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ar field

검색결과 3,590건 처리시간 0.028초

경계배치법에 의한 근거리 음장 해석 기법 연구; 가중치를 갖는 선배열 음원의 최적 측정점 개수의 결정 (Study on Sound Field Analysis in Near-Field using Boundary Collocation Method; Decision of Optimum Points of Measurement for Line Array Sound Source with Weighting Value)

  • 김원호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752-1761
    • /
    • 2000
  • This paper describes the far-field estimation using the near-field measurement data. Measurement in far-field region gives us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urce but in general measurement is made in near-field such as acoustic water tank or anechoic chamber, so far-field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urce should be predicted from near-field data. In this case, the number of measurement points in the near field which relates to the accuracy of the predicted field and the amount of data processing, should be optimized. Existing papers say that measurement points is proportional to kL and depends on geometry and directivity of the source. But they do not give us any definite criterion for the required number of measurement points. Boundary Collocation Method which is one of the far-field prediction methods, is analyzed based on Helmholtz integral equation and Green function 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number of measurement points is optimized as 0.54kL which is about one half of the existing results.

  • PDF

원근 혼합환경에서 간단한 닫힌 형식을 이용한 단일 음원 위치 추정 기법 (Simple closed-form solution for a single source estimation in mixed far-field and near-field conditions)

  • 정태진;이균경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5-4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상관함수와 최소자승 기법에 기반하여 단일 음원의 위치가 원거리 혹은 근거리 모두 가능한 경우, 이에 상관없이 닫힌 형태로 위치를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최근 균일 환영 배열에서 상호상관함수를 이용하여 원거리 단일 음원의 위치를 2차원으로 추정하는 기법이 제안되었으며, 이를 확장하여 근거리 단일 음원의 위치를 3차원으로 추정하는 기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기존 기법은 음원의 위치가 원거리, 혹은 근거리로 제한된 상황만 다루고 있다. 반면 제안 기법은 먼저 원거리 음원으로 가정하여 거리 독립적으로 방위와 고각을 구하고 이후 거리 추정에서 원거리와 근거리 음원을 구분하여 혼합 환경에 적용가능하다. 시뮬레이션에서는 두 가지 경우 모두에 대해 실험하여 제안 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Effects of pulse-like nature of forward directivity ground motions on the seismic behavior of steel moment frames

  • Mansouri, Iman;Shahbazi, Shahrokh;Hu, Jong Wan;Moghaddam, Salar Arian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7권1호
    • /
    • pp.1-15
    • /
    • 2019
  • In the structures with high level of ductility, the earthquake energy dissipation in structural component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scribes their seismic behavior. Since the connection details play a major role in the ductile behavior of structure, in this paper, the seismic response of 3-, 5- and 8-story steel special moment frames (SMFs) is investigated by considering the effects of panel zone modeling and the influence of forward-directivity near-field ground motions. To provide a reasonable comparison, selected records of both near and far-field are used in the nonlinear time-history analysis of models.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the median maximum inter-story drift under excitation by near-field (NF) records and the far-field (FF) ground motions show that the inter-story drift demands can be obtained 3.47, 4.86 and 5.92 times in 3-, 5- and 8-story structures, respectively, undergoing near-field earthquakes.

Human Detection in Overhead View and Near-Field View Scene

  • Jung, Sung-Hoon;Jung, Byung-Hee;Kim, Min-Hwa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860-868
    • /
    • 2008
  • Human detection techniques in outdoor scenes have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to watch suspicious movements or to keep someone from danger. However there are few methods of human detection in overhead or near-field view scenes, while lots of human detection methods in far-field view scenes have been developed. In this paper, a set of five features useful for human detection in overhead view scenes and another set of four useful features in near-field view scenes are suggested. Eight feature-candidates are first extracted by analyzing geometrically varying characteristics of moving objects in samples of video sequences. Then highly contributed features for each view scene to classifying human from other moving objects are selected among them by using a neural network learning technique. Through experiments with hundreds of moving objects, we found that each set of features is very useful for human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accuracy for overhead view and near-field view scenes was over 90%. The suggested sets of features can be used effectively in a PTZ camera based surveillance system where both the overhead and near-field view scenes appear.

