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ght temperature

검색결과 584건 처리시간 0.023초

정식 후 주야간온도차에 따른 착색단고추의 초기 생육 (Early Growth of Sweet Pepper by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Temperature after Planting)

  • 김호철;구양규;이용범;이정현;최준호;배종향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5호
    • /
    • pp.552-557
    • /
    • 2013
  • 본 연구는 고부가가치 작물인 착색단고추를 대상으로 정식 후 초기 생육에 대한 주야간온도차(DIF)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DIF는-6($20-26^{\circ}C$), 0($23^{\circ}C$), 3($24.5-21.5^{\circ}C$) 및 6($26-20^{\circ}C$)으로 처리하였다. 정식 후 10주 동안 DIF 3과 DIF 6 처리에서 DIF-6과 DIF 0 처리보다 생장 속도가 빨라 초장이 더 길었다. 주당 엽면적은 DIF 3 처리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정식 후 10주째에는 가장 넓었다. 주당 생체중은 DIF-6 처리에서 다른 처리들의 74-77%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건물중과 건물률은 DIF 0과 DIF 3 처리에서 DIF-6과 DIF 6 처리보다 높은 경향이었는데, 특히 DIF 6 처리에서는 정식 8주 후부터 건물률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정식 후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은 DIF 0과 DIF 3 처리에서는 정식 6주 이후 10주째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한 반면 DIF-6과 DIF 6 처리에서는 정식 8주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정식 후 10주 동안 모든 처리에서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이 줄기보다 높았고, DIF가 높은 수준일수록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은 낮아지고 줄기로의 건물분배율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착색단고추 재배 시 정식 후 초기에 주간온도와 야간온도 차이를 너무 크게 관리하면 생육이 저하되는데, 특히 주간보다 야간 온도를 높게 관리할 때에 더욱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 밴드 중적외선 영상으로부터 표면온도 추정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for the Retrieval of Surface Temperature from Single Channel Middle-infrared Images)

  • 박욱;이윤경;원중선;이승근;김종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9-194
    • /
    • 2008
  • [ $3{\sim}5{\mu}m$ ] 파장대의 중적외선 영상은 화산 활동이나 산불과 같이 고온 현상을 관측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중적외선 영역은 지표의 복사율과 대기의 영향으로 인한 변화가 매우 심하고, 특히 낮 영상의 경우 태양 복사량에 의한 영향도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단일밴드인 중적외선 영상을 이용하여 표면온도를 얻기 위해서는 영상이 취득된 시간과 장소에서 관측된 태양 복사량 및 여러 가지 대기 변수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기존의 다중밴드 기반의 중적외선 영상 활용방법과 달리 단일 밴드 중적외선 영상을 이용하여 표면온도 측정을 위한 기초연구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MODIS 영상을 대상으로 MODTRAN을 사용하여 중적외선 영역의 대기보정 기법을 적용 한 뒤 복사전달 모델을 이용하여 지표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획득된 온도 영상의 정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기존의 온도 알고리즘인 MODIS Sea Surface Temperature 알고리즘에 의해 얻어진 해수온도와 비교를 통하여 오차 원인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결과의 온도차는 낮 영상의 경우 $0.89{\pm}0.54^{\circ}C$ 밤 영상의 경우 $1.25{\pm}0.41^{\circ}C$로 비교적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낮 영상의 육지의 경우 대기에 의한 영향보다 태양빛의 반사가 주된 오차의 원인이 되며 이는 지표 복사율에 의한 영향이 매우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현재까지 해수에 대한 적용에 국한된 것으로 육상의 경우 복사율 변화가 매우 크기 때문에 중적외선 단일밴드에 의한 온도추정이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달 착륙선의 히터 작동온도 설정에 따른 솔더 접합부의 구조적 신뢰성 분석 (Investigation of Structural Reliability on Solder Joint According to Heater Set-point of the Lunar Lander)

  • 전영현;박태용;이장준;김정훈;오현웅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67-174
    • /
    • 2018
  • 달 착륙선에는 14일에 이르는 밤 구간동안 극한의 열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한 열원공급을 목적으로 히터가 적용되며, 이 때 전력생성이 제한되는 착륙선의 소요전력을 최소화하는 히터 작동 온도 설정치가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온도 설정치에 따른 착륙선의 온도 변화는 탑재 전장품에 적용된 전자소자의 솔더 접합부에 대한 열기계적 신뢰성과 연관되는 중요한 설계인자이다. 본 논문에서는 임무수명이 1년인 달 착륙선의 열해석 결과를 토대로 상용 신뢰성 수명예측도구인 Sherlock을 활용하여 상기의 온도 설정치에 따른 솔더 접합부의 열 기계적 신뢰성을 검토하였다.

