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matode species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1초

고사목에서 발견되는 저병원성 소나무재선충 및 이의 인공접종에 의하여 유도되는 소나무의 저항성 (Low-pathogenic Pinewood Nematode Found in Dead Trees and Resistance of Pines Induced by Its Pre-inoculation)

  • 박승찬;문일성;김동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41-147
    • /
    • 2014
  • 소나무재선충은 현재까지 도입된 국가의 토착수종인 소나무류를 모두 치사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고사목으로부터 추출 배양된 계통 중에는 소나무에 피해를 주지 않는 계통이 존재한다. 이러한 저병원성 계통 선충의 사전접종이 고병원성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소나무의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연구가 수행되었다. 치수에 저병원성 소나무재선충을 선접종한 결과, 선접종에 의하여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저항력이 유도되었다. 그 유도저항성은 1년 후까지 유지되었으며, 저병원성 선충의 반복 감염은 보다 저항성 유도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재선충에 의하여 고사한 후 경과기간이 3개월 이하인 피해목 및 피해진행목에서 분리된 선충은 모두 고병원성이었으며, 고사 후 2-3년이 경과한 벌채목에서 분리된 선충 5계통 중 4계통은 저병원성이었다. 저병원성 선충이 소나무 치수에 인공접종 되었을 때 초기 정착률은 고병원성 선충과 차이가 없었으나, 접종 30일 후에 수목내의 부위별 개체수를 조사한바 저병원성 선충의 증식률은 고병원성보다 현저히 낮았다. 저병원성 선충의 잿빛곰팡이병 균사배지에서의 선충증식 속도는 계통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증식속도가 빠른 계통은 대체로 고병원성 선충의 증식속도와 차이가 없었다.

Nematode Fauna of High Altitude Avian Hosts in garhwal Himalayan Ecosystems I. eustrongylides spinispiculum n. sp. and Revised Key to the Species of Genus Eustrongylides Jagerskiold (1909)

  • Rautela, Anand S.;Malhotra, Sandeep 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2호
    • /
    • pp.242-247
    • /
    • 1984
  • Analysis of variance has been applied as a new tool for precise substantiation of tabometric differences between Eustrongylides spinispiculum n. sp. and close species, as indicated by the polythetic divisive classificatory system. A revised key to the species of genus Eustrongylides Jagerski61d (1909) has been Presented.

  • PDF

선충포획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ndentification of Nematode-Trapping Fungi)

  • 박용근;이영록
    • 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27-134
    • /
    • 1983
  • 42 strains belonging to the genus Arthrobotrys and 17 strains belonging to the genus Monacrosporium, were isolated from soil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various localities in South Korea. 4 species of Arthrobotry and 2 species of Monacrosporium, which are unrecorded in Korea,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Harrd and Cooke classification key, respectively. The species identified are as follows ; A.conoides, A. oligospora, A. musiformis, A. oviformis, M. crystosporum nd M. salinum.

  • PDF

First record Acrobeles ciliatus (Rhabditida) and Plectus parietinus (Plectida) from South Korea

  • Eun, Geun;Ha, Jihye;Kang, Heonil;Kim, Yongchul;Choi, Insoo;Kim, Donggeu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318-323
    • /
    • 2016
  • Acrobeles ciliatus (von Linstow, 1877) and Plectus parietinus (Bastian, 1865) are newly collected from Korea. Acrobeles is similar to those nematode belongs to Rhabditidae and Panagrolaimidae by having terminal bulb without medium bulb but different by having complex, vines shaped labial attachment. A. ciliatus differed from other Acrobeles species by lateral fields with two incisures, primary axils U-shaped, and secondary axils V-shaped. Head region set off with the neck, three high labial probolae present, each having 5 tines at inner margins and 5-7 at outer margins, and two elongate apical tines. Also, it differs from the longer female body. Plectus parietinus is distinguished from all other species of Plectus by the prominent hypodermal glands, the relatively small amphid, the distinct and well set-off lips and by the subdorsal distal caudal seta on the left side of the tail. Stoma without stylet. Oesophagus about 1/4 of total body length with terminal bulb. Anus ca. $100{\mu}m$ from posterior extremity. Vulva is at middle of body. Have spinneret on tail tip.

