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flavor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5초

쌀 천연 발효액종을 첨가한 우리밀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Bread Prepared with Substitutions of Naturally Fermented Rice Starters)

  • 최상호;이승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0-119
    • /
    • 2014
  • 급수량을 달리하여 배양한 쌀 천연발효액의 pH는 배양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으나 적정산도는 증가하였다. 쌀 발효액의 당도는 배양 3일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에탄올 함량은 물 140%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젖산균수가 가장 높았던 물 180% 첨가구가 가장 낮은 효모수를 보인 반면 젖산균수가 가장 낮았던 물 140% 첨가구가 가장 높은 효모수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쌀 천연발효액의 발효율은 효모수가 가장 많았던 물 140%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쌀종을 yeast 대체 0, 10, 30, 50, 70% 첨가하여 제조한 우리밀 식빵 반죽의 pH는 쌀종 10% 첨가구만 대조구보다 낮았고 나머지 쌀종 첨가구들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Farinograph 특성을 분석한 결과 쌀종을 첨가할수록 수분흡수율, 반죽 생성시간과 반죽 안정도는 감소하였으며 탄력도 및 반죽의 약화도는 높게 나타났다. RVA의 호화특성에서 호화개시온도는 대조구보다 쌀종을 첨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최고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 전분입자의 파괴정도 및 노화정도는 감소하여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CrumbScan 분석에서 쌀종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공의 조밀도, 기공의 찌그러짐, 껍질의 두께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쌀종 첨가 식빵의 무게는 대조구보다 쌀종 첨가구가 더 높았으며 부피는 쌀종 첨가 50% 이상에서 대조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저장기간($25^{\circ}C$, 5일) 중 품질변화를 살펴본 결과 수분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으며 쌀종 50%와 70%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높거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빵 외부 표면의 곰팡이 형성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쌀종 첨가량이 많을수록 곰팡이 발생이 지연되어 저장성 개선효과가 있었다. 색도측정에서 저장초기 명도 L값과 황색도 b값은 대조구보다 쌀종 첨가구가 더 높았으며 적색도 a값은 쌀종 첨가구보다 대조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쌀종 첨가 식빵의 경도는 쌀종 첨가군이 대조구보다 더 높았으나 응집성과 탄력성은 대조구가 더 높았다. 관능검사에서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와 쌀종 50% 첨가구가 높게 평가되었다.

Potential antioxidant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of Phyllanthus acidus leaf extract in minced pork

  • Nguyen, Tuyen Thi Kim;Laosinwattana, Chamroon;Teerarak, Montinee;Pilasombut, Komkha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9호
    • /
    • pp.1323-1331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xtraction solvents on antioxidant bio-active compounds as well as potential antioxidant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of Phyllanthus acidus (P. acidus) leaf extract in minced pork. Methods: The effect of various solvent systems of water, 25%, 50%, 75% (v/v) ethanol in water and absolute ethanol on the extraction crude yield, total phenolic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P. acidus leaves was determined. In addi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addition of crude extract from P. aciuds leaves at 2.5 and 5 g/kg in minced pork on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reducing power and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were determined. Moreover, sensory evaluation of the samples was undertaken by using a 7-point hedonic scal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crude yield (2.8 g/100 g dry weight) was obtained from water which also had the highest recovery yield for total phenolic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The addition of crude water extract from P. acidus leaves was more effective in retarding lipid peroxidation an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control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in minced pork. In particular, the samples containing P. acidus extrac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ensory scores of overall appearance, color, odor, textur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Conclusion: Water solvent was an optimally appropriate solvent for P. acidus leaf extraction because of its ability to yield the highest amount of bio-active compounds and in vitro antioxidant property. Particularly, P. acidus crude water extract also strongly expressed the capacity to retard lipid oxidation, radical scavenging,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nd reducing power in minced p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 acidus leaf extract could be used as natural antioxidant in the pork industry.

