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ity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3초

내장산국립공원 식물경관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I) (A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Vegetation Landscape in Naejangsan National(I))

  • 이규완;심경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0-67
    • /
    • 1993
  • This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and structure of the vegetation landscape in Naejangsan National Park. The plant distribution was investigated using a field survey. There were 72 sites sampled using the clumpled sampling method. The data derived from the investigation was analyzed using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Bray-Curtis method.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classification of TWINSPAN. The ordination of DCA and RA was used for the species composition and successional tren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Quercus. serrata-Q. variabilis community as 21.76(16.49$\textrm{km}^2$), was the largest community in the actual vegetation of the Naejangsan National Park.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dex 8 area covered 64.8% of the study area and the index 6 area did 16%. 2. Classified by the ordination of DCA and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the plant community was divided into seven groups according to the altitude and forming groups; Chamaecy Paris. pisifera-P.densiflora community, P.densiflora community, Q.variailis community, T.nuciofera-A.palmatum community. 3. Ther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indices of C.pisifera-P.densiflora community, P.densiflora community appeared low but C.laxiflora communitywhich was the most stable community in the study area. 4. The similarity indices between Q.variabilis community and Q.serrata-Q.variabilis community were calculated 58.84%, but those between other communities were comparatively low level. 5. The successional trends of DBH class seem to be from C. pisifera-P.densiflora community, P.densiflora community to Quercus species community and from Q.variabilis community, Q.serrata-Q.variabilis community to Carpinus species community. 6. Results suggested that the successional trends in Naejangsan National Park; P.densiflora community\longrightarrowQ.variablilis community, Q.serrata-Q.variabilis community\longrightarrowC.laxiflora community in sequence.

  • PDF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Iranian Allium species using the matK (cpDNA gene) region

  • Zarei, Hemadollah;Fakheri, Barat Ali;Naghavi, Mohammad Reza;Mahdinezhad, Nafiseh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15-25
    • /
    • 2020
  • Allium L. is one of the largest genera of the Amaryllidaceae family, with more than 920 species including many economically important species used as vegetables, spices, medicines, or ornamental plants. Currently, DNA barcoding tools are being successfully used for the molecular taxonomy of Allium. A total of 46 Allium species were collected from their native areas, and DNA was extracted using the IBRC DNA extraction kit. We used specific primers to PCR amplify matK. DNA sequences were edited and aligned for homology, and a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using the neighbor-joining method. The results show thymine (38.5%) was the most frequent and guanine (13.9%) the least frequent nucleotide. The matK regions of the populations were quite highly conserved, and the amount of C and CT was calculated at 0.162 and 0.26, respectively. Analysis of the nucleotide substitution showed C-T (26.22%) and A-G (8.08%) to have the highest and lowest percent, respectively. The natural selection process dN/dS was 1.16, and the naturality test results were -1.5 for Tajima's D and -1.19 for Fu's Fs. The NJ dendrogram generated three distinct clades: the first contained Allium austroiranicum and A. ampeloprasum; the second contained A. iranshahrii, A. bisotunense, and A. cf assadi; and the third contained A. rubellum and other species. In this study, we tested the utility of the matK region as a DNA barcode for discriminating Allium. species.

EVALUATION OF THE SYNTHETIC SPEECH QUALITY BY THE TD-PCULI METHOD

  • Kang, Chan-Hee;Shin, Yong-Jo;Kim, Yun-Seok;Kwon, Ki-Hyung;Chin, Yong-Ohk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4년도 FIFTH WESTERN PACIFIC REGIONAL ACOUSTICS CONFERENCE SEOUL KOREA
    • /
    • pp.977-983
    • /
    • 1994
  • In this paper we have evaluated the synthetic speech quality by the proposed TD-PCULI speech synthesis method. For the synthesis we have extracted parameters from the Korean monosyllables through the analysis of speech waveforms in the time domain. We have constructed the Korean data format dictionary for the synthesis-by-rule depending upon the frequencies of the Korean pronunciation large vocabulary dictionary, in which V type syllables are 19, CV type's are 80, VC type's are 30 and CVC type's are 100. And using them we have synthesized various Korean monosyllables, words and sentences. We have tested each 10 syllables selected according to the 4 Korean syllable types with the objective MOS(Mean Opinion Score) evluation method about the 4 items i.e., intelligibility, clearness, loudness, and naturality after selecting random group without the knowledge of them. And also we have tested the possibility to modify a duration and F0 into another forms with changing a duration (i.e., 150msec, 300msec, 500msec, 700msec and 1sec) and a central fundamental frequency(i.e., 80Hz, 118Hz, 140Hz, 170Hz, and 200Hz). As the results of experiments the noises occurred in the course of synthesizing the speech by the rules are removed to be a very clear level and we can find that the prosodic elements can be controled as a good condition.

