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variety

검색결과 3,331건 처리시간 0.031초

Breeding of Powdery Mildew Resistant Squash 'Miso'

  • Cho, Myeong-Cheoul;Om, Young-Hyun;Huh, Yun-Chan;Cheong, Seung-Ryong;Kim, Dae-Hyun;Mok, Il-Gin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1-5
    • /
    • 2011
  • A new powdery mildew resistant squash (Cucurbita moschata Duch.) 'Miso' was bred from a cross between powdery mildew resistant true variety 'Sangol' and powdery mildew susceptible inbred line 'Seoulmadi' at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NIHHS). The 'Miso' variety was vigorous and highly resistant to powdery mildew. It showed white green fruit color. The variety yielded 21.3MT/ha which is 52% more than control variety.

Characteristics of newly bred mulberry variety, 'Saealchan' resistant to sclerotial disease

  • Sung, Gyoo Byung;Kim, Yong Soon;Ju, Wan Taek;Kim, Hyun Bo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7권2호
    • /
    • pp.55-62
    • /
    • 2018
  • We bred a mulberry cultivar named 'Saealchan' through local adaptability test, which is under registration as a new cultivar for fruit production. Local adaptability test had been carried out at four local places (Jeonju, Gongju, Jangseong, and Sangju) for five years from 2013. This variety 'Saealchan' belongs to Morus alba L. selected from seedlings collected from mother mulberry 'Shimheung'. Saealchan was resistant to popcorn disease and high yielding variety in fruit productivity by 194% compared to control cultivar 'Shimheung (Morus alba L.)' for three years. Although fruits of 'Saealchan' was smaller in size and lower in sugar content of mulberry fruits compared to control variety 'Shimheung', it showed strong resistance to sclerotial disease compared to 'Shimheung'.

저추대 고품질 다수성 참당귀 ‘안풍’ (A New Stable Bolting, High Quality and High Yielding Variety ‘Anpung’ of Angelica gigas Nakai)

  • 유홍섭;성낙술;박춘근;김영국;박충헌;박희운;이봉호;권오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419-422
    • /
    • 2002
  • 참당귀 신품종 "안풍"은 작물시험장에서 지역수집종을 개체 및 집단선발하여 육성한 품종이다.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수원, 평창, 봉화 3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저추대 고품질 다수성으로 인정되어 2001년 농촌진흥청 농작물직무육성 신품종선정심의위원회에서 신규품종으로 결정되어 품종보호출원을 하였다. 안풍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엽색은 녹색이고 줄기색은 녹색에 자색을 띠며 꽃색은 적자색이고 종피색은 담갈색이다. 뿌리의 표피는 황갈색이고 육질은 백색이다. 2. 초장은 만추당귀 보다 길며 엽수는 비슷하였으나 생육기간중 지상부 생육은 만추당귀에 비하여 양호하였다. 뿌리는 만추당귀에 비하여 근장이 길고 근경이 굵으며 지근수가 많아 주당 건근중이 무거웠다. 3. 점무늬병은 만추당귀와 비슷하였으나 뿌리썩음병은 다소 적었다. 응애는 만추당귀와 비슷하였다. 4. 온상육묘이식 재배시 1년차에 안풍의 추대율은 0.6%로 만추당귀 0.3%보다는 다소 높았으나 진부재래 49.3%보다 낮았다. 노지육묘이식 재배시 2년차에 추대 및 개화되는 정도는 $0{\sim}15%$정도이다. 5. 3개지역 3년간 안풍의 평균수량은 3,630 kg/ha로 만추당귀 3,270 kg/ha보다 11% 증수되었다. 6. 안풍의 엑스함량은 46.3%, 데쿠루신은 3.48%, 데쿠루시놀 안젤라이트는 2.79%로 주요성분 모두 만추당귀 보다 높았다.

잇꽃(홍화) 내병 다수성 신품종 '진선(眞善)' (Disease Resistant and High Yielding New Safflower Variety 'Jinsun')

  • 최병열;조은제;박경열;이한범;이은섭;김영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7-170
    • /
    • 2003
  • ${\ulcorner}$진선${\lrcorner}$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1993년에서 전국에서 수집한 잇꽃 재래종 36계통에 대하여 $1995{\sim}1998$년까지 특성 검정한 결과 조숙 내병 다수성으로 유망한 계통을 순계 분리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탄저병에 강하고 수량성이 높은 우량품종으로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는 6월 22일이었으며 주당성숙화두수는 청수홍화 13.9개에 비하여 0.8개 많고 등숙율은 청수홍화 78%에 비하여 2% 높았다. 2. 조단백질 함량은 청수홍화 13.8%에 비하여 2.3%, 주요지방산비율은 리놀 레산이 청수홍화 78.3%에 비하여 1.7% 많고 올레산이 청수홍화 11.7%에 비하여 3.4% 적었다. 3. 탄저병 발병주율은 청수홍화 22.3%에 비하여 3.7%로 낮았으며 10a당 종 실 수량은 237.7kg으로 청수홍화 214.9kg에 비하여 11% 증수하였다.

