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maticide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41초

침전·훈증처리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의 휨강도성능 및 경도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oaking and Fumigation Treatments on Bending Properties and Hardness of Pine Wilt Disease Infected Wood)

  • 윤석락;정성호;서동진;원경록;박한민;김종갑;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53-59
    • /
    • 2012
  • This study used pine wilt disease damaged trees as raw materials. The damaged woods were subjected to soaking treatment using wood vinegar, nematicide and sea water, fumigated treatment using fumigation, and the bending strength and hardness of the timber were measured at different points of time after the treatment. In soaking treatment, the highest bending strength was obtained from wood vinegar (100 fold dilution)-soaked specimens of Pinus densiflora and the nematicide-soaked specimens of Pinus thunbergii. The highest hardness in cross section was gained from the nematicide-soaked specimens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thunbergii, the highest hardness in radial section was obtained from the nematicide-soaked specimens of Pinus densiflora and wood vinegar (100 fold dilution)-soaked specimens of Pinus thunbergii, and the highest hardness in tangential section was obtained from the nematicide-soaked specimens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thunbergii, and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When fumigated treatment was applied, bending strength, hardness was somewhat lower in the control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reatments.

생물학적 살선충제의 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 방제 효과 (Control Effect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by Biological Nematicide)

  • 박문현;;김선중;윤민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2-168
    • /
    • 2012
  • 친환경 선충 방제제 개발을 위해 경북 성주군 선남면 및 충남 공주군 우성면의 시설원예 재배지 토양으로 부터 선충 포식성이 뛰어난 곰팡이 Arthrobotrys thaumasia Nema-1과 선충 표피성분인 collagen과 알집 주성분인 gelatin 분해능이 뛰어난 Bacillus subtilis C-9를 분리 하였다. 이들 분리균을 대상으로 포트실험을 통해 선충치사 효과의 지표인 난낭수 감소를 검토한 결과, 균밀도가 $7.0{\times}10^3cfu\;g^{-1}$인 A. thaumasia Nema-1 곰팡이 제제 $5,000mg\;kg^{-1}$을 처리 시 뿌리혹 선충의 난낭수가 무처리 대비 35% 감소하였다. 포식성 곰팡이 Nema-1 제제와 균밀도가 $8.5{\times}10^5cfu\;g^{-1}$인 B. subtilis C-9 세균 제제 각각 $5,000mg\;kg^{-1}$ 혼합 처리구에서는 난낭수가 무처리 대비 67% 감소하였다. 또한 선충치사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살선충 활성이 있다고 보고 된 계피추출물 제제 $10mg\;kg^{-1}$$5,000mg\;kg^-$의 Nema-1과 C-9 제제와 혼합하여 처리 하였을 때 난낭수가 무처리 대비 84%이상 감소하였으며, 대표적 살선충제인 선충탄(Fosthiazate) $24mg\;kg^{-1}$은 난낭수가 26% 감소한 결과와 비교해 볼 때 훨씬 높은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생물학적 선충방제제는 미생물 또는 식물체 추출물 단제 보다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방제방법이 땅콩뿌리혹선충 밀도와 참외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trol Methods on Yields of Oriental Melon in Fields Infested with Meloidogyne arenaria)

  • 김동근;최동로;이상범
    • 식물병연구
    • /
    • 제7권1호
    • /
    • pp.42-48
    • /
    • 2001
  • 참외 연작지에서 문제가 되는 뿌리혹선충의 효율적인 방제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땅콩뿌리혹선충이 감염된 성주과채류시험장 온실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재배적 방제로는 참깨, 파, 옥수수 및 벼를 참외 심기 전에 윤작작물로 재배하였고, 물리적 방제는 건토, 태양열처리 및 객토였으며, 화학적 방제약제로는 forthizate 입제를 사용하였다. 방제효율은 방제 방법간 큰 차이가 있었는데, 벼 윤작, 태양열처리, 객토에서 방제효과가 가장 높아 뿌리혹선충 밀도는 90% 감소하였고 참외 수량은 무처리에 비해 2배 증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구에서 선충밀도가 6월 이후 다시 증가하여 처리효과는 참외 한 작기에만 유효하였다. 다음으로 효과가 높은 것은 옥수수 윤작, 건토, forthizate 처리였다. Forthizate 처리는 초기 수량에서 유의한 증수 효과가 인정되었으나(P=0.05) 후기 수량과 전체 수량에서는 증수 효과가 없었다. 윤작작물로 참깨와 파는 선충 방제 효과가 없었다.

