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antimicrobial substanc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1초

LC-MS를 이용한 황금추출물의 항균물질 검색 (Analysis of Antimicrobial Substance isolated from Scutellariae Radix Extract using LC-MS)

  • 김영록;최성길;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0-354
    • /
    • 2005
  • 황금의 천연항균제 개발을 위하여 황금의 일반성분 및 미량물질들을 분석하였으며 항균활성물질의 검색을 위하여 LC-MS를 이용하였고 검색되어진 성분들에 대해서는 항균력 비교시험을 하였으며 항균활성물질들에 대해서는 HPLC를 이용하여 그 양을 정량하였다. 황금의 일반성분으로는 수분 $8.93\%$, 탄수화물 $67.93\%$, 조회분 $4.13\%$, 조단백질 $15.30\%$ 및 조지방 $3.71\%$ 이었고 미량성분에 있어서는 칼륨 12,050mg/kg과 마그네슘4,296 mg/kg의 함량이 현저하게 높았다. LC-MS 분석결과 황금추출물에 있어서 분자량 445의 peak는 baicalin, 분자량 283의 peak는 wogonin, 분자량 269의 peak는 baicalein으로 확인되었다. disk method를 이용하여 항균력을 시험한 결과 baicalin이 주된 항균물질임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메탄올 및 물추출물의 baicalin 함량을 분석한 결과 물추출물은 $0.75\%$이었고 메탄올추출물은 $0.82\%$로서 메탄올추출물에 있어서 baicalin 함량이 약간 높은 결과를 얻었다.

Preparation of Shark Byproduct Extract and Gellan Gum based Antibacterial Film Containing Green Tea Extract

  • Bak, Jing-Gi;Kim, Jin;Ohk, Seung-H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0-57
    • /
    • 2022
  •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dental product such as tooth decay prevention and oral hygiene by manufacturing a natural polymer film for oral use. Natural polymer films were prepared from shark byproduct extract (SBE) and gellan gum (GG). As an antibacterial substanc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 against tooth decay-causing bacteria was measured. An film was prepared by adding green tea extract to the composition of SBE and GG. The mechanical, solubility, moisture content and antibacterial function of the prepared film were investigated in detail. Also, the incorporation of GTE into the SBE/GG film improved the physical performance of the film. Increasing the content of GTE improved the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the film. Formulation of antimicrobial SBE/GG film containing green tea extract was established and these results evidently showed potential for cavity prevention products application.

다약제내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Bacillus subtilis MP56 균주의 분리 및 특성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ubtilis MP56 wit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DR (Multi Drug Resistant) Strains)

  • 박성용;유진철;성치남;조승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90-94
    • /
    • 2013
  • 최근 국내외로 MRSA, VRE 등의 다약제 내성 균주의 분리빈도가 매년 급증하고 있고, 시판하고 있는 항생제 중 가장 효능이 강력한 제품들도 다약제 내성균 출현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극복할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다약제 내성균에 유효한 항생제의 예로 vancomycin, teicoplanin, linezolid가 다약제 내성균에 유효한 의약품으로 쓰이고 있으며 방선균이나 Bacillus 등의 배양액에서 다약제 내성균에 유효한 물질의 발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넓은 항균범위를 가지고, 체내 축척이 적은 항생물질에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국내 서해안의 갯벌에서 Bacillus 속 미생물을 수종 분리하였으며, 다약제 내성균에 항균 활성을 지니는 MP56 균주를 선발하였고, 균주 동정 결과 Bacillus subtilis 와 99.93%의 16S rRNA 상동성을 나타냄을 본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국내외 연구진에 의하여 다수의 Bacillus 속 미생물이 분리된 바가 있으며, 항균 물질에 대한 연구도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국내 갯벌에서 분리된 Bacillus 속 균주 배양액의 임상균주에 대한 항균 효능 평가에 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 Bacillus 속 균주 MP56 배양액이 국내에서 분리한 임상 균주인 MRSA, IMP 균주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어 최적 발효조건과 항균범위를 본 논문을 통해 보고하였으며, 추후 MP56 균주 배양액에서 항균물질의 분리, 정제 및 구조 규명을 위한 후속 연구를 수행 할 예정이다.

