plantarum에 의한 토마토 첨가 두유 요구르트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Soybean Yogurt added Tomato Extract by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 양밍;곽정순;장세리;찌아위엔;박인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80-28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이 풍부한 원료 콩에 청국장에서 분리한 Bacillus subtilis와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한 혼합 발효를 통해 대두 발효 제품의 개발을 목표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었다.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 발효 두유, Lactobacillus plantarum 단독 배양 발효 두유, 또한 두 균을 혼합 배양한 발효 두유의 항산화 활성을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 발효 두유의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능이 각각 3580.91 ${\mu}g/m{\ell}$, 67.14%, 6.54$mg/m{\ell}$, 83.63%로 가장 높았다. 혼합 발효 두유의 기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토마토 추출물을 첨가하여 발효 두유를 제조하였고, 토마토 에탄올 추출물을 0, 0.25, 0.5, 그리고 1.0% 첨가한 토마토 요구르트의 항산화력은 토마토 첨가량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토마토 무첨가구는 28.39%인데 비해, 토마토 요구르트는 33.46~57.12%까지 증가하였다.

전자빔 조사가 녹차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on-Beam Irradi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 박지희;이정민;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74-779
    • /
    • 2006
  • 시판되고 있는 녹차잎을 polyethylene 필름으로 진공포장하여 전자빔을 $0{\sim}30\;kGy$로 조사하였다. 조사된 녹차잎을 $75^{\circ}C$의 물에서 10분간 추출하여 녹차를 제조하고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자빔 조사는 녹차의 총 페놀 함량(TPC), 총 플라바놀 함량(TFC), 아스코르브산 함량(AAC)을 감소시켰다. 20 kGy의 전자빔 조사는 녹차의 TPC, TFC, AAC를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223.46, 32.50, 6.03 mg/g에서 202.88, 31.16, 5.57 mg/g으로 감소시켰다. 전자빔 조사는 또한 카테킨, 카페인, 아질산염 소거능도 감소시켰다. 그러나 전체적인 색도 및 라디칼 소거능은 전자빔 조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침출 조건에 따른 보리잎차와 녹차의 항산화능 비교 (A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arley Leaf Tea and Green Tea according to Leaching Conditions in Distilled Water)

  • 장재희;최희선;정효숙;강옥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98호
    • /
    • pp.165-172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mounts and properties of barley leaf tea and green tea at under various leaching conditions. The leaching temperatures and times of the distilled water were 50, 70 and $90^{\circ}$C for 1, 3 and 5 min, respectively. The levels of crude fat and ash in the barley leaf tea were higher than those in green tea. Brown color intensity and flavonoid absorbance increased with leaching temperature. The highest vitamin C levels and water-soluble phenol resulted at $90^{\circ}$C for 3 mi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barley leaf tea and of green tea were 11.06 and 50.56%, respectively, compared to 2.9% for L-ascorbic acid (150 ppm).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barley leaf tea and green tea were 95.11 and 74.88%, respectively. The SOD-like activities of barley leaf tea, green tea, and L-ascorbic acid (150 ppm) were 12.99, 8.33, and 12.75%,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effect of green tea was higher than that of barley leaf tea and lastly, the SOD-like activity of barley leaf tea was as high as that of green tea.

In vitro에 의한 녹용 추출물의 생리 활성 효과 (The Biological Activity of Deer Antler Extract in vitro)

  • 이경애;정혜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4-119
    • /
    • 2007
  • Our research objective was to examine the in vitro biological activity of deer antler(Nogyong in Korean) extract, including the antioxidative, nitrite scavenging,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as well as the antithrombotic, and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y activities. The carbohydrate, protein, fat, and mineral contents of the deer antler were 7.6%, 65.3%, 3.2% and 23.9%, respectively.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by the reduction of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was 67.1%, and the inhibition rate of lipid peroxidation by the thiocyanate method using linoleic acid was 92.1% in 100 mg/ml of extract.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s were pH dependent, and were highest at pH 1.2 and lowest at pH 6.0. The sample inhibition rate against tyrosinase was above 64.0%. The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ADP(adenosine-5'diphosphate) was inhibited up to 51.7%, and the inhibitory effect was dependent on the sample concentration. Lastly, the inhibition rate of ACE was 47.5% in 100 mg/ml of deer antler extract.

