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rrative inquiry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5초

문헌정보학 연구방법으로서의 이야기 - 내러티브 탐구를 중심으로 - (Narrative Inquiry, As a Research Methodolog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이호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49-172
    • /
    • 2015
  • 이 연구는 문헌정보학 연구방법의 하나로 이야기의 가능성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사회과학적인 인식의 방법으로서 이야기의 가능성과 힘을 논의하고, 서구 사회과학의 해석학적인, 내러티브적인 전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연구의 대상이면서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의 특징과 수행 절차를 소개하고, 문화기술적 연구와 현상학적 연구 등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미국에서의 선행연구 사례를 소개하면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내러티브 탐구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현직 한의사의 열등감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질적연구 (Narrative Inquiry on Current Korean Medicine Doctors' Experience of Inferiority Complex: Qualitative Research)

  • 배진수;김경옥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67-276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ivid and in-depth stories, of inferiority experienced in the lives of current Korean medicine doctors.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participants. Collected research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nelly. Results: Common themes found in participants' narrative were summarized, by 'comparison with others' and 'various attempts to overcome inferiority feeling'.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at three levels: personal, social, and practical. Also, it provides readers with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way they cope with their inferiority complex, which various people experience in different contexts.

정신과 환자의 낮병원 이용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on Experience of Mentally Ill Patients in Psychiatric Day Hospital Care)

  • 엄광진;맹혜영;김정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65-275
    • /
    • 2020
  •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여 정신과 낮병원 이용 환자들의 경험을 연구하였다. 연구자들은 낮병원 이용경험이 있는 정신과 환자 4명을 대상으로 3회 이상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낮병원 퇴원 후 외래 진료 과정에서 추가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참여자들의 낮병원 이용 경험의 의미는 '세상과 끊어진 줄을 다시 묶다.', '힘이 되는 마음의 안식처.', '삶에 대한 방향성을 찾다.' 세 가지 주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신과 낮병원 이용 당사자들의 이야기를 깊이 있게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과 환자의 고립 해소를 위한 제도적 지원, 다양한 지지체계 활성화 노력, 프로그램 개발 활성화의 정책적 제안을 한다.

아이들의 숲 체험과 그에 대한 인상적인 기억에 관한 질적 탐구 (Qualitative Inquiry on Impressive Memories of Children Experienced in Forest)

  • 진영은;조규성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3호
    • /
    • pp.97-11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inquiry the narratives on the most impressive memories of children experienced in the forest. Considering Pestalozzi's argument that nature is a true teacher, the authors of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and understand what kinds of experiences children did in the forest and what they learned from the experiences via the narratives of the children. In the process of analysis, the children's narratives were classified into 'narrative on the forest,' 'narrative on the most impressive moments,' 'narrative on changes,' and 'narrative on narratives.' Via the narrative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when, with whom, where, why the children went to the forest and that how their thoughts and behaviors on 'the forest,' 'other people,' and 'oneself from the emotions and experiences in the specific moments in the forest were changed. Furthermore, the thoughts and attitudes of the children on the forest narratives including what they wanted to friends on their experiences in the forest and their impressions on talking about the forest in this research were identified.

  • PDF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교육실습생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on Student Teacher Searching for Identity as a Teacher)

  • 진형란;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1-99
    • /
    • 2014
  • 교육실습은 산란(産卵) 직전의 알이다. 해를 거듭할수록 사범대생에게 교사가 필수가 아니라는 목소리가 증가하고 있다. 그들은 어떤 존재로 부화될 것인가? 닭일까? 오리일까? 나는 55명의 교육실습생이 4주의 교육실습 기간에 교사로 존재 지향점을 찾아가는 과정을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 방법에 따라 전개하였다. 절차는 현장 들어가기, 현장 텍스트 쓰기, 연구 텍스트 쓰기의 3단계로 이루어졌다. 교육실습생들은 현장에서 관찰한 것과 자극 받은 것 그리고 현장 교사 및 학생들과 인터뷰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주 별 저널을 써 나갔다. 교육실습 카페에서 이루어진 자유롭고 진정성 있는 이야기 220부가 현장 텍스트로 수집되었다. 그리고 연구 텍스트는 각 주별로 탐색, 성장, 반성, 다짐에 대한 시적글쓰기를 통하여 다시 살아내고 다시 이야기하며 내러티브 탐구를 기술해 나갔다. 가정교육과 교육실습생을 비롯한 절대다수의 교육실습생이 교사로서의 삶을 지향하며 부화를 기다리고 있었다.

