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rcissism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1초

중학생의 SNS중독 경향성에 있어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 자아존중감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Covert Narcissism, Sense of Alienation, and Self-Esteem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 조소연;정주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5-140
    • /
    • 2017
  • 본 연구는 중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을 중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와 영향력을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주일 이내에 SNS이용 경험이 있는 중학교 1~3학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341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과 SNS중독경향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자아존중감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이 높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이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은 직접적으로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즉,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아지고 이는 SNS중독경향성을 더 높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올바른 네트워크 문화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상생활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적합한 SNS이용에 대해 교육과 건강하고 바람직한 SNS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스스로 통제하고 조절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재미 한인 기혼자의 내현적 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용서와 공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of Korean-Americans: The Mediating Effects of Forgiveness and Empathy)

  • 정수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12-426
    • /
    • 2019
  • 본 연구는 재미 한인 기혼자를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용서, 공감, 결혼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성별과 결혼년수에 따른 내현적 자기애, 용서, 공감, 결혼만족도의 차이, 용서와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 성별에 따른 구조적 관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 아리조나, 텍사스 지역에 거주하는 기혼남녀 24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용서, 공감, 결혼만족도와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용서, 공감, 결혼만족도 간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성별과 결혼년수에 따라 용서, 결혼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과 용서는 내현적 자기애와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혼남성의 경우 내현적 자기애가 공감에 미치는 영향력, 공감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력 그리고 공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한편, 기혼여성의 경우에는 내현적 자기애가 용서에 미치는 영향력, 용서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가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인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Covert Narcissism o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Mediated Effects of Adult Attachment)

  • 진이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37-250
    • /
    • 2021
  • 본 연구는 내현적자기애 성향이 높은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 그들의 핵심 정서인 내적 심리상태 중 부정적 정서인 성인애착을 통한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를 검토하고, 내현적자기애와 대인관계 능력의 관계에서 성인애착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의 대학생 447명으로 2020년 7월 6일부터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부트스트래핑,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는 대인관계능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는 성인애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성인애착은 대인관계능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와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성인애착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에게 내현적자기애를 변화시키는 노력과 함께 애착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성인 남녀의 병리적 자기애가 데이트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성차를 중심으로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Effects of Pathological Narcissism on Dating Violence: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 최단비;권호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4호
    • /
    • pp.569-593
    • /
    • 2023
  • 본 연구는 남녀의 병리적 자기애와 데이트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 각 변인에 있어서 성차가 있는지, 매개 경로를 성별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20대 성인남녀 381명을 모집하여 병리적 자기애, 거부민감성, 네 가지 유형의 데이트폭력 가해 경험에 대한 온라인 자기보고 설문을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여성은 남성에 비해 자기애적 취약성과 거부민감성 수준이 높고 심리적 폭력, 성적 폭력, 통제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분석 결과 병리적 자기애가 심리적 폭력,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으나, 성적 폭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완전매개 효과를 보였다. 반면 병리적 자기애와 신체적폭력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이 매개 경로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측정한 결과 자기애적 웅대성과 자기애적 취약성이 거부민감성을 매개로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남녀 모두 병리적 자기애가 심리적 폭력, 성적 폭력을 촉진하며 이 과정에서 거부민감성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병리적 자기애가 거부민감성을 통해 통제행동 가해에 미치는 영향이 남성보다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아 매개 경로에 성차가 있음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서의 내현적 자기애에 관한 연구 : 익명성, 실재감, 상호작용성, 성취 동기와의 연관 (A Study of Covert Narcissism in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 Relationship to Anonymity, Presence, Interactiv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 최원희;손정우;김영랑;이상익;신철진;김시경;주가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2권2호
    • /
    • pp.103-111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compared covert narcissistic propensity in adolescents with internet addiction tendency to normal adolescents. Further,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uch propensities and anonymity in cyberspace, presence feeling and interactivity in internet gaming,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adolescents with internet addiction tendencies. Methods :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rnet addiction tendencies (Addiction Tendency Group, N=27) and normal students (Control Group, N=29) were recruited. The scale of internet use, Covert Narcissism Scale, scale of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of anonymity in cyberspace, scale of presence feeling in internet games, and the scale of interactivity in internet games were administered. A comparison of the average scores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 1)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Addiction Tendenc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all subscales of the Covert Narcissism Scale, and both the scale of presence feeling and that of interactivity in internet games. Further, the score on the scale of achievement motivation for the Addiction Tendency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2) In the Addiction Tendency Group, the scores on several subscales of the Covert Narcissism Scale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s on the scale of presence feeling in internet games, anonymity in cyberspace, and interactivity in internet games.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the scores of several subscales on the Covert Narcissism Scale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n the scale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n the scale of interactivity in internet games. There were no other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cores on the subscales of the Covert Narcissism Scale and the scores of either presence feeling in internet games or anonymity in cyberspace.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dolescents with a tendency to be addicted to the internet exhibited higher covert narcissistic propensities than normal adolescents and that the c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were related with presence feeling in cyber games as well as with anonymity in cyberspace.