민자주방망이버섯(Lepista nuda)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Lepista nuda)

  • 이양숙;박동철;주은영;신승렬;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942-947
    • /
    • 2005
  • 민자주방망이버섯의 항산화력을 알아보기 위해 환류 추출과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물과 $7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한 각 추출물의 추출방법과 농도에 따른 전자공여능, SOD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1,000ppm농도에서 마이크로웨이브 물추출물(MWE)이 $87.73\%$로 가장 높았으며, 마이크로웨이브 에탄을 추출물(MEE)은 $84.84\%$로서 환류 추출방법을 이용한 환류 물추출물(RWE)의 $60.47\%$와 환류 에탄올추출물(REE)의 $60.13\%$보다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1,000ppm 농도에서 REE$(42.03\%)$, RWE$(38.21\%)$는 MWE$(29.24\%)$와 MEE$(24.58\%)$보다 높은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1.2 조건의 1,000ppm 농도에서 MWE$(29.77\%)$, MEE$(25.47\%)$는 RWE$(25.12\%)$와 REE$(22.94\%)$보다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 민자주방망이버섯은 MWE에서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이 가장 높았으며, SOD 유사활성은 REE가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동결건조 발아현미 추출분말이 배추김치의 유리아미노산 함량,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Powder on Free Amino Acid Content,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he Korean Cabbage Kimchi)

  • 우승미;정용진;황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48-55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동결건조 시킨 발아현미 추출분말첨가 배추김치의 기능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결건조 시킨 발아현미 추출분말(GBREP) 첨가량을 0, 0.67, 3.35 및 6.70%(w/w)로 각각 달리하여 담근 배추김치를 $10^{\circ}C$에서 21일 동안 발효시키면서 유리아미노산 함량과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GBREP 첨가량이 많을수록 총 유리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GABA 함량도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GBREP 6.70% 첨가구에서 2배 이상 높아졌다. 총페놀성 화합물은 GBREP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발효가 진행되면서 그 함량이 더 증가하였으나 대조구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전자공여작용과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은 GBREP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적숙기때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GBREP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pH별 실험에서는 pH 1.2에서 가장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김치 해물만두의 항돌연변이 및 항산화 효과 (Antimutagen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Seafood Bun with Kimchi)

  • 강갑석;김용택;손미혜;심기환;허정숙;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99-404
    • /
    • 2001
  • 김치 첨가 해물만두의 생리기능성을 조사하고자 시판 만두, 해물만두 및 20% 김치첨가 해물만두 추출물에 대한 항돌연변이, 항산화 효과 및 아질산염 소기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간접돌면변이원으로 알려진 aflatoxin B$_1$을 첨가한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 및 YG 1024에 만두 추출물을 5 mg/plate 농도로 처리한 후 항돌연변이 효과를 조사한 결과 20% 김치첨가 해물만두의 돌연변이 저해율이 47% 및 6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소공여능은 모두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시판만두, 해물만두 및 20% 김치첨가 해물만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모두 0.1%의 BHT 첨가군 보다는 낮았다.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대조군의 과산화물가는 크게 증가한 반면 20% 김치첨가 해물만두 첨가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시판 및 해물만두 추출물의 경우는 약간 낮게 나타났으나 0.1% BHT 첨가군보다는 모두 높았다. 횐쥐의 liver homogenate에 만두추출물을 처리한 후 TBA가를 조사한 결과 20% 김치첨가 해물만두 추출물 처리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두 50% 이상이었다.

  • PDF

천연색소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항균효과 및 항산화활성 (Antimicrobial Effec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Having Natural Plant Pigments)

  • 부희옥;신지산;황성진;배춘식;박수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0-88
    • /
    • 2012
  • 천연색소를 이용한 천연 색조화장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15종의 천연색소를 사용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항균활성 및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6종의 균주 중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Aspergillus flavus에 대해 대부분의 색소혼합조성물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Proteus vulgaris에서는 다른 균주에 비해 항균활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색소종류별로는 자색고구마, 여주, 파프리카, 뽕잎, 지치 등의 색소 조성물에서 다른 색소 조성물에서보다 더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또한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양파껍질, 파프리카, 적양배추, 뽕잎, 포도과피, 오디, 레드비트 색소 함유 조성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에 있어서는 특히 pH 1.2에서 적양배추, 포도과피, 오디, 백년초를 제외한 대부분의 색소에서 7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다양한 천연색소를 이용하여 수행한 본 실험을 통해 천연색소의 높은 항균효과와 항산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이러한 기능성을 활용한 안전한 천연 색조화장품 개발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Effect of Metallothionein on the Activity of Enzymes Invelved in Remival of Reactive Oxygen Species

  • 고문주;김희정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2권4호
    • /
    • pp.362-366
    • /
    • 2001
  • To show the effects of metallothionein (MT) on the activity of enzymes involved in the removal of reactive oxygen species, MT has been added to the assay system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and peroxidase. We have used assay systems of SOD based on NADPH oxidation and nitrite formation from hydroxylammonium chloride as an assay of superoxide breakdown rate. The two assay systems showed different results at the high concentration of MT. MT showed the scavenging of superoxide in the SOD assay system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SOD. MT added to the SOD assay system behaved as an activator of SOD, but apo-MT behaved as an inhibitor. When MT was added to the assay system in the presence of a fixed amount of SOD, the breakdown rate of superoxide increased. The effects of MT on the decomposi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the activity of catalase and peroxidase decomposing hydrogen peroxide were evaluated. MT decreased the activities of catalase and peroxidase. We have concluded that the function of MT as an antioxidant might effect the level of superoxide scavenging and not the level of hydrogen perox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