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omycin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38초

경북지방 환돈에서 분리한 Streptococcus suis의 생화학적 성상 및 약제감수성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reptococcus suis Isolated from Diseased Pigs in Gyeongbuk Province)

  • 최성균;김성국;김영환;최정혜;조민희;조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1549-1555
    • /
    • 2010
  • Streptococcus suis는 사람과 돼지에서 다양한 감염을 유발하는 병원체이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 경북지방 양돈장에서 병성감정 의뢰한 돼지 가검물을 대상으로 S. suis를 분리하여 생화학적 성상, 약제감수성 시험 및 PCR을 이용한 동정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0개 농장에서 분리한 61주의 S. suis에 대하여 생화학적 성상시험 결과 모두 S. suis로 동정되었으며, VP 음성, hippurate, esculin, arginine decarboxylase 양성, lactose 분해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rehalose와 starch 분해능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생화학적 성상에 따른 phenotype은 11형으로 나누어졌다. 항생제 감수성 시험 결과 대부분의 균주가 amoxicillin/clavulanic acid, ampicillin, cephalothin, cefoperazone, florfenicol에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지만 amikacin, kanamycin, neomycin, streptomycin, erythromycin, clindamycin, tetracycline에는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16S-rRNA 특이유전자 부위를 이용한 PCR 결과 공시균주 모두 304 bp에서 증폭산물이 관찰되었다. 이들 결과는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돼지에서 S. suis 감염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양식 넙치 폐사피해 및 수산생물용 의약품 사용량 모니터링 (Monitoring of the mortalities and medications in the inland farm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South Korea)

  • 지보영;신기원;이대욱;김영재;이무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7-83
    • /
    • 2014
  • 2012년 5월에서 10월 사이에 우리나라 넙치 육상 양식장을 대상으로 폐사 피해 및 수산생물용 의약품 사용량을 전수 탐문조사와 표본 정밀조사의 형태로 진행하였다. 조사는 해당 양식장과 거래하고 있거나 관계를 맺고 있는 전국의 수산질병관리사 조사요원의 직접 현장 방문을 통한 면접과 표준 매뉴얼을 통한 진단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전국 565개의 넙치 육상 양식장을 대상으로 한 탐문 전수조사에서 해당기간 동안의 피해율은 27.18%로 집계되었고, 표본 60개소의 총 피해율은 25.50%로 나타났다. 표본조사의 피해율 조사가 $95{\pm}10%$ 이내의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피해원인 별로는 탐문조사 및 표본조사에서 모두 스쿠티카병, 자연감모, 연쇄구균병, VHS, 선별도태, 비브리오병, 활주세균병 등의 원인이 높은 피해율을 보이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피해 중량과 피해금액을 봤을 때는 고체중의 넙치에서 발생한 비감염성 원인에 의한 폐사피해 및 연쇄구균증이 매우 높은 피해율을 보여주었다. 표본조사에서 수산생물용의약품의 사용량을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의약품은 스쿠티카병 치료목적의 formalin 약욕제제인 것으로 나타났고, 항균 항생물질로는 연쇄구균병의 치료목적으로 사용되는 amoxicillin, florfenicol과 광범위 항균작용을 기대하는 oxytetracycline, neomycin 등의 사용량이 높았다.

Agrobacterium tumefaciens에 의한 강낭콩 키틴가수분해효소 유전자의 고려인삼으로의 도입 (Introduction of Bean Chitinase Gene into Korean Ginseng by Agrobaterium tumefaciens)