내현적 자기애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the Life Satisfaction)

  • 신주애;조한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78-18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내현적 자기애가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30대 성인 43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였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정서표현 양가성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정서표현 양가성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는 삶의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넷째, 정서표현 양가성은 내현적 자기애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20~30대들의 내현적 자기애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 있어 정서표현 양가성이 주요한 매개적 변수로서의 역할 확인으로 억압해왔던 감정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정서표현의 주요한 역할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20~30대를 대상으로 그들의 사회적 문제 중 한 가지인 삶의 만족도와 그 중에서도 높은 자살률을 보이는 문제의 원인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었다는 점이 이 연구에서 의의로 볼 수 있겠다.

나르시시즘 성향, 패션소셜미디어 이용동기, 정보확산 행동 간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among Narcissism, Usage Motives, and Information Diffusion of Social Media)

  • 김내은;송광석;김미숙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1호
    • /
    • pp.99-110
    • /
    • 201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narcissism, usage motives, usage behaviors, satisfaction with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fashion social media.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o collect data after conducting a pilot test. Based on the reliability test of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used for the pilot test,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The final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38 fashion social media users and 216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se measur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Five factors of the usage motivation of fashion social media were extracted: information-seeking, relationship-seeking, practicality-seeking, enjoyment-seeking and self-expression motives. The statistical analysis confirmed the influence of the narcissism tendency on all of the usage motives of fashion social media, three of the fashion social media usage motives influencing information diffusion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the information diffusion behavior on users'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fashion social media. Narcissism exerted the highest influences on self-expression motive followed by information-seeking, enjoyment-seeking, relationship-seeking and practicality-seeking motives in order. Factors affecting fashion information diffusion behaviors are practicality-seeking motive, self-expression motive, and relationship-seeking motive. The greater the diffusion of informa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using fashion social media. The consumers with higher satisfaction intended to use fashion social media and share information more frequently. Conclusions - The results indicate that narcissism is an important factor in fashion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The main motives for narcissistic people to spread information is for the practical purpose at the most, and then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and style, and to build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satisfaction through active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seems to play a key role to lead high continuance intention of fashion social media. These implies that marketing strategies to satisfy consumers' narcissism and motives to use social media, and to stimulate the information diffusion behaviors can be used to meet their needs for higher satisfaction with fashion social media.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가 조직 침묵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의 이중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Avoidance Motiv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Organizational Silence)

  • 김주현;정우진;정승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1호
    • /
    • pp.67-86
    • /
    • 2021
  • 본 연구는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가 조직 침묵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93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내현적 자기애, 조직 침묵,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동기를 측정 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조직 침묵,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 동기는 정적 상관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각 변수들의 관계에서 모두 적절한 설명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를 매개변수로 하여 매개 모형 검증을 한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내현적 자기애와 조직 침묵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고, 회피 동기는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조직 침묵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 변인 사이에서의 이중매개가 성립함을 확인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예비 창업가의 긍정심리자본과 공적 자의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Nascent Entrepreneu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 최진숙;황금주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7권1호
    • /
    • pp.15-4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p-entrepreneu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as variable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Social Identity Theory and, as factors affect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established Narcissism, Self-compassion and Career ambi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self-affirmation Theory. In order to verify research hypotheses, 358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prep-entrepreneur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narcissism and self-compassion has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 career ambi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public self-consciousness. Thi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the outcome of Mediating effec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self-compassion, career ambi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confirme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p-entrepreneu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i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Self-Disclosures on Facebook: The Two Faces of Narcissism

  • Lee, Jongmin;Lee, Jihye;Song, Young-A;Ahn, Hongmin;Lee, Eunji;Sung, Yong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139-145
    • /
    • 2020
  •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are key factors that affect users' self-disclosure on SN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 personality trait (i.e., narcissism) and three dimensions of self-disclosure behavior on Facebook (i.e., intention, level, and control of self-disclosure). A total of 261 Facebook users completed an online survey. The findings showed that more narcissistic individuals engage in deeper levels of self-disclosure and do so with greater intentionality than previous research indicated. More interestingly, narcissistic users simultaneously tend to control their expressions in public by concealing who they really are.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self-disclosures on Facebook must not investigated by a single dimension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dynamics of it users. In addition, the present research suggested that the narcissism should not be regarded as a predictor which simply gives either a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 on self-disclosing behaviors in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