  • PDF

동서양 꽃꽂이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서 본 기법 (Techniques of Oriental and Western Flower Arrangement through Historical Study)

  • 이정화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6호
    • /
    • pp.53-57
    • /
    • 2009
  • 동양꽃꽂이는 고대에 신에게 헌화한 공화양식으로 좌우대칭의 삼존형식의 엄격한 삼각형의 조형미를 갖추고 있었으며 침봉을 사용하여 꽃을 고정하므로 쉽게 꽂을 수 있었다. 서양꽃꽂이는 이집트시대에 꽃을 연속반복으로 쌓아 올려 원추형의 형태를 이루어 현재 vertical form의 근원으로 보고 있다. 그리이스 시대에는 부드러운 S라인 형식을 주로 사용하였고, 로마시대에는 꽃들의 중심을 풍성하고 화려하게, 갈수록 낮고 가늘며 긴 수평형으로 연결하였다. 페르시아 시대에는 동양의 삼존형식과 비슷한 triangular 조형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르네상스 시대에 꽃꽂이도 고전의 바탕위에 기본형이 창조되었으며, 19세기말 동양미술의 온화한 색과 단순미, 사실적 묘사 등에 영향을 받아 20세기 미국을 중심으로 양적 mass에서 공간미학까지 꽃꽂이의 영역이 광범위하게 표현되는 art nouveau 시대로 이어졌다. 서양꽃꽂이는 조형성에 기초를 두는 것은 동양꽃꽂이와 같으나 자연성이 거의 무시되고 실용성에 근거를 삼는 것이 특징이다.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Ecological Status and Location Environment by Cultivated Land Restoration Type of Geumgang Riverine Ecobelt

  • Lee, Soo-Dong;Back, Seung-Jun;Kang, Hyun-Ky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9-401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status of six areas around Geumgang River that used to be farmlands before they were restored as a riverine ecobel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ocation environment and ecological status of the sites to identify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m. Methods: The site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restoration: terraced paddy fields, flat paddy fields, artificial wetland, and landscape forest. The survey items were divided into land use status, plant ecology, and animal ecology. Results: In terms of plant ecology, terraced paddy fields showed favorable naturality with the rate of native species above 90% and the naturalization index below 10%. In terms of animal ecology, the total number of species found in these areas was biggest in terraced paddy fields, followed by flat paddy fields, artificial wetland, and landscape forest. Regarding species diversity, terraced paddy fields also showed abundant species with an average of 1.05 to 1.09.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forest area around the sites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species diversity. The grassland and open water area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otal number of animal species and the number of dragonflies, confirming that the marshy grassland had a positive effect. As the cultivated land and urbanized area around the sites increased, i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distribution of native species and the number of animal species that appeared, and a positive effect on the naturalization index.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reemption and restoration plans for sites such as grasslands adjacent to the forest and terraced paddy fields in order to promote resilience of the diverse species returning to the purchased lands.

상대생장법에 의한 남한강 유역 삼림의 생산량 및 생산성 비교 (Comparisons of Phytomass and Productivity of Watershed Forest by Allometry in South Han River)

  • 강상준;곽애경
    • 임산에너지
    • /
    • 제17권1호
    • /
    • pp.8-22
    • /
    • 1998
  • 남한강 유역의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및 신갈나무 군락을 대상으로 상대생장법에 의하여 현존량을 추정하였으며, 각 군락에 있어서 D2H와 줄기(Ws), 가지(Wb) 및 잎(Wl)의 상대생장식은 다음과 같다. 소나무 군락 : logWs=0.58482D2H-0.42417 logWb=0.6234D2H-1.2321 logWl=0.2247D2H-0.09359 리기다소나무 군락 : logWs=0.9218D2H-1.4692 logWb=1.0064D2H-2.2278 logWl=0.6275D2H-1.1715 상수리나무 군락 : logWs=0.96659D2H-1.56975 logWb=0.86315D2H-2.17944 logWl=0.79876D2H-1.97137 굴참나무 군락 : logWs=0.4753D2H+0.20026 logWb=0.5725D2H-0.92006 logW1=0.61649D2H-1.4288 신갈나무 군락 : logWs=0.5526D2H-0.1228 logWb=0.5188D2H-0.9787 logWl=0.7754D2H-2.6273 상대생장식으로 추정한 현존량은 리기다소나무림 약 61만ton, 소나무림 약 120만ton, 상수리나무림 약 289ton, 굴참나무림 약 2,800ton 그리고 신갈나무림 약 57만ton으로서 소나무 군락이 전 지역의 약 43.9%를 점유하고 있다. 녹지자연도 등급별 현존량은 수령 20년 이상인 8등급에 속하는 삼림군락의 현존량 약 7만4천ton, 7등급에 속하는 삼림 약 200만ton으로서 7등급 군락이 전체의 75%를 차지하였으며, 식재림인 리기다소나무림은 약 61만 ton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남한강 유역의 대표적인 자연림은 7등급에 속하는 소나무림과 신갈나무 군락이었다.