주거용 건물의 개별 환기시스템 필요성에 관한 연구 (The Individual Heat-recovery ventilation system of Residential Buildings)

  • 신우철;이왕제;윤종호;백남춘
    • KIEAE Journal
    • /
    • 제14권6호
    • /
    • pp.99-104
    • /
    • 2014
  • Recently supply of low energy house is increasing which can enhance energy efficiency and indoor environment comfort. Low energy house have to secure air tightness as well as thermal performance so house become high airtightness and inevitably need heat recovery ventilator to enhance indoor air quality. However, most of current ventilation systems are one-click, controlling the entire space so it causes increasing of heating load and fan power which makes it hard to save energy. Thus, Individual Control system is required which can achieve both enhancing indoor air quality and decreasing heating load and electric fan power. Thereb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ventilation and fan power through mock-up experiment and measured ventilation load under individual control system. As a result, under the condition of $24^{\circ}C$ of indoor temperature for 6 month(November to April) in Daejeon, ventilation load by fan speed was $10.9{\sim}19.6kWh/m^2{\cdot}a$ when operated 24 hours and $7.6{\sim}13.7kWh/m^2{\cdot}a$ when operated 12 hours in night tim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at most 60% of ventilation load under the individual control system; measured ventilation load was $7.4kWh/m^2{\cdot}a$ when operated 24 hours, and $5.5kWh/m^2{\cdot}$ when operated 12 hours in night time.

The Detection Distance of Colored Target using Various Automotive Headlamps

  • Kim, Jung-Yong;Lee, Ho-Sang;Min, Seung-Nam;Lee, Min-Ho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21-426
    • /
    • 2012
  • As headlamp technology advances, newly developed various headlamps were introduced in the marke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detection distance of the recently developed LED headlamps and existing headlamps, complying with specific technical standard. Background: The detection distance of headlamps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automobile accident at night time. The studies of detection distance of LED, Halogen and HID headlamp have been conducted, but no study has shown the detection distance of pedestrian target with various colors (Black, White, Blue). Method: The experiment of detection distance was conducted with 30 people, which divide into 2 groups as 15 men and 15 women. Automatic transferable target on the rail was manufactured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of study's result, and ANOVA also conducted to analyze the main effect with sign color, sex and headlamp classified by detection distance. In addition, the luminance by average detection distance was measured as well. Results: The detection distance of headlamps was HID > LED > Halogen. The luminance measure of LED headlamp was lower than HID and Halogen headlamps. Conclusion: The headlamp performs a very significant role for safety at night time but it needs to be improved through assessment of visual characteristics. Also, it needs to be suggested the need of test method for dynamic detection distance concerning technical development is suggested.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f cold stress in rice at early young microspore stage (Oryza sativa L.).

  • Kim, Mijeong;Kim, Taegyu;Lee, Yoonjung;Choi, Jisu;Cho, Giwon;Lee, Joohy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13-313
    • /
    • 2017
  • Cold stress is one of the most influenced factors to rice yield. In order to identify genes related to cold stress in fertility stage,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was conducted. Cultivated 129 rice germplasm were moved in the growth chamber under the condition of $12^{\circ}C/RH70%$(12h day/12h night when the rice plant was grown in 10 DBH(days before heading). Also, rice plant as control was moved in the green house under condition of $28^{\circ}C/RH70%$(12h day/12h night). After 4 days the plants were moved in a greenhouse. The fertility of rice plant were monitored after the grain were fully grown. The most tolerant rice germplasm to cold stress were Cheongdo-Hwayang-12 and IR38 as 63.1 and 61.8 of fertility and the most recessive rice germplasm were Danyang38 and 8 rice germplasm as 0. As a result of GWAS with re-sequencing data and fertility after cold treatment germplasm using genome association and prediction integrated tool (GAPIT), 99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ere observed by applying a significance threshold of -logP>4.5 determined by QQ plot. With SNPs region, 14 candidate genes responded to cold stress in fertility stage were identified.

  • PDF

분뇨처리장 방류수를 정화하는 부들습지의 초기운영 단계에서 총인의 제거 (Total Phosphorus Removal in Cattail Wetland Purifying Effluent from a Night Soil Treatment Plant during Its Initial Operation)

