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collection

검색결과 3,440건 처리시간 0.037초

회천 및 인접 소하천들의 어류상과 군집 구조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Structure in the Hoecheon Stream and Some Adjacent Tributaries of the Nakdonggang River, Korea)

  • 채병수;김상기;강영훈;허남수;유동욱;박재민;하헌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5-217
    • /
    • 2017
  • 2016년 7월부터 2017년 8월까지 낙동강수계의 1차 지류인 회천과 인접한 소하천들에서 24개 지점의 어류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모두 11과 32속 42종 4형의 어류가 확인되었다. 그중 잉어과 어류가 24종 4형(59.1%)으로 가장 많았다. 한반도 고유종은 A. yamatsutae와 Odontobutis platycephala 등의 16종이었다. 멸종위기야생생물에 해당하는 종은 I급에 Pseudobagrus brevicorpus와 Koreocobitis naktongensis, II급에 Culter brevicauda로 3종이 출현하였다. 외래종은 Lepomis macrochirus와 Micropterus salmoides의 두 종이 있었으며, 국내이입종은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Hemiculter eigenmanni, O. interrupta, Tridentiger brevispinis의 4종이 확인되었다. 우점종은 Zacco koreanus NS (19.16%), 아우점종은 Zacco platypus R(17.17%)이었다. 회천과 인접 하천 수계 전체에서는 다양도 2.894, 균등도 0.765, 우점도 0.353, 종풍부도 4.668로 나타나 다양하고 안정된 어류군집을 이루고 있었다. 어류군집 간의 유사도를 바탕으로 작성한 수지도에서는 상류집단, 중류집단, 중하류집단, 하류집단의 4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거주시설 발달장애인을 위한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Occupation Based Grocery Shopping Skill Training Program For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주유미;김대윤;모영호;손성민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43-58
    • /
    • 2017
  • 목적 : 발달장애인의 마트장보기 과제의 독립적 수행을 위해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효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최종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입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그룹프로그램을 개발한 프로그램에 대해 전문가 내용타당도 평가를 실시한 후 프로토콜을 작성하였다. 이후 발달 장애인 3명에게 소규모 그룹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을 총 6회기에 걸쳐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훈련 전 후 및 5개월 후 3차례에 걸쳐 The Test of Grocery Shopping Skills (TOGSS)를 통해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그룹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3명의 대상자 모두 구매하고자 하는 물건의 항목비교 및 크기비교 수행기술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마트에서 장보는 시간이 훈련 전에 비해 감소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3명 중 2명의 대상자는 마트 내에서 물건위치 찾기 수행도가 향상되었다. 반면 가격비교는 3명 모두 수행도의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5개월 후 추적평가 시 대상자 2명은 마트장보기 수행기술이 유지되거나 향상된 모습을 보였고, 1명은 훈련효과가 퇴행하여 독립적으로 마트장보기가 불가능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그룹프로그램은 발달장애인들의 마트장보기 수행 기술 향상에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은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고, 전문가 내용 타당도 평가를 거쳐 구체적인 프로토콜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것이 지역사회 작업치료서비스 분야에 필요한 임상적 의의를 지닌다.

바이오정보 활용에 대한 시민 인식 조사 연구 (A Survey on the Public Awareness of the Bioinformation Utilization)

  • 최규진;김병수;오병일;장여경;이은우;변혜진;이상윤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117-144
    • /
    • 2017
  • 우리나라는 바이오정보의 산업적 성장 가능성에만 주목하고 있어서 바이오정보의 수집 및 관리를 위한 사회적 논의는 빈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바이오정보의 활용을 위한 사회적 논의의 기본 토대가 될 수 있는 시민들의 인식 현황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은 많은 시민들이 목적별 바이오 인식기술 사용에 대해 긍정적 의견을 표하고, 국가의 지문정보 수집에 대해서도 개방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동시에 바이오 인식기술을 통한 본인인증 시스템에 상당한 우려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바이오정보를 수집하는 기관에 대해 신뢰하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신체정보를 비롯한 건강정보에 대해서는 각별한 우려를 표했으며, 다른 개인정보에 비해 더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는데 압도적인 동의를 표시했다. 의료기관에서 수집되는 의료정보에 대해서도 설문에 응한 80%에 가까운 사람들이 영리업체 제공에 대해 동의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통계 학술연구를 위해 사용한다는 것에조차 60%가 넘는 사람들이 동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바이오정보의 공익적 활용을 위해서라도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나아가 국가적 관리 시스템과 제도 마련 과정에서 일반인들이 참여해 의견을 개진 할 수 있도록 현재의 개인정보영향평가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대규모 멀티 플레이어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 참여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 관행에 관한 민족지학적 연구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Digital Literacy Practices of Role-Players in a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

