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town

검색결과 502건 처리시간 0.028초

형태학적 개념을 활용한 조선시대 고산현의 도시형태 변천과정 해석 (Morph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Urban Form in Gosan-Up)

  • 이경찬;강인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7-49
    • /
    • 2014
  • 본 연구는 조선시대 읍치로부터 성장한 지방 소도읍의 하나인 고산을 대상으로 형태학적 개념과 연계하여 도시의 형성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형태구조와 도시평면 변화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해보고 시기별 형태특성을 도출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산의 도시형태 분석을 위하여 콘젠과 카니지아가 설정한 도시형태 분석개념을 토대로 형태구조, 도시평면, 경로체계, 개발규정선, 전이지대, 중심지구, 평면단위, 형태시기, 브레이크 포인트, 자투리필지, 유휴지, 사유화 등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고산현시대에 골격이 형성된 고산의 도시형태 변천과정에는 도시형태 형성-구시가(kernel)의 형태구조 해체 재편-중심지구(epidome district)의 형성 발달-확장형 충진-중심지구 확장 재편으로 이어지는 순환적 사이클이 존재하고 있다. 공공사업은 고산의 형태구조와 도시평면의 변화를 주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초기 단계 고산의 형태적 변화과정에는 간선경로로서 구시가(kernel)을 관통하며 개설된 신작로(고산로)와 이를 연결하는 계획로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신작로 개설을 계기로 T(십(十))자형 골격도로체계를 바탕으로 구시가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던 관아시설구역의 평면단위가 소블록 단위의 개방형 평면단위로 전이되었다. 이와 더불어 신작로와 시장 경계도로를 따라 상가가 들어서면서 선형의 평면단위를 지니는 노선상가와 시장이 어우러진 근대적 중심지구를 형성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신도시 초등학교의 통학로 안전환경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Environment in Korea)

  • 윤용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4권2호
    • /
    • pp.26-36
    • /
    • 2015
  • 우리나라의 교육환경평가제도는 그 동안 많은 역할을 한 것도 사실이지만, 통학로 안전환경 조성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환경평가 항목중 '학교위치'를 중심으로 통학로 안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적 연구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각종의 문헌 및 선행연구서나 논문 등의 자료를 기초로 통학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계획요소와 이들 계획요소별 안전성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경기도지역내 3개 신도시(SB, DB, PK) 총 27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통학로 안전 실태조사를 하였다. 조사분석은 20개 계획요소에 대하여 평가기준에 따라 '우수(5점), 보통(3점), 미흡(1점)'의 3등급 척도로 구분하고, 각 요소별 점수를 5점에 최대취득 점수는 100점 만점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개발시기가 다른 'SB(53.38점)

조세담보금융을 활용한 신도시 광역교통시설설치비용 조달효과 (Effects of Financing the Cost of Metropolitan Transportation Facility using TIF)

  • 송영일;최대식
    • 토지주택연구
    • /
    • 제6권4호
    • /
    • pp.185-193
    • /
    • 2015
  • 수도권 신도시가 도입된 이래 신도시 분양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는데, 그 주된 원인 중의 하나는 광역교통시설 설치비용의 과도한 부담이다. 광역교통시설은 신도시 외에도 그 인근 지역이 사용하는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지자체의 부담 없이 사업자에게 전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탄신도시를 사례로 광역교통시설의 통행수요 분석을 통해 지자체와 사업자간 합리적인 비용분담구조를 도출하고 그 재원을 조달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조세담보금융(TIF)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통행수요 분석결과, 신도시 기점 가중통행량 비율은 35.1%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지방정부가 부담해야할 사업비는 약 8000억원으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규모의 재원을 재산세만을 활용해 지자체가 조달하기 위한 TIF 운영은 적어도 20년의 조달기간과 부동산가치 증가율 2%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Site suitability for conifer plantation and a new challenge to utilize deciduous trees