Defect of SIRT1-FoxO3a axis is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during protein kinase CK2 downregulation-mediated cellular senescence and nematode aging

  • Ham, Hye-Jun;Park, Jeong-Woo;Bae, Young-Seuk
    • BMB Reports
    • /
    • 제52권4호
    • /
    • pp.265-270
    • /
    • 2019
  • We investigated whether SIRT1 is associated with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ccumulation during CK2 downregulation-mediated senescence. SIRT1 overexpression suppressed ROS accumulation, reduced transcription of FoxO3a target genes, and nuclear export and acetylation of FoxO3a, which were induced by CK2 downregulation in HCT116 and MCF-7 cells. Conversely, overexpression of a dominant-negative mutant SIRT1 (H363Y) counteracted decreased ROS levels, increased transcriptional activity of FoxO3a, and increased nuclear import and decreased acetylation of FoxO3a, which were induced by CK2 upregulation. CK2 downregulation destabilized SIRT1 protein via an ubiquitin-proteasome pathway in human cells, whereas CK2 overexpression reduced ubiquitination of SIRT1. Finally, the SIRT1 activator resveratrol attenuated the accumulation of ROS and lipofuscin as well as lifespan shortening, and reduced expression of the DAF-16 target gene sod-3, which were induced by CK2 downregulation in nematodes. Altogether,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nactivation of the SIRT1-FoxO3a axis, at least in part, is involved in ROS generation during CK2 downregulation-mediated cellular senescence and nematode aging.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과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Fabricius))에 대한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의 감염력 및 증식력 (Pathogenicity and Multiplica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 on Been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and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Fabricius))

  • 한상찬;이성섭;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55-260
    • /
    • 1999
  •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 기주 증식을 위해 실내 대량사육이 용이한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과 담배거세미나방(Sp. litura (Fabricius))유충에서 병원성과 증식선충수를 조사하였다. 반수치사 병원선충수는 두 기주간 또는 발육시기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기주내에 증식된 선충수는 기주의 크기에 비례하였다. 온도에 따른 선충의 증식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주내 최대 감염태 선충수(담배거세미나방 5령충에서 약 500,000마리, 파밤나방 5령충에서 약 100,000 마리)를 보이는 소요기간이 $25^{\circ}C$에는 접종 후 6일이나 $20^{\circ}C$에서는 12일로 길어졌다.

  • PDF

2010~2012년 연안에서 서식하는 해산어에서 아니사키스 유충의 감염현황 (Current status of anisakid nematode larvae infection in marine fishes caught from the coastal area of Korea between 2010 and 2012)

  • 김위식;전찬혁;김정호;김도형;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89-197
    • /
    • 2012
  • 2010~2012년까지 남해안 연안에서 서식하는 총 9목 30과 50종 243마리의 자연산 해산어류를 대상으로 아니사키스과 선충 유충의 감염현황을 조사하였다. 아니사키스과 선충 유충의 감염률은 10.7% (26/243마리) 로 나타났으며, 2010년 여수 시료에서 7.4% (7/95마리), 2011년 여수와 제주 시료에서 각각 22.7% (5/22마리) 와 8.2% (5/61마리), 2012년 완도 시료에서 40.9% (9/22마리) 로 나타났다. 2011년 통영 및 완도 시료에서는 아니사키스과 선충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다. 총 10종의 어류 (성대, 쏨뱅이, 넙치, 볼락, 삼치, 흰꼬리볼락, 점농어, 황놀래기, 독가시치 및 노래미) 26마리에서 분리된 89마리의 아니사키스과 선충 유충을 ITS gene을 타겟으로 한 PCR-RFLP 및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한 결과, 6종의 아니사키스충이 동정되었고 성대, 쏨뱅이, 넙치 및 볼락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감염율을 보였다: Anisakis pegreffii (53.9%, 48/89 아니사키스 유충), Hysterothylacium aduncum (38.2%, 34/89), H. fabri (3.4%, 3/89), hybird (A. simplex X A. pegreffii) (2.4%, 2/89), A. simplex (1.1%, 1/89), Raphidascaris lophii (1.1%, 1/89). 유충의 감염은 혼합감염 (19.2%, 5/26마리) 보다는 단독감염 (80.8%, 21/26마리) 이 높게 나타났다.