천연물을 이용한 항균성 염료의 개발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Dye for Natural Dyeing using Natural Substances)

  • 유영은;박은영;정대화;변성희;김상찬;박성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2-39
    • /
    • 2010
  •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천연 염색 시 염료로 사용이 기능할 것으로 판단되어지는 한약재와 천연물 중 72가지를 선발하고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1차 조사와 열수, 에탄올, 메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이용한 2차 조사 결과 전반적인 천연물에서 열수와 메탄올 추출물에서 상대적으로 유효한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별한 천연물 중 대황, 산사, 산수유, 소목, 오매, 오미자, 오배자와 황련 추출물에서 20 mm 이상의 생육저지환이 형성되었으나 항세균성에 대한 활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항진균성에 대한 연구가 보다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물 중 가장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낸 황련 열수 추출물의 S. aureus ATCC 6538에 대한 MIC 값을 조사한 결과 110 mg/mL로 조사되었다. 또한 공시균주 외 다른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한 결과 조사한 3종에 대하여도 양호한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선별된 천연물이 천연염색 뿐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많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용매에 따른 회수율과 항균성을 비교할 때 낮은 회수율에서도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는 소목과 황련의 경우 회수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좋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목적용액에서 천연보존제로서의 Allyl 유도체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Allyl Derivate in Multi-purpose Solution as Natural Preservative)

  • 이지영;서승교;성덕용;육도진;이군자;정재용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5-102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마늘 allyl 유도체의 안질환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고, 이를 다목적용액(MPS)에 응용함으로써 천연물유래 마늘성분을 이용하여 MPS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cus aereus)에서 마늘유래 allyl 유도체인 diallyl sulfide(DAS)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항균활성이 없는 MPS에 DAS를 함께 처리하여 세균의 생육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50%의 생육저해($IC_{50}$)를 나타내는 DAS농도는 녹농균과 황색포도상구균 각각 0.25%와 0.64% 였다. MPS의 항균활성 실험에서 A사의 제품은 효과가 없었으며 B사의 제품은 두 균 모두에서 항균활성을 보였다. B사 MPS의 항균활성은 그람음성과 그람양성 세균에 대해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DAS의 항균활성을 이용한 보존제의 개발을 위해 처리된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은 A사의 MPS를 사용하여 A사의 MPS에 DAS를 첨가하여 항균활성을 조사한 바 DAS의 항균활성 효과가 나타났으며, 콘택트렌즈 살균제에 대한 적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결론: 마늘의 allyl 유도체는 황색포도상구균과 녹농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으며, 녹농균에서 더큰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늘성분과 같은 천연물유래 항균활성물질이 MPS의 보존제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acteriocin from the Newly Isolated Bacillus subtilis HD15 with Inhibitory Effects against Bacillus cereus

  • Sung Wook Hong;Jong-Hui Kim;Hyun A Cha;Kun Sub Chung;Hyo Ju Bae;Won Seo Park;Jun-Sang Ham;Beom-Young Park;Mi-Hwa Oh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11호
    • /
    • pp.1462-1470
    • /
    • 2022
  • Natural antimicrobial substances are needed as alternatives to synthetic antimicrobials to protect against foodborne pathogens. In this study, a bacteriocin-producing bacterium, Bacillus subtilis HD15, was isolated from doenjang,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We sequenced the complete genome of B. subtilis HD15. This genome size was 4,173,431 bp with a G + C content of of 43.58%, 4,305 genes, and 4,222 protein-coding genes with predicted functions, including a subtilosin A gene cluster. The bacteriocin was purified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Diethylaminoethanol-Sepharose chromatography, and Sephacryl gel filtration, with 12.4-fold purification and 26.2% yield, respectively. The purified protein had a molecular weight of 3.6 kDa. The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 showed the highest similarity to Bacillus subtilis 168 subtilosin A (78%) but only 68% similarity to B. tequilensis subtilosin proteins, indicating that the antimicrobial substance isolated from B. subtilis HD15 is a novel bacteriocin related to subtilosin A. The purified protein from B. subtilis HD15 exhibited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and Bacillus cereus. It showed stable activity in the range 0-70℃ and pH 2-10 and was completely inhibited by protease, proteinase K, and pronase E treatment, suggesting that it is a proteinaceous substance. These findings support the potential industrial applications of the novel bacteriocin purified from B. subtilis HD15.

