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twork security

검색결과 5,954건 처리시간 0.034초

Strengthening Authentication Through Content Centric Networking

  • Kim, Sung-Jin;Park, Jae-Ky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75-82
    • /
    • 2017
  • While the internet has evolved in terms of information sharing and efficiency, it is still prone to security attacks and remains vulnerable even when equipped with a security mechanism. Repeated patching against hacks involves excessive wear of system equipment and high costs. Methods of improving network security include the introduction of security equipment and network partitions, but they have not been fully effective. A fundamental solution is the Operation Content Network (OCN), which enables the strengthening of authentication. In this paper, Instead of following the existing TCP/IP system, OCN establishes an immunity-based security system through content-centric communications. Data transmission occurs over a Content Centric Network (CCN), which is provided with a protocol verified by the CCNx group. Areas protected by OCN rely only on CCN for communication without using any IP. As such, it defends the system against unknown attacks, including zero-day attacks.

Virtual Network Embedding through Security Risk Awareness and Optimization

  • Gong, Shuiqing;Chen, Jing;Huang, Conghui;Zhu, Qingchao;Zhao, Siy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7호
    • /
    • pp.2892-2913
    • /
    • 2016
  • Network virtualization promises to play a dominant role in shaping the future Internet by overcoming the Internet ossification problem. However, due to the injecting of additional virtualization layers into the network architecture, several new security risks are introduced by the network virtualization. Although traditional protection mechanisms can help in virtualized environment, they are not guaranteed to be successful and may incur high security overheads. By performing the virtual network (VN) embedding in a security-aware way, the risks exposed to both the virtual and substrate networks can be minimized, and the additional techniques adopted to enhance the security of the networks can be reduced. Unfortunately, existing embedding algorithms largely ignore the widespread security risks, making their applicability in a realistic environment rather doubtful. In this paper, we attempt to address the security risks by integrating the security factors into the VN embedding. We first abstract the security requirements and the protection mechanisms as numerical concept of security demands and security levels, and the corresponding security constraints are introduced into the VN embedding. Based on the abstraction, we develop three security-risky modes to model various levels of risky conditions in the virtualized environment, aiming at enabling a more flexible VN embedding. Then, we present a 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 formulation for the VN embedding problem in different security-risky modes. Moreover, we design three heuristic embedding algorithms to solve this problem, which are all based on the same proposed node-ranking approach to quantify the embedding potential of each substrate node and adopt the k-shortest path algorithm to map virtual links.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our algorithms.

5G 통신 네트워크 가상화 환경에서 보안 서비스의 위협 진단 체크리스트 (Threat Diagnostic Checklists of Security Service in 5G Communication Network Virtualization Environment)

  • 홍진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44-150
    • /
    • 2021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5G 통신네트워크 보안에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주요 고려 사항인 슬라이싱 보안 정책에 대한 방향을 검토하고, 5G 통신 네트워크 가상화의 보안 취약점 진단 항목들을 도출하며, 위험관리에 대한 주요 논의 사항들을 분석하고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유럽 핵심보안 연구기관인 ENISA(European Union Agency for Cybersecurity)의 5G 통신네트워크의 가상화 보안 정책 방향과, 국외 주요 관련 저널로부터 5G 통신네트워크의 가상화 보안정책과 취약점 분석 등의 연구 내용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에서는 5G 통신 네트워크의 가상화 보안에서 보안구조를 정리하였고, 보안 위협들과 위험관리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위험관리 영역에서 보안 서비스별로 취약점 진단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기여도는 여전히 논의 되고 있는 5G 통신 네트워크 가상화 보안에서 보안 위협 항목들을 요약하였다는 것과, 유럽의 5G 통신네트워크 사이버보안 방향을 파악 할 수 있었다는 것, 그리고 5G 통신 네트워크의 가상화 보안에 고려되어야 하는 취약점 진단 항목들을 도출하였다는 데 있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5G 통신네트워크 가상화 보안을 위한 취약점 진단 항목들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향후 5G 통신네트워크 가상화 보안의 취약점 진단 항목에 대한 상세한 진단 프로세스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악성행위 분석시스템 (Network Abnormal Behavior Analysis System)

  • 최선오;최양서;이종훈;이주영;김종현;김익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89-190
    • /
    • 2016
  • 요즘 사이버 공격이 많이 발생함에 따라 기존의 디지털 포렌식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트래픽을 수집해서 사이버 공격을 분석하는 네트워크 포렌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포렌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리는 이 논문에서 네트워크 악성행위를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망분리 환경에서의 IT 보안 위협 및 대응 방법 분석 (Analysis of IT security threats and countermeasures in a network-separated environment)

  • 김창석;김종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38-640
    • /
    • 2021
  • 망분리 환경은 내부 업무망과 외부 인터넷망을 분리하는 네트워크 보안 설계시스템으로 인터넷이 연결된 네트워크와 연결되지 않은 업무용 네트워크로 분리하여 내부 업무망과 외부 인터넷망이 분리되어 보안적 측면에서 단일망에 비해 비교적 안전한 네트워크 구조이다. 하지만 내부 시스템, 네트워크 장비, 보안장비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내부망을 감염시키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망분리 환경의 IT보안 위협 취약점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보안관제를 위한 기술적인 방안을 제안한다.

