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gative binomial response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Modelling Count Responses with Overdispersion

  • Jeong, Kwang M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9권6호
    • /
    • pp.761-770
    • /
    • 2012
  • We frequently encounter outcomes of count that have extra variation. This paper considers several alternative models for overdispersed count responses such as a quasi-Poisson model, zero-inflated Poisson model and a negative binomial model with a special focus on a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We also explain various goodness-of-fit criteria by discussing their appropriateness of applicability and cautions on misuses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response categories. The overdispersion models for counts data have been explained through two examples with different response patterns.

인지 무선 시스템에서 스펙트럼 센싱을 위한 이항 필터 (Binomial Filters for Spectrum Sensing in Cognitive Radio System)

  • 성진숙;김명섭;이성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11호
    • /
    • pp.1132-113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인지 무선통신에서 스펙트럼 센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세 가지 형태의 이항 필터를 제안하였다. 세 가지 필터는 이항 필터 및 부적 이항필터, 복합 이항 필터이며 이들 전달함수의 주파수 응답을 각각 분석하였으며 필터에 요구되는 감쇠를 위해 필요한 단계 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각 필터에 대해 요구되는 감쇠에 필요한 단계수를 성능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부적 이항 필터 및 복합 이항 필터가 기본 이항 필터에 비해 성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된 세 가지 필터는 통합된 직렬 구조를 가지고 있고 곱셈기가 필요 없어 구현에 용이하므로 광범위한 응용이 가능하다.

Effects on Regression Estimates under Misspecified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for Counts Data

  • Jeong, Kwang Mo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6호
    • /
    • pp.1037-1047
    • /
    • 2012
  • The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GLMM) is widely used in fitting categorical responses of clustered data. In the numerical approximation of likelihood function the normality is assumed for the random effects distribution; subsequently, the commercial statistical packages also routinely fit GLMM under this normality assumption. We may also encounter departures from the distributional assumption on the response variable. It would be interesting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the estimates of parameters under misspecification of distributions; however, there has been limited researche on these topics. We study the sensitivity or robustness of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ors(MLEs) of GLMM for counts data when the true underlying distribution is normal, gamma, exponential, and a mixture of two normal distributions. We also consider the effects on the MLEs when we fit Poisson-normal GLMM whereas the outcomes are generated from the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with overdispersion. Through a small scale Monte Carlo study we check the empirical coverage probabilities of parameters and biases of MLEs of GLMM.

폴랴-감마 잠재변수에 기반한 베이지안 영과잉 음이항 회귀모형: 약학 자료에의 응용 (A Bayesian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based on Pólya-Gamma latent variables with an application to pharmaceutical data)

  • 서기태;황범석
    • 응용통계연구
    • /
    • 제35권2호
    • /
    • pp.311-325
    • /
    • 2022
  • 0의 값을 과도하게 포함하는 가산자료는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흔히 나타난다. 영과잉 모형은 영과잉 가산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형이다. 영과잉 모형에 대한 전통적인 베이지안 추론은 조건부 사후분포의 형태가 폐쇄형 분포로 나타나지 않아 모형 적합 과정이 용이하지 않다는 한계점이 존재했다. 그러나 최근 Pillow와 Scott (2012)과 Polson 등 (2013)이 제안한 폴랴-감마 자료확대전략으로 인해, 로지스틱 회귀모형과 음이항 회귀모형에서 깁스 샘플링을 통한 추론이 가능해지면서, 영과잉 모형에 대한 베이지안 추론이 용이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베이지안 추론에 기반한 영과잉 음이항 회귀모형을 Min과 Agresti(2005)에서 분석된 약학 연구 자료에 적용해본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경시적 영과잉 가산자료로 복잡한 자료 구조를 가지고 있다. 모형 적합 과정에서는 깁스 샘플링을 통한 추론을 수행하기 위해 폴랴-감마 자료확대전략을 사용한다.

RESPONSES OF DAMPED HARMONIC OSCILLATORS TO EXCITATIONS OBEYING POISSON DISTRIBUTIONS

  • Lee, Hyoung-In;Mok, Jinsik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1권1_2호
    • /
    • pp.111-118
    • /
    • 2013
  • External excitations are employed to investigate properties of optical media, with measurement data often analyzed via linear response theory. In this respect, external forcing is modeled here by well-known Poisson and negative-binomial distributions. Ensuing dynamics is examined with a special attention to the relative decay rates of damped harmonic oscillators to such external forcing, along with its relationship to other physical phenomena.

개수형 자료에 대한 학습곡선효과의 모형화 (Modeling of The Learning-Curve Effects on Count Responses)

  • 최민지;박만식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3호
    • /
    • pp.445-459
    • /
    • 2014
  • 일반적으로 특정한 작업에 익숙해진다는 것은 그 작업에 투입되는 노력에 비해 산출되는 성과가 보다 뚜렷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양이나 정도의 노력을 들여 특정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초기 시점보다 원하는 성과를 기대 이상으로 얻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학습곡선효과(learning-curve effects)'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한 작업을 반복시행한 결과가 개수형인 형태로 측정되는 변수에 대해 (역)S자 형태를 가지는 통계적 모형을 적용하고자 한다. 다양한 모의실험 하에서의 모형의 성능을 평가하고 특정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자료에 적합하였다.

감마 일반화 선형 모형에서의 가능도비 검정과 F-검정 비교연구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likelihood ratio test and F-test for gamma generalized linear models)

  • 조성일;한정섭;이우주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4호
    • /
    • pp.475-484
    • /
    • 2018
  • 감마 일반화 선형모형은 음이 아니며 치우침이 있는 반응변수에 유용한 모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포아송 분포 또는 이항 분포에 기반한 일반화 선형모형에 비해 적은 관심을 받아왔다. 특히,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에 대해서는 연구가 면밀히 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감마 일반화 선형 모형의 검정에 대해 다양한 통계량들을 알아보고 수치 연구를 통해 그들의 성능을 비교한다. 수치 실험의 결과 부분 이탈도 검정 방법의 문제점이 나타났으며, 가능도비 검정 방법과 F-검정 방법이 좋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