  • PDF

근접전계 시험 기법을 활용한 Ka-대역 배열안테나 성능 검증 (Performance verification of Ka-Band Array Antenna using Near-Field Test Method)

  • 김영완;권준범;강연덕;박종국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05-111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근접전계 시험을 수행하여 Ka 대역 밀리미터파 탐색기용 도파관 광벽 슬롯 배열 안테나의 성능 검증을 수행하였다. 슬롯 배열 안테나의 측정은 원전계, 근접전계 시험을 모두 수행하고 비교하여 밀리미터파 대역의 근접전계 시험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검증을 수행한 슬롯 배열 안테나의 빔폭 및 부엽 준위를 포함한 빔 패턴 특성이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방위각, 고각 빔패턴의 부엽준위 차이는 1dB 이내로 검증되었다. 추가로 back-projection 기법을 활용하여 근접전계 데이터를 가공한 후 안테나 개구면의 분포를 새롭게 추출하여 배열 안테나 성능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레이다 빔조향 특성 측정 장치 개발 및 보어 사이트 에러 측정 (Development of Radar Beam Steering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Boresight Error)

  • 곽용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546-55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AESA 레이다의 근전계에서 송신/수신 모드에 대한 원전계 빔조향, 근전계 빔집속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빔 조향 특성 측정 장치를 개발하였다. 빔조향 특성 측정장치는 구면형 근접전계 스캐너, 안테나 포지셔너, 근접전계 제어기, 네트워크 측정기, 레이다 제어시스템, 검증용 레이다 및 모의레이돔, AESA 레이다 등으로 구성된다. 개발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AESA 레이다에 대한 레이돔장착전/후의 송/수신패턴특성을 측정하였고, 근접전계 측정 후 원전계로의 변환을 통해 빔패턴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레이다 안테나 장치의 보어사이트에러 를측정하였고, 모의 레이돔 장착 전후 메인로브가 동일하게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파에 의한 근거리 지중진동의 예측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diction of Ground Vibration by Near Field Blasting)

  • 이효;강추원;고진석
    • 화약ㆍ발파
    • /
    • 제29권2호
    • /
    • pp.32-42
    • /
    • 2011
  • 발파진동의 해석영역은 크게 두 가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는, 대상 지장물에 대한 영향을 평가할 목적으로 시행되는 원거리 진동분석과, 둘째는, 암반의 손상 및 근거리 지중 구조물에 대한 영향을 평가할 목적으로 시행되는 근거리 지중진동 분석이 있다. 전자의 분석방법은 현재 국내외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방법이며, 후자의 경우는 대체적으로 Holmberg모델을 사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져 왔고, 이 모델에 의해 제안된 방법은 기본적인 자료를 원거리 지표 진동 측정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을 근간으로 하여 분석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근 십수년동안 수행된 근거리 지중진동 실계측 결과에 따르면 Holmberg모델의 보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국내에서도 처음 시도되어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나 계측하는 방법에만 한정되었을 뿐 적정한 해석 모델 및 예측방법을 제시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거리 지중진동의 실계측을 통해 그 결과를 근간으로 하여 적정한 해석모델 및 예측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Reliability analysis of braced frames subjected to near field ground motions

  • Sistani, Asma;Asgarian, Behrouz;Jalaeefar, Ali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5권6호
    • /
    • pp.733-751
    • /
    • 2013
  • Near field ground motions have caused several structural damages in recent decades. As a result, seismic codes are being updated with related requirements. In this paper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ismic behavior of concentrically braced frames (CBFs) designed based on different seismic codes is performed. Reliability of various frames with different heights and bracing types a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Incremental Dynamic Analysis" (IDA) under near field ground motions. Fragility curves corresponding to IO (Immediate Occupancy) and CP (Collapse Prevention) limit states are extracted based on IDA curves. Results imply that, frames designed based on the near field seismic design criteria of UBC-97 are more reliable under near field ground motions and their failure probability is less comparing to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