식량생산능력 향상을 위한 농작물 육종전략 (Breeding Strategies to Increase Production Potential of Major Food Crops in Korea)

  • 김광호;김석동;박문웅;문헌팔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대회지
    • /
    • pp.80-101
    • /
    • 1999
  • Self-sufficiency ratio of food crops in Korea is estimated under $20{\%}$ in 2010 because total food consumption including feed will be increased. but food grain production will be decrease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optimum level of food self-sufficiency rate to secure national food demand/supply balance and non-trade and multiple function of agriculture in Korea. It will be possible to produce more food grains having the acceptable quality if the appropriate policy and cropping techniques are developed and practised in future. Breeding for high yielding varieties should be the first target to raise the production potential of food crops . Number of varieties developed during last 30 years is counted as 353 in food crops. New varieties developed in 1990s showed the higher yield potential and the improved agronomic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1970s and 1980s varieties. But number of varieties planted on the farmer's field over $5{\%}$ of national planting area is less than one third of total varieties developed Breeding efforts to maintain planting area of main food crops should be focussed on consumer's demand and farmer's need. They are the best quality variety in each field of crop utilization, the newly designed variety adapting to changes of natural, rural and cropping environment, and the higher yielding variety. It is also needed to develop new quality crop varieties for inducing more consumption of crop grain produced in Korea for direct food or processing. Development of barley varieties for animal feed. high income soybean varieties, high quality wheat variety. and super yielding rice and barley varieties are also needed to keep or maximize national food production potential. In order to establish the appropriate cropping technique for domestic food security, the strong and continuous interest and financial support on crop breeding are required, and the inter-disciplinary and inter-institutionary researches should be strengthened for successful crop breeding.

  • PDF

맥주맥 단간다수성 신품종"두산 8호" (New Semi-dwarf and High Yielding Malting Barley Variety "Doosan #8")

  • 박우형;정창해;최창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5-40
    • /
    • 1982
  • 우리나라에 재배되고 있는 맥주맥의 주요품종인 Golden Melon, 향맥 및 OB-S_1이 장간이고 간이 약하여 재배하기 힘든 품종들임으로 단간으로 도복이 없고, 양질ㆍ다수성인 품종을 육성하고져 1972년 두산농산(주) 맥주맥 시험장에서는 태중 2조대맥001에 Deba abed를 교배하여 선발 고정한 것으로 1979년 F$_{7}$세대에서 두산 8호의 계통명을 부여하여, 1979-1981년까지 지방적응 연락시험을 실시한 결과에서 단간, 내도복, 양질, 다수성이 인정되어 1981년 농수산부 종자심의회에서 전남, 경남 및 청주도의 맥주맥 장려품종으로 결정하였는데 그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두산 8호는 향맥에 비하여 간장이 30cm가 짧은 단간종이고 도복이 없으며 포복형으로 수잉기에 간이 직립한다. 2. m_2당 수수는 생산력 검증시험에서 49본, 지방적응 연락시험에서 111본이 많은 다벽성 품종이다. 3. 출수기는 향맥보다 같거나 2일정도 늦고 성숙기는 같거나 2일 빠른 품종으로 타 품종보다 조파하는 것이 좋다. 4. 지방적응 연락시험에서 수량은 해남에서 39%, 사천에서 34%, 진주에서 24% 등의 증수로서 전지역에서 평균 18%의 증수를 나타내는 다수성 품종이나 품종의 재배적 특성을 고려한다면 해안지역 및 비옥지에 적응성이 한층 더 높다. 5. 원맥의 외관품질 및 맥아품질에서 1000립중과 선립율이 높고 맥아 수량율 및 Extract수량이 높은 고전분, 저단백 품종으로 맥아 제조에 양질의 품종이다. 6. 시비량을 일정수준 이상 증시하더라도 증수의 효과가 없음으로 삼요소의 균형시비(N-P_2O$_{5}$-K_2O=8-12-8)가 요망된다.

  • PDF

겹꽃 분화용 할미꽃 신품종 '겨비' (A New Double-Petaled Pasqueflower (Pulsatilla koreana) Variety, 'Gyeobi')

  • 이야성;김동관;최덕수;최진경;손동모;최경주;백형진;임요섭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45-247
    • /
    • 2010
  • 할미꽃 신품종 '겨비'는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2001년에 자생 할미꽃(Pulsatilla koreana) 종자를 화학적 돌연변이를 유발(sodium azide 3 mM/16 hr)하고, 2004년과 2005년에 특성검정을 통해 2005년에 육성되었다. '겨비'의 꽃은 적자색이고 약은 진노랑, 주두는 적자색이며 화형은 겹꽃으로 꽃잎이 12매이다. 주당 화경은 6.3개, 화경장과 엽장은 각각 26.4, 14.2 cm이고, 화폭과 포폭은 각각 7.5, 11.0 cm이다.