토양선충 Caenorhabditis elegans를 이용한 나노독성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for Nanotoxicity Using Soil Nematode Caenorhabditis elegans)

  • 김신웅;이우미;안윤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2호
    • /
    • pp.855-862
    • /
    • 2012
  • Free-living 선충으로 알려진 Caenorhabditis elegans는 주로 토양 공극수에서 서식하며, 토양 영양단계, 에너지 흐름, 그리고 분해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C. elegans는 나노독성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C. elegans를 이용한 나노독성과 그에 대한 기작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조사하였으며, 총 20건의 연구를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연구는 K-medium, S-medium, 그리고 NGM (Nematode Growth Medium) plate를 노출매체로 이용하고 있으며, 나노물질에 노출된 C. elegans로부터 관찰된 영향으로는 노화억제, 광독성영향, 유전독성, 그리고 표피자극 등이 포함되었다. C. elegans를 이용한 독성기작 연구는 개체 생활사 영향 평가, 산화스트레스 영향 평가, 유전독성영향 평가, 나노물질의 생체 내 분포, 그리고 나노물질 특성에 의한 독성영향 평가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세포활성, 잘 알려진 유전정보, 그리고 투명한 구조로 인한 나노물질 관찰의 용이성을 바탕으로, C. elegans를 이용한 나노독성연구의 장점을 확인하였다. C. elegans는 나노독성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시험종으로 고려되고 있다.

Redescription of Desmotimmia mirabilis (Timm, 1961) (Nematoda, Desmoscolecida, Desmoscolecidae) from South Korea

  • Chang, Cheon-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4권2호
    • /
    • pp.199-203
    • /
    • 2008
  • Desmotimmia mirabilis (Timm), a rarely known desmoscolecid nematode species, was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Yellow Sea off southwestern coast of Korea. This is the third record of the species, and the first report from the northwestern Pacific region. Redescription is prepared on the basis of a male specimen from South Korea.

한국 선충 포식성곰팡이 분류검색표 및 Arthrobotrys flagrans 와 A. superba의 재기재 (Key to the Korean Nematode-Trapping Fungi with Additional Descriptions of Arthrobotrys flagrans and A. superba)

  • 서종민;강헌일;권기윤;박남숙;배창환;최인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91-301
    • /
    • 2019
  • 선충 포식성곰팡이는 선충 포획 기관을 만들어 선충 포획 후 양분을 섭취하는 곰팡이다. 이들 중 Arthrobotrys flagrans와A. superba에 대한 특성들 중 보고될 때 생략된 것이 있어 두 종을 토양으로 부터 분리하고 순수배양하여 추가적으로 조사하였다. 선충 종류별 포식력, 포식기관의 형태·크기, 분생포자의 형태·크기, 분생포자병의 형태, 후막포자 등을 조사하였으며, ITS rDNA 염기서열의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토대로 종 동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1981년 처음으로 선충 포식성곰팡이가 국내에서 보고된 이래로 현재까지 총 21종이 발견되었으나 이들에 대한 분류 체계와 주요 식별 형질이 없는 상황이었기에 제공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직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은 국내 선충 포식성곰팡이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