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collection

검색결과 3,356건 처리시간 0.033초

오브컴 위성 통신을 이용한 원격지 데이터 수집 시스템 설계 (Design of Remote Data Collection System using Orbcomm Satellite Communication)

  • 허민;정성훈;모수종;임재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22-125
    • /
    • 2005
  • 현재 환경, 교통, 기상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서는 임베디드 장비와 통신모듈은 분리되어 사용 되고 있다. 특히 통신 상황이 좋지 않은 원격지에서 수집된 데이터들을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구조가 복잡해지고 통신요금도 비싸다. 본 논문에서는 통신상황이 좋지 않은 원격지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저렴한 위성 통신을 이용하여 오류 없이 전송할 수 있는 안정화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임베디드 보드를 포함하는 위성통신 단말기의 Third-party 프로그래밍을 통해 원격지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간단하게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웹 에이전트를 통하여 멀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드론을 이용한 교통영상정보 수집체계 정립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Traffic Information Image Collection System Using Drones)

  • 이문엽;박제진;진태희;하태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4호
    • /
    • pp.401-408
    • /
    • 2020
  • 본 연구는 교통정보 수집 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수집장비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에 따른 운영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기존 교통정보 수집방식의 문제점과 오차를 저감시킬 목적으로 드론을 이용한 교통영상정보 수집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현장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고도별, 각도별, 방향별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드론을 이용한 교통영상정보 수집방법에 관한 드론 촬영기준을 제안하였고, 기존의 교통정보 수집방법과 드론을 이용한 교통영상정보 수집방법과의 비교·검토를 통해 장·단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통영상정보 수집 시 드론을 활용하여 공중에서 각종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기존에 설치한 교통정보 수집지점과 더불어 주변의 상황까지 더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각종 돌발상황, 재난상황 등 유고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이용자에게 주변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집지점을 변경·확대하는 등 고정식 장비로 수집되는 교통정보를 보완하여 정확한 교통량 조사 목적을 달성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 중산복의 변천 및 현대패션에의 적용사례 고찰 (A Review on the Transition and Application of Modern Fashion of Chinese Mao Suit)

  • 기초;백정현;배수정
    • 복식
    • /
    • 제67권3호
    • /
    • pp.31-4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occurrence and evolution of Mao suit which is important position in the modern costume history of China and to provide a source of design inspiration to contemporary fashion designers. In the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was conducted in parallel. For the literature review, changes of Mao suit in each age were reviewed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documents, Chinese costume and cultural history, prior research papers and internet resources. The case analysis was qualitatively done focusing on the silhouette, color and detail of clothes in fashion collections. The scope of the study was from 1912 to 2000. The case analysis of the Mao suit applied to the contemporary fashion was made on the applications centered around 'London Collection', 'New York Collection', 'Paris Collection', 'Milan Collection' and 'Chinese Fashion Week' from 2008 to 2015. The results found that Mao suit changed into many different forms after Sun Wen designed it for the first time in 1912. This study classified it into Phase 1(1912~1927), Phase 2(1928~1965), Phase 3(1966~1977), and Phase 4(1978~2000) with historical and political issues and conformational changes in Mao suit.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cases of the fashion collections using Mao suit from 2008 to 2015 showed an increased application of Mao suit to the western collection in New York, Paris and London in 2008 due to the impact of Beijing Olympics. However, from 2009 onwards, the frequency of the utilization of Mao suit was higher in the Chinese Fashion Week and the New York Collection. This cause is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designers who inspired from Mao suit in the New York Collection are American Chinese.

국립중앙도서관 외국자료 개발 방향성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Foreign Materials Development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 배경재;김신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67-188
    • /
    • 2021
  • 국가도서관은 한 국가의 지식문화유산인 국가장서를 집중적으로 개발·보존하고 제공해야할 책무가 있다. 특히 국립중앙도서관의 사명을 완수하기 위한 4대 목표 가운데 '국가지식자원 접근·보존 기반 고도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외연적 범위를 국내자료뿐 아니라 외국자료로도 확대하여 국가지식자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즉, 국내에서 생산되는 최신자료와 소급자료를 최대한 수집·제공·보존하는 기능은 물론이며 외국에서 생산·유통·보존되고 있는 고품질 학술자료 및 한국과 관련된 자료를 가능한 한 많이 수집하여 국가지식정보센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는 선진국 국가도서관의 외국자료 수집 및 서비스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의 외국장서 수집수준을 비교·평가한 다음 고품질 학술자료 및 한국 관련 외국자료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Taxonomic Studies of the Beta Hemolysis-causing Pathogen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Sea Water