쌀보리의 돌연변이육종에 관한 연구 I. 방사선에 의한 유용변이계통 및 신품종 ′방사6호′에 대하여 (Studies on the Mutation Breeding of Naked Barley I. A New Mutant Variety "Radiation No. 6" and Several Promising Mutant Lines by Radiation)

  • 김영상;박공열;이돈길;김일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2-86
    • /
    • 1976
  • 쌀보리에서 돌연변이 육종법에 의한 조숙 단간에 의한 내도복성, 다수성인 신품종육성을 시도하고저 쌀보리품종 '방주', '기까이하다가' 및 '재래종'을 공시하여 열중성자 및 X-ray를 조사한 처리집단에서의 유용변이 계통들과 신품종 '방사 006'의 그 특성을 교비검토하였다. 1. M$_3$와 M$_4$세대에서의 단간 조숙형질에 대한 선발효과는 높았고 1m$^2$당 천립중의 변이폭은크게 나타나고 일수립수의 차는 적게 보였다. 2. 단백질함량의 변이폭이 컸으며 특히 '방사 1004'의 단백질함량이 높게 나타났음은 성분육종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3. 신품종 '방사 006'는 모품종에 비하여 조숙, 단간(23%단간화) 내도복성이고 수수확보(모품종대 방사 006=367/498 개/m$^2$)가 용역한 품종으로서 수량 안정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4. "방사006호"는 모품종과 비교하여 내한성이 다소 약하나 내습성과 내병성은 거의 동일하다. 5. 돌연변이육종법의 이점의 하나로서 육종 년한의 단축을 실증해주는 좋은 예로서 "방사 6호"는 한국에서는 최초로 변이를 유기한 후 7년만인 1974년 9월에 신장려품종으로 결정되었다.증해주는 좋은 예로서 "방사 6호"는 한국에서는 최초로 변이를 유기한 후 7년만인 1974년 9월에 신장려품종으로 결정되었다.종으로 결정되었다.

  • PDF

Variation in vowel duration depending on voicing in American, British, and New Zealand English

  • Cho, Hyesun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8권3호
    • /
    • pp.11-20
    • /
    • 2016
  • It is well known that vowels are shorter before voiceless consonants than voiced ones in English, as in many other languages. Research has shown that the ratio of vowel durations in voiced and voiceless contexts in English is in the range of 0.6~0.8. However, little work has been done as to whether the ratio of vowel durations varies depending on English variety. In the production experiment in this paper, seven speakers from three varieties of English, New Zealand, British, and American English, read 30 pairs of (C)VC monosyllabic words which differ in coda voicing (e.g. beat-bead). Vowel height, phonemic vowel length, and consonant manner were varied as well. As expected, vowel-shortening effects were found in all varieties: vowels were shorter before voiceless than before voiced codas. Overall vowel duration was the longest in American English and the shortest in New Zealand (NZ) English. In particular, vowel duration before voiceless codas is the shortest in New Zealand English, indicating the most radical degree of shortening in this variety. As a result, the ratio of vowel durations in varying voicing contexts is the lowest in NZ English, while American and British English do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each other. In addition, consonant closure duration was examined. Whereas NZ speakers show the shortest vowel duration before a voiceless coda, their voiceless consonants have the longest closure duration, which suggest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vowel duration and closure duration.

다발성 신품종 느타리 '다굴'의 육성 및 자실체 특성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multi-generation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variety 'Dagul')

  • 신평균;김희정;최찬식;유영복;공원식;장갑열;오연이;정종천;서장선;오세종;이금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54-158
    • /
    • 2013
  • 느타리(Pleurotus ostreatus)의 품종 육성은 ASI 2596(수한3호)와 ASI 2782(흑변이체)와 Mon-Mon 교잡을 통하여 3계통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우량계통 중에서 품질이 가장 우수한 SB-73을 '다굴'로 명명하였다. 주요 특성은 균사생장 적온이 $25^{\circ}C$이나 $30^{\circ}C$에서도 잘 자라며, pH의 범위가 pH5~8까지 넓게 형성되었고, 자실체 발생 최적온도는 $14{\sim}17^{\circ}C$였다. 균사체 배양에서 대선형성유무는 모균주 수한3호와 흑변이체와는 뚜렸한 대선을 형성하였다. 자실체 갓의 색깔은 연회색을 나타내었고, 형태로는 대조품종인 수한3호와 같이 다발형이었다. 자실체 수량은 병당 $68.0{\pm}24.1$로 수한3호의 수량지수를 100으로 보았을 때 115를 나타내었다. 또한 대의 길이는 수한3호보다 길고 개체발생수가 $26.1{\pm}7.5$로 수한3호 $10.5{\pm}2.6$보다 많이 형성되어 다발성을 보여주었다. 2종류의 primer를 이용하여 새로운 품종 '다굴'에 대한 RAPD pattern를 분석한 결과 모균주 수한3호와 같은 pattern를 가지면서 다른 밴드가 존재하였다. 신품종 '다굴'은 개체발생수가 많고 대가 길어 재배방법이 확립되면 농가 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