  • PDF

네트워킹기능과 정보보호기능 연동기술 메커니즘 구현 (A Securing Method of Relational Mechanism Between Networking Technology and Security Technology)

  • 노시춘;나상엽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1-17
    • /
    • 2007
  • 네트워크보안에서 네트워킹기능과 정보보호기능을 분리하여 관리하지 않고 연계하여 종합 메커니즘을 구성 및 적용할 경우 종합적인 정보보호 효율은 시너지효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네트워킹 기능과 정보보호기능을 연계하여 정보보호기능을 적용했을 경우의 연동 메커니즘 구현방법 개발과 그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연동 메커니즘에 의한 보안차단성과는 분리상황의 성과보다 $8{\sim}10%$ 증대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네트워크 정보보호기능 구현은 반드시 네트워킹기능과 정보보호기능을 연계하여 구성하고 그 성과를 측정 관리하는 것이 정보보호 성과 관리에 효율적 방법임을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기반 리플렉터넷 (A Reflectornet Based on Software Defined Network)

  • 박태준;이승수;신승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6호
    • /
    • pp.397-405
    • /
    • 2014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은 기존의 네트워킹 구조와는 상이하게 제어 계층과 데이터 계층이 분리되어 있어 데이터 계층을 중앙 집중 형태로 제어할 수 있는 네트워킹 구조로서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로 강력히 거론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잘 활용하면, 새롭고 다양한 네트워크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개발이 가능하여, 현재 해당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라우팅 기능 등과 같은 기본적인 네트워크 기능 외에도 네트워크 보안 기능 또한 SDN 기술을 활용하면 재설계가 가능하여 흥미로운 네트워크 보안 애플리케이션들이 다수 제안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네트워크 보안 애플리케이션들은 대부분 기존의 네트워크 기능을 SDN기술을 활용하여 재구현하였기 때문에, SDN이 제공하는 많은 기능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DN기술을 사용하여 악성 및 의심스러운 네트워크 공격 시도를 허니팟과 같은 감시/분석 시스템으로 재전송(redirect)해주는 기능인 리플렉터넷(Reflectornet)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또한,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실용성을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본 논문의 결과는 SDN 기술을 사용하여 더 지능적이고 진보된 네트워크 보안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촉진하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공공기관의 정보보안 관리 모델 연구 (Study of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Model in Public Institution)

  • 김재경;정윤수;오충식;김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43-50
    • /
    • 2013
  • 최근 지능화 고도화 되고 있는 사이버위협으로부터 기업의 정보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분야뿐만 아니라 관리적, 환경적 분야 등 전방위적 대응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안적으로 안전한 망 설계를 위해 물리적 망분리와 논리적 망분리등 보안 망 이론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여 기업 환경에 적합하고 상시적 대응 및 관리가 가능한 정보보호 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 모델은 기존 망에서의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개선사항이 적용된 망을 설계하기 위해서 중앙 관리성을 향상시킨 실시간 보안 대응 능력, 보안 위협 발생 시 선제 탐지 및 능동적 대처, 중요 장비 이중활르 통한 고가용성, 고성능, 고신뢰성 확보, 개별 네트워크의 보안 정책 통합 관리, 개별 네트워크의 망 분리로 보안성 향성 등의 기능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래머블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네트워크 보안 관리 구조 제안 (Proposal of Network Security Management architecture using Programmable Network Technology)

  • 김명은;오승희;김광식;남택용;손승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10C호
    • /
    • pp.1033-104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이기종의 보안 장비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보안 관리 구조와 관리 트래픽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미들웨어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보안 관리 구조는 정책 기반 네트워크 관리 (Policy Based Network Management: PBNM) 구조에 프로그래머블 네트워크 기법을 접목한 것으로, 다양한 이기종의 보안 장비를 보안 정책을 통해 관리할 수 있으며, 보안 장비 간 연동을 제공한다. 또한, 미들웨어에서 보안 정책을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해 줌으로써 관리상의 편이성을 제공하고 정책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구조와 PBNM 구조에서의 정책적용 및 변환시간과 메시지 전달시간을 비교함으로써 프로그래머블 미들웨어가 관리 트래픽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Security Awareness among Students in Campus Environment: Case Study

  • Najihah Osman;Haniza N;Zulkiflee 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0호
    • /
    • pp.188-198
    • /
    • 2023
  • In this era of globalization without limitation, many security issues occur, especially in a public network. Internet users significantly increased every single day. However, only some users are aware of security issues when they use Internet services. For the campus network environment, both staffs and students are susceptible to security threats such as data theft, unauthorized access and more due to different levels of awareness towards security threats. This paper is to study the level of awareness among students on security issues based on KSA model. As a case study, the survey was distributed among students in the UTeM campus network. A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and a structured questionnaire has been designed and distributed among students. The variables were focused on three (3) aspects, which are Knowledge, Skill and Ability (KSA). The finding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KSA with the level of awareness among students has been revealed. From the result, Knowledge is the most significant aspect that contributes to high awareness. For the future, a study about increasing students' knowledge about security issues should be addr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