  • Kim, Sam-Sun;Park, Yong-Ha;Lee, Jung-Sook;Yoon, Jung-Hoon;Shin, Yong-Kook;Rhee, In-Koo;Kim, Young-J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67-73
    • /
    • 1998
  • A bacterial strain that excretes hemolysins and proteases into the growth medium was isolated from sea water and designated as KYJ 961. A nearly complete nucleotide sequence of a 16S ribosomal RNA gene from the isolate was determined following the isolation and cloning of amplified genes. On the basis of the 16S ribosomal DNA sequence data, and morphological, chemotaxonomic,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strain KYJ 961 was classified as a strain of Bacillus cereus.

  • PDF

선박용 주방 환기후드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Marine Kitchen Ventilation Hood)

  • 김동규;정용현;금종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1373-137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Ventilation hood and to make better oil collection for improvement. In order to complete the purpose, the research range has limited a kitchen cooking utensil used in preparing food in vessels. Assessment was carried out with reference(ASTM F1704-09) to the specification. Evaluation items of ventilation hood were flow visualization, oil collection rate and noise levels. When filter angle was 40 degrees, oil collection rate was increased by 9%.

주제접근법에 의한 대학도서관 장서개발 모형연구 (A study on collection development model for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based on subject a n.0, pproach)

  • 김정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285-328
    • /
    • 1995
  • This study is an attempt at developing an organizational model for collection development a n.0, pplicable to Korean university libraries at their present stage of development. An emphasis is placed on the discussion of the 'subject a n.0, pproach' as compared to 'functional a n.0, pproach' in collection development work. The case history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Library is extensively used. The proposed collection development model consists of the following elements : - To form a collection development team and to place under the team leader subject bibliographers as follows: Bibliographer for Serials Bibliographer for Humanities Bibliographer for Social Sciences Bibliographer for Sciences and Technologies - Collection development team could operate as a separate department or as part of other departments, i. e., Deputy Director's office, Acquisitions and Processing Department, or Resources Management Department. - Collection development team takes up the responsibility for policyrelated collection work, i. e., budget allocation, evaluation of existing collection, building core collection, preservation, weeding and cooperation. - Designated certified librarians located at the(planned) subject libraries take up the responsibility for selection. Subject bibliographers cooperate with selection librarians and coordinate their work. - Certified librarians at the Acquisitions and Processing Department are assigned subject areas. They operate as acquisitions librarian and processing librarian simultaneously with their assigned subject materials.

  • PDF

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f Guidelines for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 이란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3-224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성명서를 준비하는 우리나라 도서관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선정한 10가지 항목을 사용하여 국가도서관 5곳과 공공도서관 2곳을 사례연구방법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사례들의 특징과 조사항목 분석을 통해서 5가지 지침을 제안하였다.

  • PDF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의 수집 및 적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llection and Application Measures for Media Platform Based Materials)

  • 노영희;정영미;손애경;장인호;차현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93-214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의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의 수집 및 이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국립중앙도서관을 포함한 국내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수집 현황 및 한계를 분석하였다. 둘째, 문헌조사를 통해 매체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현황 및 유형을 조사하였다. 셋째, 해외 주요 도서관 사례에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자료수집 지침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매체 플랫폼 기반의 자료 유형을 도출하고 해당 자료에 대한 정책을 검토하였다. 넷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매체별 수집대상 및 범위 정의, 수집 방법 등 수집 개요(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수집 개요(안)을 적용하기 위한 다음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1)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수집의 명확한 법적 근거 마련이 요구된다, 2)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별 수집 지침 개발 및 제시가 필요하다, 3)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의 수집 도구 개발 및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4)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수집을 위한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위해 소셜 미디어 수집대상 기관의 수집 허락과, 실감콘텐츠 제작 및 서비스 기관과의 연계 협력이 필요하다, 5)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의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접근성 제고, 실감콘텐츠 등 e-deposit 시스템의 콘텐츠 확장성 및 사용의 용이성 제고, 그리고 실감콘텐츠 재현 공간 첨단화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