  • 이행순;권석윤;백경희;김석원;이광웅;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5-99
    • /
    • 1995
  • 본 연구는 이미 확립되어 있는 고려인삼의 체세포배발생을 통한 식물체 재분화와 Agrobacterium을 매개로 한 형질전환 시스템을 이용하여 항곰팡이성 인삼을 개발하고자 염기성인 강낭콩 키틴가수분해효소 유전자를 인삼으로 도입하였다. CaMV 35S promoter-강낭콩 키틴가수분해효소 유전자와 선발표지로서의 neomycin phosphotransferase II (NPT II) 유전자를 가진 pChi/748 binary 벡터를 pGA748로부터 제조하여 이를 도입한 A. tumefacience LBA4404와 인삼 접합배의 자엽절편을 1 mg/L 24-D, 0.1 mg/L kinetin이 첨가된 MS 액체배지에서 48시간 동안 공동배양한 후 동일배지에 100 mg/L kanamycine 500 mg/L carbenicillin을 첨가한 고체 배지에 옮겨 배양하였다. 배양 한달 후부터 절편의 절단면 부근으로부터 캘러스가 유도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어서 수많은 체세포배가 형성되었다. 이들 체세포배를 BA와 GA3가 각각 1 mg/L 첨가된 배지로 옮겨서 5주 경과되었을 때 식물체로 전환되었다. 재분화된 개체 중 선발된 8개의 식물체로부터 PCR과 이 산물의 Southern분석 결과 6개의 재분화 개체에서 강낭콩 키틴가수분해효소 유전자가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원유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acidophilus RMK567의 GABA 생성 및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ABA Produc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RMK567 Isolated from Raw Milk)

  • 임상동;김기성;도정룡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23
    • /
    • 2009
  • 본 연구는 국내 각 지역의 목장에서 수거한 원유에서 분리된 젖산균을 대상으로 monosodium glutamate 1%가 첨가된 10% 환원탈지유에 $37^{\circ}C$에서 18시간 배양한 후 GABA 양이 $711.40{\mu}g/g$ D.W을 생산하는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정된 균은 Gram 양성, rod형태의 동종발효균이며, 당 발효실험과 16S rDNA 분석결과 Lactobacillus acidophilus로 판명되었고, L. acidophilus RMK567로 명명하였다. 발효유에 적합한 starter인지 확인하기 위해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L. acidophilus RMK567은 배양온도 $40^{\circ}C$에서 빠른 생장을 보였고, pH 4.3에 도달하는데 15시간이 소요되었다. 16종의 항생제 중 kanamycin, neomycin, streptomycin에 대해 내성이 높았으며, 효소활성실험에서 leucine arylamidase와 ${\beta}$-galactosidase의 활성도가 높았다. 담즙 첨가시 약간의 영향을 받았으나 담즙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 내성 실험결과 pH 2에서 큰 변화가 없음에 따라 내산성이 있었다. 항균력 시험에서는 Escherichia coli에 대해 29.2%, Salmonella typhimurium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각각 39.1%, 51.4%의 억제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GABA 생성능이 우수한 기능성 발효유 제품의 스타터로 L. acidophilus RMK567은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Agrobacterium Binary Vector에 의한 포플러 형질전환(形質轉換)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研究) (Transformation of Populus Species by an Agrobacterium Binary Vector System)

  • 전영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2호
    • /
    • pp.199-207
    • /
    • 1988
  • 포플러류(類)에 대(對)한 유용유전자(有用遺傳子) 삽입에 관(關)한 기초(基礎) 연구(研究)로서, 북미(北美)의 자연잡종(自然雜種) 포플러, P. alba ${\times}$ P. grandidentata 3 클론을 대상으로 Agrobacterium tumefaciens A281과 A348 strain의 감염력을 조사(調査)하였다. Kanamycin 저항성(低抗性)의 neomycin phosphotransferase (NPT-II) 유전자(遺傳子)를 가진 Agrobacterium binary pGA 472 vector와 이들 조직배양(組織培養)된 세 클론의 잎조각을 함께 배양(培養)하여, 형질전환(形質轉換)된 부위(部位)를 선발(選拔)하기 위해서 kanamycin sulfate의 적정농도(適正濃度)를 조사(調査)하였다. A281과 A348 strain 중(中) A281 strain이 가지고 있는 pTiBo542가 binary vector system의 helper plasmid로서의 역할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저농도(低濃度)(10mg/l)의 kanamycin sulfate가 잎조각배양으로 부터 식물체(植物體) 유도를 억제하였다. Kanamycin 저항성(低抗性) 유전자(遺傳子)가 내포된 Agrobacterium binary vector와 잎조각을 함께 배양(培養)한 후(後) kanamycin에 대한 저항성(低抗性)을 가진 callus가 kanamycin(60mg/l)이 들어있는 식물체 유도배지에서 선발(選拔)되었다. Kanamycin 저항성(低抗性) 유전자(遺傳子)에 의해 형질전환된 이들 kanamycin 저항성(低抗性) callus와 정상적인 비교 callus를 kanamycin이 들어있는 식물체(植物體) 유도배지에서 배양(培養)했을때 정상적인 비교 callus는 50mg/l의 kanamycin 농도(濃度)에서 생장(生長)이 억제된 반면, 형질전환(形質轉換)된 kanamycin 저항성(低抗性) callus는 200mg/l의 kanamycin 농도(濃度)에서도 생장(生長)을 계속하였다.