  • 홀리스터 조나단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29-467
    • /
    • 2019
  • 정보와 미디어 집약적인 21세기 게임 환경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스킬과 비판적 역량의 활용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 연구는 공상 과학 판타지를 주제로 한 대규모 멀티 플레이어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 (MMORPG)인 와일드스타(WildStar) 참여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 관행에 대해 탐구하고 설명한다. 활동적인 역할 참여자는 게임 내부의 특정한 역할을 가지고, 그룹 중심의 대화형 스토리를 만드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역할 참여자가 어떻게 정보, 미디어 및 기술을 찾고, 사용하고, 평가하고, 관리하는지 잘 이해하기 위해, 이 연구는 광범위한 역할 참여자 관찰 데이터, 위키페이지나 토론게시판의 글과 같은 참여자들의 커뮤니티 활동을 보여주는 데이터, 그리고 17 명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반구조화 면담 데이터를 통합 분석한 하이브리드 민족지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참여자들은 다양한 미디어와 기술을 사용하여 롤 플레잉을 보완하고 단순화시키면서, 더욱 몰입적인 롤 플레잉을 만들었다. 개인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은 상대적으로 상이하고, 참여자들은 더 유능하고 경험 많은 커뮤니티 구성원의 기술에 의존하기도 했다. 온라인 게임의 특성과 롤플레잉의 교육적 효과를 고려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도서관 프로그램의 영향과 적용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크라우드펀딩 창업 활동에서 개인 및 국가 수준 사회적 자본의 역할 (Roles of Individual- and Country-level Social Capital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of Crowdfunding)

  • 오세환;노성호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6권1호
    • /
    • pp.1-19
    • /
    • 2017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크라우드펀딩 맥락에서 개인 및 국가 수준의 사회적 자본이 창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설계/방법론/접근법 본 연구는 두 가지 주요한 자료원을 활용했다. 먼저 미국의 대표적인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인 킥스타터(Kickstarter)에서 15,716개의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 및 개인 수준의 사회적 자본 관련 자료를 수집하는 한편 레카툼 번영지수(Legatum Prosperity Index)를 참조하여 국가 수준의 사회적 자본 관련 자료를 수집했다.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별로 개인 및 국가 수준의 사회적 자본을 측정한 후 사회적 자본이 창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포아송 회귀분석 및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분석결과에 따르면 페이스북 친구수, 다른 프로젝트 후원 횟수, 프로젝트 소개글 수 등 창업가 개인 수준의 사회적 자본은 크라우드펀딩내 창업 활동과 긍정적으로 유의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별 사회적 자본 지수로 측정한 국가 수준의 사회적 자본도 크라우드펀딩내 창업 활동과 긍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여성건강을 위한 개념적 모형 (Conceptual Model for Women s Health)

  • 이경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933-942
    • /
    • 1997
  • There has recently been an increased interest in women's health from, various disciplines, with different perspectives presented according to each profession's academic background. This has led to many instances of incorrectly defining, or misinterpretation, of the issues even among professionals. Nurse scholars as well as practitioners who work in women's health care need to have a clear conceptual understanding of women's health in order to build a body of knowledge, delineate curricular activities, and set directions for professional nursing interventions. In addition, a conceptual model that may be directly utilized in practice is needed to maintain and promote women's health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 Hybrid model, analyzing conceptual definitions and discussions related to women's health gathered from review of the literature. Further to compare analyticals the concepts and properties observed from field work, so as to present a final definition of women's health and, build a conceptual framework for a united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the concept as well as on nursing practic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consisted of a theoretical stage, field work stage, and final analysis. A heterogeneous group of professionals and lay persons, 39 in all, participated in the field work. Study findings Include several subconcepts under the concept of women's health : a woman's whole life, holistic health, quality of life, awareness of being a woman, individual nursing, self care ability, reproductive health, and family health. Thus, a comprehensive definition was built, 1. e., "Women's health care be defined as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through attainment of holistic health throughout the life span. With reproductive health at the core, the concept is directly related to family and national health, and includes taking care of one's own health based on awareness of being a woman and utilizing self care activities. Women's health care issues are unique and allow various responses, therefore women's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apply individual approaches to reach solutions in attaining holistic health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The constructual factors of women's health were found to be reproductive functions, diseases more common in woman, self actualization, mental health, women's health policies, sexuality, midlife changes, and marital relations, with each factor having more than three properties. Positive factors affecting women's health were found to be a normal childbearing process, a healthy lifestyle, active health management, health information, support, and resourc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Negative factors were found to be overwhelming role stress, cultural oppression, gender inequality, distorted sexual identity, economic difficulties, misuse and/or abuse of substances, and stress. The model of women's health may be visualized as a balance scale set upon a woman's life, supporting 4 concentric circles. The innermost circle and second circle incorporate conceptual definitions of women's health, and the outer two circles represent the constructional factors and properties of women's health. Each circle has its own color that symbolizes the conceptual meaning.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are represented as weights at either end of the scale, and are affected by nursing intervention, i. e., health and wellness increase when positive factors are stronger, whereas disease and illness increase when negative factors are stronger. This model is only a preliminary effort and requires much discussion and testing to be further developed. Continuous research is also required.