  • PDF

Hydrogen Cyanide Produced by Pseudomonas chlororaphis O6 Exhibits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Meloidogyne hapla

  • Kang, Beom Ryong;Anderson, Anne J.;Kim, Young Cheo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1호
    • /
    • pp.35-43
    • /
    • 2018
  •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spp.) are parasites that attack many field crops and orchard trees, and affect bo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products. A root-colonizing bacterium, Pseudomonas chlororaphis O6, possesses beneficial traits including strong nematicidal activity. To determine the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in the nematicidal activity of P. chlororaphis O6, we constructed two mutants; one lacking hydrogen cyanide production, and a second lacking an insecticidal toxin, FitD. Root drenching with wild-type P. chlororaphis O6 cells caused juvenile mortality in vitro and in planta. Efficacy was not altered in the fitD mutant compared to the wild-type but was reduced in both bioassays for the mutant lacking hydrogen cyanide production. The reduced number of galls on tomato plants caused by the wild-type strain was comparable to that of a standard chemical nematicid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ydrogen cyanide-producing root colonizers, such as P. chlororaphis O6, could be formulated as "green" nematicides that are compatible with many crops and offer agricultural sustainability.

살선충제의 처리방법에 따른 뿌리혹선충 방제효과 (Effects of Incorporation Method of Nematicides on Reproduction of Meloidogyne arenaria)

  • 김동근;최성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9-95
    • /
    • 2001
  • 다조메분제 , 벤즈입제 , 아사자포스입제, 카두사포스입제, 카보입제 ,타보입제 ,포스치아제 이트입제, 아조포유제 등 8종의 살선충제를 이용하여 살선충제의 처리방법 (전처리, 후처리)과 처리량(1, 2, 3배량)에 따른 땅콩뿌리혹선충, Meloidogyne arenaria의 방제효과 및 약해를 온실에서 토마토 및 참외를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전처 리에서 1배량으로 90%이상의 높은 밀도억제 효과를 보인 것은 카두사포스입제, 다조메분제,포스치아제이트입제였으며,카보입제는 3배량에서 비슷한 밀도억제 효과를 나타냈고, 벤즈입제는 가장 효과가 낮았다. 후처리는 전터리에 비하여 대부분 약 제들의 약효가 낮았는데, 후처리에서 가장 효과가 좋았던 약제는 포스치아제이트입제였다 기준량 의 약제로 전처리, 후처리를 통하여 모두 뿌리혹선충의 밀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던 것은 침투성 살선충제인 포스치아제이트입제였다.

  • PDF

Biocontrol Efficacy of Formulated Pseudomonas chlororaphis O6 against Plant Diseases and Root-Knot Nematodes

  • Nam, Hyo Song;Anderson, Anne J.;Kim, Young Cheo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3호
    • /
    • pp.241-249
    • /
    • 2018
  • Commercial biocontrol of microbial plant diseases and plant pests, such as nematodes, requires field-effective formulations. The isolate Pseudomonas chlororaphis O6 is a Gram-negative bacterium that controls microbial plant pathogen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is bacterium also has nematocidal activity. In this study, we report on the efficacy of a wettable powder-type formulation of P. chlororaphis O6. Culturable bacteria in the formulated product were retained at above $1{\times}10^8$ colony forming units/g after storage of the powder at $25^{\circ}C$ for six months. Foliar application of the diluted formulated product controlled leaf blight and gray mold in tomato. The product also displayed preventative and curative controls for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spp.) in tomato. Under laboratory conditions and for commercially grown melon, the control was at levels comparable to that of a standard commercial chemical nematicid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wettable powder formulation product of P. chlororaphis O6 can be used for control of plant microbial pathogens and root-knot nematodes.

Nematicidal activity of Glycyrrhiza uralensis Fisch. root extracts on Meloidogyne incognita eggs and juveniles

  • Dang-Minh-Chanh Nguyen;Thi-Hoan Luong;Van-Viet Nguyen;Woo-Jin J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388-393
    • /
    • 2023
  • This study evaluated the in vitro nematicidal activity of Glycyrrhiza uralensis root extracts (GuRE) on Meloidogyne incognita eggs and juveniles. The results showed that treatment of M. incognita eggs with 2.0 mg/mL GuRE for 5 and 10 d resulted in 64.0 and 68.1% hatch inhibition,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relative mortality of J2 was 96.2% after treatment with 2.0 mg/mL GuRE for 48 h. Changes in the shape of the eggs and juveniles were determined after incubation with 2.0 mg/mL GuRE for 5 d and 48 h, respectively. These preliminary results suggest that GuRE can be used as an environment-friendly bio-nematicide to control root-knot nematodes. In the future, in vivo assays should be conducted using GuRE to ascertain its potential for widespread application as a nematicide.