  • 양홍모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5-51
    • /
    • 2005
  • Total phosphorus(TP) removal was examined in a surface-flow wetland constructed in April 2003 during its initial operating stage from June to November 2003. Its dimensions were 87mL by 14mW. It was a part of a four-wetland-cell treatment system constructed near the Kohung Estuarine Lake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Effluent from a night soil treatment plant was discharged into the wetland and purified effluent from the wetland was discharged into Sinyang Stream flowing into the Lake. Cattails(Typha angustifolia ) from natural wetlands were cut at about 40 cm height and transplanted into the wetland. An average of 25.0$m^3$/day of effluent flowed from the plant into the wetland. Water depth was maintained about 0.2m and hydraulic detention time was about 5.2 days. Average heights of the cattail stems in June and October 2003 were 47.2 and 164.6cm, respectively. The average number of stems was 10.2 stems/$m^2$ in June 2003 and 18.8 stems/$m^2$ in October 2003. Average temperature of influent and effluent ranged 23.4 and $24.2^{\circ}C$, respectively. The average TP concentrations of influent and effluent were about 1.31, 0.50mg/L, respectively. TP loading rate of influent into the wetland averaged 26.81mg/$m^2$, day and average TP loading rate of effluent was 10.04mg/$m^2$, day. Monthly average TP removal by the wetland during the warm growing season of cattails(June to September) ranged 16.28~19.57mg/$m^2$, day and during the cold senescent period (October to November) ranged 12.62~13.90mg/$m^2$, day. TP removal in the wetland continued during the cold winter months and was primarily done by sedimentation and precipitation of phosphorus rather than phosphorus absorption by cattails and microorganisms.

고도별 UHF 원격 관측을 이용한 혼합층 발달 사례 분석 (Case Study on the Mixed Layer Development using the UHF Radio Sounding)

  • 김상진;권병혁;김광호;김박사;김민성;조원기;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53-264
    • /
    • 2018
  • GPS 라디오존데는 정밀 기상 센서와 GPS 위성 네트워크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풍선이 터질 때까지 상승하면서 종관 규모의 연직 관측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GPS 라디오존데는 정밀한 온도, 습도 및 기압 센서를 내장하고 있다. GPS 라디오존데를 사용하여 2016년 3월 9일 18시부터 2016년 3월 12일 06시까지 서해의 세 섬에서 대기경계층을 집중관측하였고, 야간 안정층이 억제되고 오히려 야간 혼합층이 발달되는 사례를 조사하였다. 야간 혼합층은 3월 9일에 지표 열플럭스에 의해 발달된 반면에 3월 10일 혼합층 높이가 가장 높았던 21시에는 시어 생성이 가장 높았다. 난류운동에너지를 생산하는 수평 바람의 연직 층밀림과 표면 열플럭스가 야간에도 혼합층을 성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옥잠화(Hosta plantaginea Aschers.)의 개화습성, 수분양식 및 결실특성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Habit, Pollination Patterns and Seed Setting of Hosta plantaginea Aschers)

  • 조규원;태경환;성순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09-314
    • /
    • 2005
  • 본 연구는 원예 및 조경용 식물로 최근 들어 관심을 받고 있는 옥잠화에 대한 개화습성, 수분 양식 및 결실특성에 대한 기초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옥잠화는 주로 야간에 백색꽃이 개화하는 식물로 개화초기와 개화성기에는 대부분 풍매에 의해 수정되었고, 개화후기로 갈수록 착화 간격이 줄어들고 옥잠화 특유의 향기가 감소하여 풍매에 의한 착협율과 충매에 의한 수정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착협율과 결실율은 방임구 각각에서 $33.3\%$$24.3\%$로 나타났으며, 이에 비해 인공교배는 각각 $65.0\%$$40.9\%$로 나타나 인공교배가 착협율과 결실율에서 높게 나타났다. 개화기간에 있어서 하루 중 수정율은 개화성기인 $19\;:\;00{\sim}20\;:\;00$시에서 높았으며, 이때의 최적온도는 $25{\sim}28^{\circ}C$ 이었다.

휘도와 색도측면에서 본 역사적 건축물의 야간경관조명 분석 -남대문과 광화문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Luminance and Chromaticity on Outdoor Lighting of Historic Buildings -focused on Namdaemun and Kwanghwamun-)

  • 안현태;김정태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6-43
    • /
    • 2001
  • 본 연구는 최근들어 국가적 차원으로서의 야간경관조명이 활성화 되고있는 시점에서 역사적 건축물의 야간경관조명 연출효과를 조사.분석하였다. 평가대상은 경관조명시설이 설치된 국내 역사적 건축물중 도성의 문의 성격을 띈 남대문, 광화문을 선정하였다. 평가방법은 야간에 조명 현황조사 및 물리량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물리량은 피조면의 휘도 및 색조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경관조명의 연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인 조명방식은 외곽투광기를 이용한 전반조명과 건축물 내부와 하단부에 설치된 조명기구로 상향조명 (기단) 및 엑센트조명(공포)을 병용하고 있다. 조명연출 실태는 기단과 용마루가 강조되고 있어, 용마루선과 기단부가 야간에 역사적 건축물의 이미지를 상징하고 있다. 주간과 야간의 전반적인 색도분포는 주간에는 태양반사광 등의 영향으로 백색의 색도분포를 나타냈고, 야간에는 조며익구의 광색 및 색온도로 인하여 황색의 색도분포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