  • PDF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제공이 관상동맥조영술 대상자의 검사 전 불안감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 Information using Computer Orogram on the Reduction of Anxiety in Coron Angiogram Subjects)

  • 정경인;최순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5-125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a computer information offered in advance of the test would decrease anxiety degree in coronary angiogram subjects.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e-synchronized design. The subjects of study were 53 patients who were admitted at C hospital in K city for coronary angiogram. The 53 subjec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25) and control(28) groups. The computer information set up by researcher was used as the experimental treatment and 10 minutes long. Spielberger's state anxiety scale translated by Kim and Shin(1978) and sphygmomanometer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2000 to March 31, 2001, and analyzed by chi-square, paried t-test, t-test, ANC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SPSS/PC+.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first hypothesis that 'post-test state anxiety score will be lower than pre-test state anxiety score in experimental group' was supported(t=2.40, p=.020). 2. The second hypothesis that 'post-test systole will be lower than pre-test systole in experimental group' was not supported(t=-.30, p=.765). 3. The third hypothesis that 'post-test Diastole will be lower than pre-test diastole in experimental group' was not supported'(t=-1.42, p=.161). 4. The fifth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 is given the computer information will be lower in state anxiety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ho is not given the computer information' was supported(F=9.17, p=.004). 5. The sixth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 is given the computer information will be lower in systole than the control group who is not given the computer information' was supported (F=7.16, p=.010). 6. The seventh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 is given the computer information will be lower in diastole than the control group who is not given the computer information' was not supported'(F=.55, p=.462). 7. The eleventh hypothesis that 'the lower the post-test state anxiety, the lower the uneasiness score during the test' was not supported(r=-.013, p=.926). 8. The eighth hypothesis that 'the lower the post-test state anxiety, the lower the nervousness score during the test' was supported(r=.326, p=.017).