  • PDF

산림녹지의 계획 및 관리를 위한 자연생태적 기능 평가 (An Evaluation of Natural-Ecological Function for Planning and Management on Forest)

  • 이우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1-11
    • /
    • 2011
  • 산림녹지의 기능평가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도시민의 이용적 관점에 치중되어 있으며, 자연생태학적 관점에서 종합적인 기능을 평가한 사례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산림녹지에 대한 지속적인 계획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산림녹지의 자연생태적 기능에 대한 평가 지표 선정 및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선, 국 내외 56개 문헌 조사를 통해 최초 35개 지표를 선정되었고, 1차 설문에 의해 12개의 자연생태적 지표가 선택되었으며, 2차 설문에 따른 MCB분석에 의해 녹지면적, 녹지연결성 등 7개 지표가 최종적으로 결정되었다. 또한, 3차 설문에 따른 AHP분석에 의해 7개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여 기능 평가를 기초 작업을 완료하였다. AHP분석 결과에서는 자연성 항목이 0.18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식생활력도가 0.063으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사례지 적용을 위해 대구광역시를 대상지로 설정하여 산림녹지에 대한 자연생태적 기능을 평가한 결과, 앞산과 청룡산, 비슬산의 정상부를 따라 85점 이상의 높은 점수가 나타나 자연생태적 기능이 우수한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와룡산과 마천산의 서쪽지역, 달성군의 대니산 일대지역에서 50점미만의 낮은 점수가 나타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평가 지표 및 결과들은 향후 도시계획, 환경계획을 수행함에 있어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개발 예정지역에서의 자연보전 가치 평가 - 대관령 알펜시아 리조트 조성 예정지역을 사례로 - (A Study for Natur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of Developing Area - Case Study of Alpensia Resort -)

  • 최희선;조동길;박미영;김남균;김귀곤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08-118
    • /
    • 2005
  • While the recent lift of restrictions in greenbelt areas is expected to generate a number of development plans, there are efforts to create various development plans into spatial plans that consider the natural and ecological conditions of development sites. However, these development plans consider Degree of Green Naturality or Degree of Ecology only when designating areas for conservation within development sites. It is true that they don't fully reflect the value of green areas and wetlands as habitats and natural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built an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odel that is applicable to sites where development is planned in Korea by reviewing prior case examples md studies and applied the developed model to a case study area. The site where the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odel was applied to is an area around Yongsan-ri and Suha-ri, Doam-myon, Pyeongchang-gun, Gangwon province where quality natural resources are located in and wend the site. This is a site for the development of Alpensia Resort where a resort including facilities for the Winter Olympics is planned to be introduced. In order to assess the conservation value of the site for Alpensia Resort, a total of eight items including area, distribution of communities, habitation of species with conservation value, functions of habitats, connectivity of habitats, vegetation layers of forests, age of forests, and ratio of non-native plants were stud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s. The assessment was made by dividing the site into 95 habitats that are perceived by aerial photographs and each habitat unit was assessed on the eight items in a 3-point scale. Each unit habitat assessed in a 3-point scale was segmented into primary, secondary or tertiary areas based on the conservation value. Habitats assessed as primary were designated as priority (absolute) conservation areas and those assessed as secondary and tertiary were set as secondary conservation areas and tertiary conservation areas, respectively. As a result, each area represented 26.9%, 20% and 3% of total site area. Based on this result, habitat management plans were developed to conserve primary conservation areas, improve secondary conservation areas and restore tertiary conservation areas. In addition, a development plan was developed to create habitats in areas where new habitats are requested in order to build an eco-network in the site and a plan to create eco-corridors was proposed. In developing a land use plan for the site, a development plan that considers conservation areas first should be set up based on the outcome of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This can be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friendly land use plan as well as easing the establishment of a green area and eco-network. This study will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ervation before development' principle, which can prevent reckless development, by assessing conservation value in setting up development plans.