생물학적 선충 방제제를 이용한 고구마 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의 방제효과 (Nematicidal Effect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by Biological Nematicide)

  • 박문현;김진광;최원호;윤민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28-235
    • /
    • 2011
  • 친환경 선충 방제제 개발을 위해 경북 성주군 선남면 및 충남 공주시 우성면의 시설원예 재배지 토양으로 부터 선충 포식성이 뛰어난 곰팡이 Arthrobotrys thaumasia Nema-1과 선충 표피성분인 collagen과 알집 주성분인 gelatin 분해능이 뛰어난 Pseudomonas putida C-5를 분리 하였다. 이들 분리균의 선충치사 효과를 검토한 결과, A. thaumasia Nema-1 곰팡이 배양액 $5,000mL\;L^{-1}$을 처리 시 방제효과는 72시간 후에 55%이었으나, 포식성 곰팡이 Nema-1과 P. putida C-5 세균 배양액 각각 $5,000mL\;L^{-1}$ 혼합 처리구에서는 65%로 상승하였다. 또한 선충치사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살선충 활성이 있다고 보고된 계피추출물 $50mg\;L^{-1}$$5,000mL\;L^{-1}$의 Nema-1과 C-5 배양액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72시간 경과 후의 치사율은 89%로 상승되었으며, 대표적 살선충제인 선충탄(Fosthiazate) $50mg\;L^{-1}$의 방제가 17%와 님오일 $2,000mL\;L^{-1}$의 방제가 57% 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생물학적 선충방제제는 미생물 또는 식물체 추출물 단제 보다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은행 외종피로부터 살선충 물질의 순수 분리와 활성 (Purification Nematicidal Substance and Nematicidal Activity from Ginkgo biloba L. Outer Seedcoat)

  • 장유주;황현정;김근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7-109
    • /
    • 2021
  • 은행 종자와 잎은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졌으나, 외종피는 알러지 등의 부작용으로 사용을 기피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버려지는 은행 외종피로부터 작물재배에 많은 피해를 주는 선충을 방제할 수 있는 천연물을 찾고자 했다. 은행 외종피 유기용매추출물의 H2O 분획물과 EtOAc 분획물에서 살선충 활성을 확인하였고, EtOAc 분획물에서 살선충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EtOAc 분획물을 0.1 mg/mL 농도 처리에서 74%의 살선충 활성이 나타났다. 4차례의 TLC를 실시하여 살선충 물질을 순수 분리하였으며, prep-TLC 에서 Rf 0.5에 single spot을 확인하였고, HPLC 분석에서 Rt 8.609에서 single peak를 확인하였다. 순수 분리한 물질을 GB4-3으로 명명하고, 살선충 활성을 조추출물과 농도별 비교하였다. 은행 외종피 조추출물 10 ㎍/mL 처리 후 18시간 후에 약 45%의 살선충 활성을 나타냈고, 20 ㎍/mL 처리한 곳에서는 55%의 활성을 보였다. 은행 외종피 추출물로부터 순수 분리한 물질 GB4-3을 20 ㎍/mL 처리한 곳에서는 18시간 후에 약 69%의 살선충 활성을 나타나 살선충제 개발 후 보소재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부식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과 식물기생 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의 유의성은 선행 보고에서 볼 수 있으나, 은행 외종피를 이용한 선충방제제 개발을 위해서는 식물기생성 선충류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농산물재배와 식물생육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선충 방제를 위한 친환경적 방제제의 개발은 절실히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식물이나 미생물 등의 생물소재를 이용하거나 천연소재의 부산물을 이용 또는 이들을 혼용한 혼합제제로 개발한다면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Biological Control of Mulberry Root 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by Trichoderma harzianum

  • Sukumar, J.;Padma, S.D.;Bongale, U.D.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8권2호
    • /
    • pp.175-179
    • /
    • 2004
  • Trichoderma harzianum-THN1 parasitising the egg masses of root 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was isolated from galled mulberry roots and evaluated for its potential to control root knot disease. In pot experiments root galling was reduced and leaf yield increased significantly following soil treatment with T. harzianum-THN1. The extracts obtained from the soils inoculated with T. harzianum-THN1 drastically inhibited the hatching of nematode eggs and the effect was irreversible even after the eggs were transferred to fresh water. The fungus was equally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disease in nematode infested mulberry garden under field conditions which was significant over the most commonly used egg parasitic fungus Paecilomyces lilacinus. The disease reduction recorded with T. harzianum was on par with the plants treated with the nematicide Carbofuran. The results suggest that T. harzianum- THN1 could be used as a potent ecofriendly biocontrol agent against M. incognita in mulberry without any residual toxicity to silkworms. T. harzianum- THN1 can form an important component of integrated disease management package in mulberry cul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