  • PDF

지역사회 장애학생의 게임세계 경험과 또래상호작용 탐구: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The Study on the Game World Experience and Peer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 With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 유두한;전병진;홍덕기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3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장애학생의 게임세계에 대한 경험을 통해 또래상호작용을 탐구하여 그들이 겪는 여가활동의 경험에 대한 보다 풍부한 이해를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2명의 지역사회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게임세계에 대한 경험과 또래상호작용을 탐구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심층면담으로 연구 참여자의 상황과 맥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3회 이상 면담횟수를 설정하였고, 가급적 새로운 자료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과정은 Giorgi가 제시한 과학적 현상학에서 따라야 하는 4가지 구체적 단계들을 통해 전체적 인식을 바탕으로 의미단위를 구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 장애학생은 신체적 제한과 소외감으로 집에서 대부분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시간적이며 공간적인 접근성의 제한은 편중된 여가활동의 원인이 되었다. 장애학생은 컴퓨터를 이용한 게임에 재미를 느끼며 소외감을 극복하고 있었지만 게임으로 인한 신체적 고통도 느끼고 있었다. 게임을 통한 또래와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고, 대화는 주로 가족과 이루어졌다. 장애학생은 재미에 이끌려 무분별적으로 게임을 하고 있어, 시간 사용에 대한 올바른 사고가 필요하였다. 결론 : 지역사회 장애학생은 신체적이고 심리적인 제한점들로 인해 게임을 접하게 되었고, 몰입을 통한 재미로 즐거움을 느끼고 있었다. 지역사회 장애학생은 게임의 시간 사용에 대한 올바른 교육과 사고가 필요하며, 무분별한 게임 이용과 같은 문제점에 대한 대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경사지(傾斜地) 농업기술(農業技術) 개량(改良)을 위한 효과적(效果的)인 토양보전공법(土壤保全工法) 개발(開發)에 관한 연구(硏究) (Development of the Better Soil Conservation Measures with Special References to Yam Hillside Farming)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60-67
    • /
    • 1981
  • 경사지(傾斜地)에서 얌(yam)증산(增産)을 위한 농업기술(農業技術) 체계(體系)를 확립(確立)하고 보다 효과적(效果的)인 토양보전(土壤保全) 공법(工法)을 개발(開發)하기 위한 시험연구(試驗硏究)가 자메이카국(國)의 트리로운리에 위치한 토양보전(土壤保全)센터에서 수행되고 있다. 이 시험장(試驗場)은 표고(標高) 약 820 m의 $20^{\circ}$ 경사지(傾斜地)에서 8개의 유수유토(流水流土) 시험구(試驗區)(4처리(處理) 2반복(反覆))와 기타의 시험시설(試驗施設)로서 구성되었다. 각(各) 시험구(試驗區)의 크기는 $40m^2$($2.7m{\times}15.8m$ 사면장(斜面長))이며 서북향(西北向)으로 향(向)한 경사지(傾斜地)였다. 시험(試驗) 제(第) 1차년도(次年度)(1980년(年) 4월(月)~1981년(年) 3월(月))중에 일강우량(日降雨量)과 유수유토량(流水流土量)(11회(回))을 측정분석(測定分析)하였다. 총(總) 강우량(降雨量)은 1,295mm이었으며 최대일(最大日) 강우량(降雨量)은 116.2mm이었다. 4처리중(處理中)에서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은 제(第) 1처리구(處理區)에서 182 tons/ha, 제(第) 2처리구(處理區)에서 105 tons/ha, 제(第) 3처리구(處理區)에서 50 tons/ha, 그리고 제(第) 4처리구(處理區)에서 43 tons/ha으로 각각 조사(調査)되었다. 이 시험결과(試驗結果)에 의한 효과적(效果的)인 경사지(傾斜地) 얌(재배(栽培)) 방법(方法)은 Hillside ditch 또는 Grass buffer strip 처리(處理)에 Contour mounds farming 이라고 분석(分析)된다.

  • PDF

토양여과대의 침투능 향상을 통한 비점오염물질 저감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Reduction Effects of Non-Point Pollutants by Improvement of Infiltration Capacity of Soil Filter Strip)

  • 우수혜;최이송;오종민
    • 생태와환경
    • /
    • 제40권2호
    • /
    • pp.264-272
    • /
    • 2007
  • 본 연구는 한강 상수원 수변지역의 실제 적용에 앞서 Bench scale의 실험을 통해 식생여과대의 단점을 보완하고 보다 효율적인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대조군, 모래+자갈, 여재, 자갈의 토양여과대를 조성하여 토양의 침투능력을 향상시키고 효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토양여과대에서 단면 및 하부로의 침투를 증가시킨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토양여과대의 평균 표면 유출부하량과 비교하여 $8.2{\sim}40.1%$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토양여과대 조성을 통한 표면 유출부하량의 감소 효과가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오염물질의 유입부하에 따른 총유출부하량을 통해 각각의 토양여과대에 대한 저감 효과를 비교해 본 결과, 전체적인 제거율은 SS $84.5{\sim}92.5%$, BOD $67.9{\sim}80.6%$, T-N $43.4{\sim}76.6%$), T-P $40.6{\sim}87.4%$, Cu $28.3{\sim}48.1%$, Fe $92.1{\sim}97.7%$, Pb $81.4{\sim}97.3%$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각각의 토양여과대에 대한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비교해 본 결과, 여재, 모래+자갈, 자갈의 순으로 저감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식생여과대에 비해 토양층을 변화시켜 토양의 침투능을 향상시킨 토양여과대가 비점오염물질 저감에 보다 효과적이며, 하천에 가해지는 오염부하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차후 현장 적용 시 보다 실효성 있는 비점오염 저감대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