  • NAGASHIMA, Keiko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24
    • /
    • 2018
  • Degraded plantation forests are increasing because of unfavorable forestry conditions prevailing in Japan, including falling timber prices, increasing operational costs, and aging and declining forestry workforce. To remedy this situation,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y is required. This study introduces the challenges of Odai Town, Mie Prefecture that employed a new management strategy by evaluating site suitability for conifer forests and that proposes a new forest management regime of planting deciduous trees in unsuitable sites. The site suitability for conifer forests was evaluated from two aspects: the natural site conditions and the relationship among site conditions, growth, and damage by Anaglyptus subfasciatus Pic. in Cryptomeria japonica D. Don and Chamaecyparis obtusa Sieb. Et Zucc. forest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site conditions, growth, and insect damage based on field data obtained in plantation forests, growth evaluation and insect damage evaluation map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natural forest investigation, natural site condition maps for C. japonica and C. obtusa were established. Furthermore, by integrating these evaluation maps with the forest road maps showing the accessibility to the forest, the forest management regime for the whole plantation area of Odai Town was established. The forest management regime map indicates the sites suitable for forestry: suitable for long-rotation, short-rotation, and potential sites for short-rotation. The sites unsuitable for forestry were considered to be more suitable for broadleaved forests. Clear-cutting was conducted in a small area and different seral stage saplings (approximately 20 deciduous tree species) suitable to the site conditions were planted in an area of $80-120m^2$ protected by deer-fences. This might establish a forest composed of many species with a multilayer vertical forest structure in a short period. The planted saplings were distributed neither randomly nor uniformly to reflect the natural distribution of trees in the forest. A challenge to develop new products using the deciduous trees has started, such as wood chips for preparing smoked food, essential oil, and deodorizer. As these challenges have just begun, their effects on enhancing sustainable resource management are still being monitored. Even with the challenges, this regime can be of high value as a management strategy to remedy the situation of expansion of degraded forests in Japan.

  • PDF

1km 해상도 태양-기상자원지도 기반의 초고해상도 태양 에너지 분석 (Analysis of Very High Resolution Solar Energy Based on Solar-Meteorological Resources Map with 1km Spatial Resolution)

  • 지준범;조일성;이채연;최영진;김규랑;이규태
    • 신재생에너지
    • /
    • 제9권2호
    • /
    • pp.15-22
    • /
    • 2013
  • The solar energy are an infinite source of energy and a clean energy without secondary pollution. The global solar energy reaching the earth's surface can be calculated easi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latitude, altitude, and sloped surface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actual state of the atmosphere and clouds. The high-resolution solar-meteorological resource map with 1km resolution was developed in 2011 based on GWNU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olar radiation model with complex terrain. The very high resolution solar energy map can be calculated and analyzed in Seoul and Eunpyung with topological effect using by 1km solar-meteorological resources map, respectively. Seoul DEM (Digital Elevation Model) have 10m resolution from NGII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nd Eunpyeong new town DSM (Digital Surface Model) have 1m spatial resolution from lidar observations. The solar energy have smal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ocal mountainous terrain and residential area. The maximum bias have up to 20% and 16% in Seoul and Eunpyung new town, respectively. Small differences are that limited area with resolutions. As a result, the solar energy can calculate precisely using solar radiation model with topological effect by digital elevation data and its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is data for the photovoltaic and solar thermal generation.

신도시 거주민의 계속거주의사 결정 요인 분석 - 분당신도시 거주민을 대상으로 (Study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New Town Residents' Living Intention - Focused on the Residents of Bundang New Town)

  • 김용진;김성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05-411
    • /
    • 2016
  • 본 연구는 준공 및 입주가 이루어진지 20년이 경과된 수도권 1기 신도시들에 대한 관리 및 거주민의 지속적인 거주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대표적인 수도권 1기 신도시인 분당신도시를 대상으로 실제 거주민의 계속거주의사와 리모델링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분당신도시 거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구축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거주민들의 계속거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직간접적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거주민들의 계속거주의사에는 가구주 연령, 성별, 거주기간, 점유형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요소 중에서는 교육환경과 쇼핑환경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Ageing in Place 개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해당지역의 교육 여건을 개선하고 다양한 상업시설 및 생활편의시설 확충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계속거주의사가 리모델링 찬반 의향에는 직접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해당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거주하고자 하는 주민이 꼭 자신의 아파트를 리모델링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계속거주의사를 매개변수로하여 인지된 환경 요소들이 리모델링 찬반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통환경과 교육환경, 쇼핑환경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상수도 공급량 산정의 적정성 평가 (Assessment of Adequacy of Urban Water Supply)