  • PDF

수퍼비젼 관계형성 실행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on the Actual Experience of a Supervisory Relationship in Korea)

  • 주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619-636
    • /
    • 2017
  • 본 연구는 수퍼비전을 통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관계형성에 대한 내러티브적 묘사이다. 즉, 수퍼바이저 A의 삶과 수퍼바이지 B의 삶 속에서 맺고 있는 그들의 관계를 있는 그대로 기술 및 설명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결론은 진솔성과 개방성은 인간중심 상담의 핵심요소이며, 특히 수파바이저의 무조건적인 수용에 대한 노력은 수직관계 형성으로 '은폐' 방법을 사용하기 쉬운 수퍼바이지의 태도를 더욱 개방적으로 유도할 수 있었다. 이것은 수퍼비전의 관계는 상하관계라는 기존의 시각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수퍼비전에 초보 수퍼바이지들을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수퍼바이저들이 먼저 수용하고 신뢰할 수 있는 분위기와 라포(rapport)를 형성한다면, 수퍼비전의 관계는 수직에서 수평으로 더욱 진전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한 초등과학 영재의 외로움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on a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neliness)

  • 김희경;권혁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3호
    • /
    • pp.348-361
    • /
    • 2016
  • This study was done by narrative inquiry,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elly (2000), in order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oneliness experienced by a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sixth grade student from the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in C University. The data were gathered via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n the participant and her teacher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can make the following four conclusions with regard to the loneliness experienced by a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science. First, som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child may make her feel loneliness in the relationships she has with peers, siblings, and parents. Second, parent's repression makes the gifted child feels lonely. Third, the gifted child who feels lonely get consolation from her own subjective world and wants to get recognition from others. Fourth, the educational institute for the gifted serves as a place of education that fosters the gifted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and simultaneously it is where she can form positive relationships with her peers, as well as being a place of emotional comfort.

은퇴노인의 도서관 이용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n the Retired Elderly Person's Library Use Experience)

  • 이호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15-246
    • /
    • 2019
  • 이 연구는 클랜디닌과 코넬리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여 은퇴 노인들의 도서관 이용경험을 탐구한 것이다. 도서관이라는 공간을 이용하는 것이 은퇴노인들의 삶에 가져다 준 변화의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그것이 삶에 가져다주는 의미를 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서울 시내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세 사람의 은퇴 노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인터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텍스트를 구성하였다. 현장텍스트를 바탕으로 연구참여자들의 이야기는 소설, 에세이, 편지 형식의 연구텍스트로 재구성되었다. 이들의 도서관 이용 경험은 각각 규칙적인 생활을 위한 거점, 재미와 활력, 새로운 꿈꾸기를 위한 보물창고, 노년을 견디는 위안의 원천으로 해석되었다. 책읽기를 통한 건강한 삶에의 지향이라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는 공공도서관의 노인 이용자에 관한 이해를 확충하는 데 유용하고, 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 황해익;탁정화;김미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63-184
    • /
    • 2012
  •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요인을 분석하여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대책 및 방안을 마련하고 나아가 직장보육 서비스의 질적 제고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직장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 4인이었으며 내러티브 방법을 사용하여 그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장시간 근무로 소진되는 교사, 비정규 직 미래에 대한 그늘, 직장부모라는 거대한 산으로 나타났다.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소진을 경험하게 하는 근무환경, 교사의 정체성, 부모의 요구 및 관계 요인이 상호복합적인 관계로 작용함을 할 수 있었다. 이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대책 및 방안의 마련,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자녀에 대한 꾸지람과 부모로부터의 꾸지람에 대한 이야기: 동성부모자녀간 내러티브탐구를 통하여 (Narrative on Scolding of Children by Parents Through Analysis of Same Gender Parent/Child Relationship)

  • 부정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9호
    • /
    • pp.55-6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scolding experiences of three parents with children of same gender. For this research, a narrative inquiry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scolding toward children and scolding from parents resembled each other while the experiences of the three parents regarding scolding were revealed as the following four larger themes and three smaller themes: mimicking the scolding of their parents (taking on the parental role toward the projected, internal self of the past, acceptance of familiarity, providing a safety fence to the children), transforming the scolding of their parents, projecting the unsolved task of parenting to children, beginning to transform and evolve scolding, and cautious practice within daily living. In the discussion, methods for transforming and evolving scolding based on experiences of the three parents regarding scolding were studied, while research on parents scolding children with differing genders and how positive experience such as praising, encouragement, and support, from parents reemerged within children a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