식초와 다슬기회분을 이용하여 제조한 초산칼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lcium Acetate Prepared with Vinegars and Ash of Black Snail)

  • 이명예;이예경;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93-597
    • /
    • 2004
  • 천연의 수용성 칼슘자원을 얻기 위하여 현미식초(Br),감식초(Pe) 및 사과식초(Ap)와 다슬기 회분으로 제조한 액상 및 고상의 초산칼슘(LCA및 SCA) 즉, 액상으로 Br-LCA, Pe-LCA, Ap-LCA와 고상으로 Br-SCA, Pe-SCA, Ap-SCA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초산칼슘 제조용 식초의 pH는 2.34∼3.06 범위였으며, 식초 100 mL과 반응하는 다슬기 회분의 양은 20.43∼23.50g, 고상 초산칼슘의 수율은 11.02∼13.01%(w/v)이었다. Ap-LCA 및 Ap-SCA의 색상은 연한 황색을 띠었으나 Br-LCA 및 Br-SCA는 갈색, Ap-LCA 및 Ap-SCA는 진한 갈색을 띠었다. Br-LCA, Pe-LCA 및 Ap-LCA의 칼슘함량은 각각 3.02, 2.06 및 2.30%(w/v)이었으며, Br-SCA, Pe-SCA 및 Ap-SCA의 칼슘함량은 각각 27.15, 16.31 및 19.48%(w/w)이었다. 고상초산칼슘의 용해도는 증류수에서 36.82∼39.92%(w/v), 소주에서 32.05∼39.04%(w/v), 진간장에서 13.12∼18.65%(w/v), 이온음료에서 38.35∼38.90%(w/v), 요구르트에서 33.47∼35.58%(w/v)이었으며 두유와 우유에서는 curd를 생성하였다. 신맛과 쓴맛은 표준품에 비하여 낮았으나 떫은 맛, 비린 맛 및 맛난 맛은 높았다.

Production of Bioactive Yoghurt containing Cichorium intybus L. (Chicory) Extract - Preliminary Study

  • Jeong, Dana;Kim, Dong-Hyeon;Oh, Yong-Taek;Chon, Jung-Whan;Kim, Hyunsook;Jeong, Dong-Kwan;Kim, Hong-Seok;Kim, Yun-Gyeong;Song, Kwang-Young;Kim, Young-Ji;Kang, Il-Byung;Park, Jin-Hyeong;Chang, Ho-Seok;Lim, Hyon-Woo;Seo, Kun-Ho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9-15
    • /
    • 2017
  • Cichorium intybus L. (chicory) roots and leaves are widely used in herbal preparations, which have beneficial effects on the stimulation of digestion and metabolism of food ingredients, gastric juice excretion, diuretic action, and bile excretion. Notably, chicory root is well known as a source of polyphenols, compounds with recognized value in health improvemen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TA, pH, and sensory evaluation) of bioactive yoghurt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hicory. With increasing incubation time (5 h), the TA of the yoghurt increased whereas the pH decreased, regardless of the amount of chicory. As the amount of chicory increased, the scores for color,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generally decreased. Among the tested groups, yoghurt with the addition of 1% chicory attained the highest scores. Further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bioactive yogurt with optimum chicory concentration are needed.

다시마와 효소처리 고등어육을 이용한 조미소재의 제조 조건 (Processing Condition of Seasoning Material of the Mixture of Laminaria and Enzyme-Treated Mackerel Meat)

  • 이강호;송병권;정인학;홍병일;정병천;이동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7-81
    • /
    • 1997
  • 다시마와 효소 처리한 고등어육으로 조미료 소재를 제조하기 위해 가공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적절한 자숙고등어육을 얻기위해 papain, bromelain, potease-A의 처리 결과 효소의 첨가농도는 0.03%, 효소처리시간은 90분정도가 적당하였다. 건조에 따른 효소처리 고등어육의 영향은 온도가 높을수록 건조 속도가 빨랐으며, 적절한 건조 조건은 $100^{\circ}C$에서 4시간 처리였다. 자숙고등어육을 효소처리 하였을 때의 protease-A 처리구의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이 5,007.3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arginine 등의 정미성 아미노산이 약 33.0%를 차지하였다. Bromelain처리구와 papain처리구는 histid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arginine 등이 주요아미노산이였다. 다시마의 총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5281.8 mg/100 g으로,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 glutamic acid, aspartic acid이었다. 시제품의 관능검사 및 탁도실험에서 제품 C가 멸치나 제품 A와 B보다 종합평가에서 우수하였으나, flavor에서 약간의 이취가 느껴져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 PDF