  • 김장진;장형준;이호진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61-6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도시 설계의 핵심 요소인 상수도 공급량의 적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상수도의 공급은 설계가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된다. 기초 자료 수집 분석을 시작으로 수급 계획을 수립하여 상수도 공급량을 산정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인구추정과 원단위 산정의 적정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실측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제 2기 신도시 중 위례신도시를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장래인구와 원단위를 확인하고 실측자료와 비교하였다. 위례신도시의 2020년 9월 기준 인구는 93,977명으로 계획인구 110,990명으로 약 84%의 적정성을 보임에 따라 계획인구와 실제 인구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단위의 경우 설계 당시 서울지역 314ℓ/인, 성남지역의 320ℓ/인으로 산정되었다. 분석 결과, 계획도시 내의 공급량을 알아보면서 인구추정에 있어 어느 정도 일치함을 알 수 있었으나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는 지속적인 개발에서 벗어나 기존의 도시 활성화에 대한 관심이 많은바, 구도심에 대한 공급량의 적정성에 관해서도 추후 연구가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박병주의 '새서울백지계획(1966)'과 1960-70년대 한국의 도시계획 담론에 관한 연구 (Park Byung-Joo's 'New Seoul Blank Plan(1966)'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s Urban Design during 1960-1970s)

  • 엄운진;정인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2호
    • /
    • pp.97-108
    • /
    • 2020
  •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the planning method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Park Byung-Joo's New Seoul Blank Plan(1966)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s Urban Design during the 1960-1970s. In addition, it also tries to reveal how the planner's ideas were transformed into realized urban projects in Korea. By the comparison of the New Seoul Blank Plan and these projects, we can come to understand how the new concepts of urban planning such as CIAM's planning principles, Neighborhood Unit Theory, New Town plan and green belt concept were adapted to Korean society in the 1960s and 1970s.

신도시지역 행정구역개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New Town)

  • 이향수;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21-2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C시 사례를 중심으로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행정구역 개편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연구대상 기업도시지역에는 2개의 면단위 지역과 1개의 읍지역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그렇다면 과연 이들 지역은 신도시라는 거대한 메가폴리스로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통합하는 것이 옳은 것인가 ? 아니면 그대로 분리하는 것이 옳은 것인가 ? 이러한 질문을 가지고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본연구에서는 행정구역 개편과 관련된 이론들에 대한 문헌연구를 하고, 해당 신도시 지역의 관련 이슈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행정구역 개편을 추진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조와 이해가 필요하다. 둘째, 통합 시 통합의 목표 및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셋째, 통합 전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공동체를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째, 이해관계 집단의 양보와 조정이 필요하다. 여섯째, 행정구역 개편과정은 절대적으로 민주적이고 공정해야 한다.

보고타와 서울 대도시권간의 지역 성장과 도시프로젝트 관리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Regional Growth and Urban Project Management between Bogotá and Seoul Metropolitan Area)

  • 바네스 벨라스코;다비드 부르바노 곤잘레스;최준영
    • 토지주택연구
    • /
    • 제10권2호
    • /
    • pp.29-43
    • /
    • 2019
  • 콜롬비아는 가속화된 도시화 과정, 주택 부족 및 도시 개발 가능 토지 부족을 통해 대도시 인구 증가를 가져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콜롬비아 중앙 정부는 Macroprojects와 같은 도시 개발 방법 등을 포함한 대규모 주택도시 개발을 위한 국가 정책을 개발해왔다. 그러나 주택 부족 문제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고 인구가 집중된 도시내부 지역은 특히 심각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콜롬비아와 한국의 도시 개발 시스템을 비교를 위해 i) 두 국가의 수도권 대도시권을 비대칭적 맥락 방법을 통해 비교분석하고, ii) 양국의 대도시권 도시개발제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iii) 마지막으로 한국의 신도시 개발 경험이 보고타 대도시 지역의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