가법형 통합지수 산정모형을 이용한 농촌지역의 객관적 경관 평가 - 전북 고창선동권역을 대상으로 - (Evaluating Objective Landscape of Rural Region Using Additive Integration Index Calculation Model - Focused on Seondong Region, Gochang-Gun, Jeollabuk-Do, Korea -)

  • 반영운;이영훈;나상일;윤중석;백종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69-8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고창군의 선동권역을 대상으로 가법형 통합 지수를 사용하여 농촌지역의 객관적 경관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는 다음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1) 농촌경관의 개념 및 평가방법을 살펴보고, 경관 평가지표와 가중치를 바탕으로 객관적 경관 평가를 위한 가법형 통합지수 산정모형을 개발하였다. 2) 경관 평가지표 즉, 녹지자연도, 면적률, 건폐율에 대한 주제도 구축을 위해 고해상도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한 식생지수 및 투수면적률을 산정하여 GIS DB를 구축하였다. 3) 평가데이터 및 각 지표에 의한 가중치를 통해 작성된 가법형 통합지수 산정모형을 사용하여 공간유형별, 경관영역별, 객관적 경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간유형별 양호한 경관으로 판단되는 2등급 이상의 비율은 경작지, 수공간, 산림, 시가화 지역, 주거지, 건물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발지가 포함된 시가화 지역, 주거지, 건물 등에서 객관적 경관은 열악하게 평가되었다. 2) 경관영역별 2등급 이상의 비율은 혼합경관, 자연경관, 인공경관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발지로 이루어진 인공경관의 객관적 경관은 열악한 상태를 보였다. 3) 객관적 통합 농촌 경관 지수의 범위는 4등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1등급, 2등급, 3등급, 5등급 순으로 나타났으며, 객관적 경관이 보통 이하인 3등급 이하가 약 56.5%로 통합 농촌경관은 열악하게 평가되었다.

시조(時調)에 나타난 산수자연(山水自然)의 원망(遠望)과 그 미적(美的) 성격(性格) (Viewing afar of Nature and Aesthetic Character in Sijo)

  • 최동국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30집
    • /
    • pp.9-20
    • /
    • 2009
  • 본고는 조선조 사인(士人)들이 산수 유람을 하는 중 산수의 감상 태도로 중시한 원망(遠望)의 시선과 표현 원리 및 기본적인 미적 범주를 고찰한 것이다. 원망(遠望)의 '원(遠)'은 물리적 거리이면서 심미적 거리이다. 이 원망은 산수 전체를 조망(眺望)하면서 산수의 기세(氣勢) 및 기묘(奇妙)와 곡절(曲折)함을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이는 산수 자연의 물상(物象)의 국한성을 벗어나게 되고, 정신적 초월과 고양을 얻을 수 있다. 궁극적으로 산수자연의 무궁한 변화와 조화(造化)의 이치를 감득(感得)하기 위함이다. 원망의 원의 시선은 관조자의 마음을 염정(恬靜)하고 허정(虛靜)하게 한다. 이 시선은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이루는 계기를 만든다. 원망은 산수의 유한한 형질에서 무한의 세계로 향하게 한다. 이 무한 속에서 시가 창조를 이루는 의경을 생성시킨다. 이 원망은 유한의 속박으로부터 무한의 자유한 경지로 비약해 가는 심미안(審美眼)이다. 원망은 현실적 가치, 관념, 인위로부터 초월하여 인간 본래의 자연성과 자연이 합일케 되는 시점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주관적인 감정과 외재하는 산수 자연의 무한함과 조화통일시키는 안목이다. 즉, 관조자의 의상(意象)과 물상(物象)과의 조화를 이루게 하는 원이다. 이 조화의 세계를 형상화시킴에 있어서는 사물의 외형의 집착을 꺼리고 표현 기교에 의존하지 않고 자유하고 자연스러운 형상을 이상적인 표현법으로 삼는다. 원망은 관조자의 심리 상태를 염정(恬靜)하게 하기 때문에, 산수와 인생의 양쪽 감정이 합일하는 경지에 이르게 되고, 그렇게 되면 세속과 초월한 경지인 자연 속에서 더 깊고 넓은 유정(有情)의 세계를 창조하게 된 것이다. 그 세계를 형상화하는 방법이 고원(高遠), 평원(平遠), 심원(深遠)의 삼원법(三遠法)이다. 이 표현법에 의해 풍격, 염담(恬淡)의 미가 성립된다. 염담은 현실적 갈등에서 정신적 해방과 산수자연의 표리를 맛볼 수 있게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