${\gamma}$-Oryzanol 첨가가 저장 중 약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Oryzanol Addition on the Quality of Yackwa during Storage)

  • 우정민;양차범;이재환;안영순;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97-404
    • /
    • 2005
  • 약과 저장 중 지방의 산패로 인해 품질 저하를 개선하고자 ${\gamma}$-oryzanol(0.0, 0.1, 0.5, 1.0, 2.0%)을 첨가한 약과의 저장성과 품질 특성을 연구하였다. 약과의 산가, 과산화물가, TBA가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gamma}$-oryzanol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져 ${\gamma}$-oryzanol는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다. 약과의 명도와 적색도, 황색도는 ${\gamma}$-oryzanol 첨가농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조직감은 저장기간에 따라 변화가 있었으나 ${\gamma}$-oryzanol 첨가량에 따른 통일된 유의적인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모든 시료군에서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증가하고,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감소하였는데, ${\gamma}$-oryzanol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게 유지되었다. ${\gamma}$-Oryzanol 첨가 약과에서 산패에 의해 발생하는 전형적인 휘발성 물질인 hexanal 발생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산패취의 생성 또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gamma}$-Oryzanol 첨가가 약과의 산패도 지연 및 저장성 증대에 활용 될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시오가피 추출액 첨가가 식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s)

  • 이선호;배종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87-493
    • /
    • 2010
  • 가시오가피의 기능성을 이용한 제빵원료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가시오가피 추출액을 물량에 대하여 0%, 25%, 50%, 75% 및 100%로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발효과정 중 pH 변화는 대조구에 비해 가시오가피 추출액을 첨가한 모든 첨가구가 낮게 유지하였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의 저하 폭이 대조구보다 완만하게 나타났다. 반죽의 발효팽창력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가시오가피 추출액 첨가구가 높은 부피를 나타내었다. 빵의 내부 색도는 가시오가피 추출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에 비해 L값은 낮고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빵의 부피는 가시오가피 추출액을 첨가한 모든 실험구가 대조구보다 커졌고 비용적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빵의 내상평가에서는 가시오가피 추출액을 첨가한 모든 빵은 대조구보다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점수를 얻었다. 텍스쳐 측정에서 경도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응집성, 탄력성, 검성 및 부서짐성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에서는 가시오가피 추출액 100% 첨가구는 모든 평가항목에서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50% 첨가구는 대조구와 비교해서 향미 항목을 제외하고 모든 평가항목에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물 대신 가시오가피 추출액을 첨가한 식빵 제조에 있어서 가시오가피 추출액을 50% 수준으로 첨가했을 때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시오가피의 기능성물질을 함유한 천연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Cook/Chill System에서의 고기완자 제조에 관한 연구 1. Herb를 이용한 고기완자의 제조 및 품질특성 (A Study on Preparation of Wanjajun for Cook/Chill System 1. Preparation of Wanjajun with Herb and Quality Characteristics)