  • PDF

형질 전환된 포플러에 대한 nos-NPT II 유전자의 기관별 발현 특성 (Organ Specific Expression of the nos-NPT II Gene in Transgenic Hybrid Poplar)

  • 전영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77-86
    • /
    • 1995
  • 임목을 대상으로 삽입된 외래 유전자의 공간적, 시기별 발현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온실에서 생육 중인 형질전환된 2년생 잡종 포플러 (Populus alba X P. grandidentata) Hansen 클론을 대상으로 삽입된 외래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각 기관별로 조사하였다. Agrobacterium binary vector pRT45, pRT102 및 pRT104에 의해서 형질전환된 3계통의 형질전환체 Tr15, Tr345, Tr665 모두는 선발가능한 표식 유전자로서 nos promoter-NPT II 유전자가 대상 식물체의 genome에 삽입되어 있으며, 그외에, pin2 promoter-CAT 유전자(pRT45), nos promoter-PIN2 유전자(pRT102), Cauliflower Mosaic Virus 35s promoter-PIN2 유전자(pRT104)가 3계통의 형질전환체에 제각각 삽입되어 있는 잡종 포플러이다. 이들 3계통의 형질전환 포플러 식물체의 DNA를 PCR 검정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해 본 결과 선발 가능한 표식 유전자인 NPT-II가 삽입되어 있음이 입증되었다 발현 정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NPT-ELISA 검정을 실시하였다. 삽입된 NPT II 유전자는 형질전환된 포플러의 잎, 엽병, 형성층 조직, 줄기의 목질부, 뿌리에서 발현되었으며, 발현 정도는 형질전환된 식물체의 계통에 따라서, 그리고 형진전환된 식물체의 부위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pRT45에 의해서 형질전환된 Tr15 형질전환체의 경우, 늙은 잎과 엽병에서 NPT II 유전자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었으며, 어린 잎과 뿌리 조직에서 가장 낮게 발현되었다. 삽입된 외래 유전자가 각 식물체간에, 각 기관에 따라서 각각 상이한 발현 정도를 나타내는 이와 같은 결과는 형질전환된 식물체에 대한 효과적인 선발과정이 요구됨을 의미함은 물론이고, 형질전환 식물체의 발달 과정에 따라서 삽입된 외래 유전자가 공간적, 시기적으로 각각 다르게 발현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다양한 유산균이 존재하는 발효식품으로 부터 Bifidobacteria의 선별 및 계수 (Selection and Enumeration of Bifidobacteria in Fermented Foods with Various Lactic Bacteria)

  • 이시경;박동기;오훈일;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51-756
    • /
    • 1999
  • Bifidobacteria를 다양한 유산균이 함께 공존하는 발효식품에 첨가시 이들을 분리할 수 있는 선택배지를 제조하기 위해 다양한 항생제의 생육저해 효과를 조사하였다. Gentamycin과 ripampicin은 $100\;{\mu}g/mL$의 농도에서 일반 유산균의 생육을 심하게 억제하였으나, bifidobacteria의 생육은 억제하지 않았다. ampicillin은 $50\;{\mu}g/mL$의 농도에서 일반 유산균은 거의 생육하지 못하였으나, bifidobacteria의 생육도 억제되었다. fosfomycin은 $100\;{\mu}g/mL$이상의 농도에서 일반 유산균보다 bifidobacteria의 생육이 더 억제되었다. Neomycin $80\;{\mu}g/mL$, gentamycin $50\;{\mu}g/mL$, ripampicin $50\;{\mu}g/mL$, nalidixic acid $15\;{\mu}g/mL$, $LiCl_2$ $3\;{\mu}g/mL$의 항생제가 함유된 MRS배지를 이용하였을 때 김치나 치즈에 존재하는 다양한 유산균의 생육을 억제시키지만 bifidobacteria의 생육을 억제시키지 않아 이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었다.