Casein 효소 가수분해물의 항균 활성과 그 응용 (Applic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asein Hydrolysates Treated with Asp.oryzae Protease)

  • 이혜진;이상덕;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8-94
    • /
    • 2006
  • 단백 효소 가수분해물의 천연 항균제로서의 응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casein에 5종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작용시켜 얻어진 가수 분해물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고 활성이 가장 높은 가수분해물을 부분 정제하여 그 응용성을 검토하였다. Casein에 5종 단백질 분해효소를 작용시켜 얻은 가수분해물의 항균활성은 Aspergillus oryzae protease에 의한 것이 가장 높았다. 효소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가수분해 물을 30,000, 10,000, 3,000 membrane filter로 한외여과 하였을 때 항균활성은 3,000이하 분획물에 대부분 함유되어 있었으며 공시균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1.0\~1.5\;mg/mL$이었다. Aspergillus oryzae pretense로 작용시킨 casein 가수분해물은 $121^{\circ}C$에서 10분간 가열했을 때도 그 항균 활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아 열에 안정하였다. 가수분해물을 HPLC로 220 nm 280 nm에서 검출된 peak 별로 수집하여 항균활성을 측정 한 결과 retention time 12.6, 13.2 분에서 분취된 peptide가 활성이 있었다. 가수분해 동결건조물을 된장에 첨가하였을 때 미생물의 생육이 저해되었으며 실용성이 있었다.

식품 포장용 항균 기능성 고분자 필름의 특성 및 평가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Polymeric Films for Food Packaging Applications)

  • 이주원;홍석인;손석민;장윤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74-583
    • /
    • 2003
  • 식품의 저장성 및 안전성 향상을 목적으로 필름이나 용기형태의 항균 기능성 포장재를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아울러 새로운 고분자 및 항균 소재 탐색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의 합성 고분자뿐만 아니라 생고분자에 각종 항균제를 첨가 또는 혼입하여 제조한 식품 포장용 항균성 필름이 최근 들어 주목받고 있는데, 이러한 항균성 필름은 담체로 사용된 고분자는 물론 항균제의 종류, 이들의 상호작용에 따라 항균효과 및 지속기간, 필름의 물성 등이 현저하게 달라진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식품 포장용 항균 기능성 필름의 제조기술 개발을 위해 발표된 문헌 자료를 토대로 항균필름 제조에 사용된 고분자 소재와 항균제의 종류, 항균활성 평가방법, 제조방법에 따른 항균효과 및 필름의 물성 변화 등 항균필름의 종합적인 항균성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 추출물의 항균특성 (Antimicrobial Effect of Lithospermi radix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

  • 박욱연;장동석;조학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7-100
    • /
    • 1992
  • 천연보존료의 개발과 식중독 예방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며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하여 자초로부터 항균성 물질의 최적 추출조건을 검토하고, 각종 식품부패미생물이나 식중독 원인세균에 대한 항균력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항균성 물질은 95% 에탄올로 상온에서 24시간 추출하는 것이 제일 양호하였다. 항균력은 $pH\;5.0{\sim}8.0$의 범위에서 나타났으나 산성영역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이온교환 chro-matography결과, 음이온 획분이 양이온 획분보다 항균력이 높았다. Gram양성균에 대한 균증식 억제력이 Gram음성균에서 보다 양호하였으며, 식중독 원인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등에 대하여는 0.1%의 첨가로도 48시간까지 균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곰팡이나 효모류에 대하여는 0.1%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균종에 따라 48시간 이내에 균의 증식이 나타났으나, 0.15%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거의 모든 진균류에서 96시간 까지 균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