  • 강은주;김선영;유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61-666
    • /
    • 2003
  • 단체급식에서의 cook/chill system을 위한 완자를 제조하되, 제조와 저장중에 일어 나는 이화학적 변화를 최소화시키는 완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완자의 지방에 의한 화학적 변화를 지연시키고자 천연 항산화제인 허브를 2% 첨가하였다. 전통적인 방식인 pan-frying으로 기름온도 11$0^{\circ}C$에서 6분 이상 조리하여 내부온도가 74$^{\circ}C$ 이상이 되게 한 다음 냉장고에 넣어 내부온도가 3$^{\circ}C$가 되도록 냉각시킨 후에 비닐팩에 넣어 3$^{\circ}C$에서 8일간 냉장저장하면서 완자의 산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완자의 조리, 저장 중 대조구에 비하여 허브를 첨가한 완자의 산가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sage 첨가구는 4.23 KOH mg/g으로 가장 낮은 산가를 나타냈다. 과산화물자도 sage 첨가구가 가장 낮은 산화양상을 나타냈고 (22.0 meq/kg) 다른 허브의 첨가구들도 대조구에 비하여 비슷하거나 낮은 경향을 보였다. TBA가는 rosemary/parsley/thyme 첨가구가 0.29 mgMA/kg으로 가장 낮았고, sage 및 basil/mints 첨가구도 비교적 낮은 경향을 보여 허브에 의해 산화반응이 지연되거나 산화생성물이 억제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완자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허브향 자체에 거부감이 없고 오히려 고기 특유의 냄새를 없애주는 것으로 나타나 추출물이 아닌 허브 자체의 천연 항산화제로의 활용 가능성은 물론 육제품의 관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으며 SA>RPT>BM 처리구 순으로 효과적이었다.

게걸무 분말 첨가에 따른 국수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Prepared by Adding Ge-Geol Radish Powder)

  • 김행란;이지현;김양숙;김경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83-288
    • /
    • 2007
  • 게걸무 분말 4-16%를 국수 반죽에 대체${\cdot}$첨가하여 제조한 국수를 무첨가구와 비교 분석하여 게걸무 분말의 첨가가 국수의 제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게걸무 분말 첨가 시, 국수의 생면과 조리면의 적색도는 게걸무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경향은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기계적 텍스처의 측정 결과, 조리면에서 게걸무 분말을 국수에 첨가 시 경도는 낮아지고 부착성과 탄성은 감소하며 씹힘성은 증가하였지만 부서짐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조리면의 무게 증가율과 부피 증가율은 게걸무 분말 첨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국물의 탁도는 게걸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국물의 탁도가 높게 나타났다. 게걸무의 첨가비율이 낮은 4-8% 수준의 시료에서는 무첨가구에 비하여 탁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가 첨가비율이 높은 12-16% 수준의 첨가시료에서는 무첨가구 수준으로 탁도가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종합적인 기호도는 게걸무 분말을 4-8% 대체하여 첨가한 시료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평가 되었는데, 이는 대조구 국수와 관능적 텍스처 특성이 유사하면서 무 고유의 매운맛과 시원한 맛을 나타내는 수준의 시료이었다. 따라서 국수의 제면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국수 고유의 조직감을 유지하고 게걸무 특유의 향미를 갖는 조건은 게걸무 분말을 8%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양하를 첨가한 김치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Yangha (Zingiber mioga Rosc))

  • 김현순;강순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00-407
    • /
    • 2017
  • 본 연구는 양하의 항산화성 활성과 양하를 첨가하여 $4^{\circ}C$에서 21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양하를 첨가한 농도는 5%, 10%, 및 15%를 김치를 제조할 때 첨가하였다. 양하를 첨가한 김치의 품질특성을 보고자 pH, 염도, 무기질 농도, 유산균 함량, 색도변화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양하 1g에는 $3.85{\mu}M$ quercetin 당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양하 1 g에는 $0.49{\mu}M$ quercetin 당량으로 관찰되었다. 양하를 첨가한 김치의 유산균수는 양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특히 10% 첨가한 김치에서 가장 높은 유산균 수를 관찰하였다. 명도의 값은 양하를 첨가할수록 밝기가 밝아지면서 수치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Redness는 양하 첨가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10%와 15% 첨가구에서는 양하 첨가에 의하여 붉은 색은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관능검사에서는 전반적 기호도, 맛, 풍미 및 색의 기호성은 10% 첨가군에서 유의하게 좋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결과 양하는 천연항산화제로서 양하를 첨가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호도를 증가시키는 소재로서 활용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