  • PDF

사료 첨가용 생균제를 위한 Probiotics 유산간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robiotic Lactobacillus Isolates for Calf Meal Supplements)

  • 이승배;최석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6-112
    • /
    • 2006
  • 한우와 홀스타인의 분변으로부터 MRS 배지와 LAPT 배지를 이용하여 무작위 선발법으로 54균주의 유산균을 1차로 분리하였다. 1차로 분리된 54균주에 대해 내담즙성이 우수한 10균주를 분리한 다음 내산성을 조사한 결과 인공위액 pH 2.5에서 LS1, LS15 및 LL6 균주가 각각 66.5%, 82.6% 및 80.7%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Sal. typhimurium, Sta. aureus 및 Cl. perfringens의 병원균에 대해 가장 큰 항균력을 보인 균주는 LL6와 LL7이었다. API CHL kit로 동정한 결과 LS1, LS2 및 LMI 균주는 모두 L. fermentum, LL6와 LL7 균주는 L. acidophilus, LS3 균주는 L. plantarum으로 각각 동정되었고, 나머지 4균주는 Lactobacillus spp. 로 동정되어 분리된 10균주 모두 안전성 있는 유산간균임을 확인하였다. 10종류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조사한 결과 ampicillin, amoxicillin과 erythromycin에 대해서는 감수성이 있으나 colistin과 ciprofloxacin에 대해 모두 내성을 나타내었다. LB1, LL6 및 LL7 균주는 gentamicin과 neomycin에 대해 내성을 보여 주었다. 분리 동정된 균주 중에 내산성, 내담즙성 및 병원성 균에 대한 특성을 기준으로 판단할 경우 probiotic 유산균으로 사용 가능성이 높은 것은 LL6인 L. acidophilus로 나타났다.

개 자궁축농증에서의 원인균 분리 및 항생제 감수성 검사 (Identific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bacteria from the uterus of bitches with pyometra)

  • 이소현;조종기;신나리;김혜수;용환율;이강남;유한상;이병천;황우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763-767
    • /
    • 2000
  • 본 연구는 1998년부터 1999년까지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에 내원한 개중 자 궁축농중으로 진단된 개의 자궁내용물로부터 균을 분리, 동정하고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여 개 자궁축농증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위 병원에 내원하여 자궁축농증으로 진단된 개는 16두였으며, 이들로부터 자궁적출술을 이용하여 자궁을 적출한 후 원인균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균에 대하여 15종의 항균제에 대하여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16두의 개로부터 분리된 균은 Escherichia coli 11주, Serratia marcescens 2주, Staphylococcus aureus 및 Salmonella spp 각 l주 씩 이었다. 이들 균주들에 대하여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균주들이 enrofloxacin, norfloxacin, chloramphenicol, nalidixic acid, gentamicin, Trimethprim-sulfamethazole, tetracycline에 대하여는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carbenicillin, amikacin, ampicillin, neomycin에 대하여는 중등도의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나, vancomycin, streptomycin, bacitracin, colistin에 대하여는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 PDF

Enterococcus faecium SA5의 기능적 특성과 인삼 ginsenoside Rb1의 전환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Enterococcus faecium SA5 and Its Potential in Conversion of Ginsenoside Rb1 in Ginseng)

  • 김은아;랜친핸드;어르가말 막살;박영우;남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2-179
    • /
    • 2017
  • 본 연구는 몽골 마유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Enterococcus faecium SA5의 이화학 특성을 파악하고 유산균 E. faecium SA5의 ${\beta}$-glucosidase의 활성과 이를 통한 ginsenoside 전환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E. faecium SA5는 내산성, 내담즙성을 나타내었으며 4종의 병원성 미생물(Salmonella typhimurium KCTC 3216, Listeria monocytogenes KCTC 3710, Bacillus cereus KCTC 1012,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에 항균 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항생물질 colistin, gentamycin, neomycin에 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E. faecium SA5는 bile salt hydrolase 활성을 나타내어 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준 감소 효과가 있다고 사료되며 10% skim milk에서 배양하였을 때, pH가 감소하고 산도 및 생균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발효유 스타터로써의 활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E. faecium SA5의 ${\beta}$-glucosidase에 의해 ginsenoside $Rb_1$이 ginsenoside $Rg_3-s$$Rg_3-r$으로 전환되었음을 TLC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E. faecium SA5는 잠재적인 probiotics로 이를 이용하여 발효유 제조 및 ginsenoside 전환 관련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