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Effects of Pathological Narcissism on Dating Violence: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성인 남녀의 병리적 자기애가 데이트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성차를 중심으로

  • 최단비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권호인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23.09.08
  • Accepted : 2023.11.06
  • Published : 2023.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in pathological narcissism and dating violence, and to verify whether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in each variable, further examining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mediating pathway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81 men and women in 20s living across the country, and online self-report surveys was conducted regarding their experiences of pathological narcissism, rejection sensitivity, and four types of dating violence. As a result of verifying gender differences, it was found that women had a higher vulnerability to narcissism, rejection sensitivity and committed more psychological violence, sexual violence, and controlling behavior than men. As a result of the media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rejection sensitivity partial mediated the effect of pathological narcissism on psychological violence and control behavior, but it showed a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sexual violence. An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between pathological narcissism and physical violence.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n this mediating pathway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was verified in the effect of naricissistic grandiosity and narcissistic vulnerability on control behavior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These results show that pathological narcissism promotes psychological and sexual violence in both men and women, and rejection sensitivity acts as a mediator in this process. In addition, the effect of pathological narcissism on the control behaviors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than in men, indicating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the mediated pathway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남녀의 병리적 자기애와 데이트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 각 변인에 있어서 성차가 있는지, 매개 경로를 성별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20대 성인남녀 381명을 모집하여 병리적 자기애, 거부민감성, 네 가지 유형의 데이트폭력 가해 경험에 대한 온라인 자기보고 설문을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여성은 남성에 비해 자기애적 취약성과 거부민감성 수준이 높고 심리적 폭력, 성적 폭력, 통제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분석 결과 병리적 자기애가 심리적 폭력,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으나, 성적 폭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완전매개 효과를 보였다. 반면 병리적 자기애와 신체적폭력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이 매개 경로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측정한 결과 자기애적 웅대성과 자기애적 취약성이 거부민감성을 매개로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남녀 모두 병리적 자기애가 심리적 폭력, 성적 폭력을 촉진하며 이 과정에서 거부민감성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병리적 자기애가 거부민감성을 통해 통제행동 가해에 미치는 영향이 남성보다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아 매개 경로에 성차가 있음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찰청 (2021). 치안전망 2022. 서울: 치안정책연구소. https://psi.police.ac.kr/police/board/view.do?bbsId=BBSMSTR_000000000159&menuNo=116001000000&nttId=158752 
  2. 공지혜, 하정희 (2021).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경험회피의 관계: 내현적 자기애와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22(2), 207-229.  https://doi.org/10.15703/KJC.22.2.202104.207
  3. 김나은, 박지선 (2021). 성별에 따른 자기애가 데이트 성폭력에 미치는 영향: 양가적 성차별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법, 12(3), 279-300.  https://doi.org/10.53302/KFJP.2021.11.12.3.279
  4. 김다은 (2020). 대학생의 거부민감성, 자기침묵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루터대학교 루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선혜 (2019). 성인의 거부민감성과 데이트폭력의 관계: 분노억제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시원, 박경 (2012).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폭력 가해와의 관계: 역기능적 분노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9(10), 121-141. 
  7. 김예정, 김득성 (1999). 데이팅 관계에서 폭력집단의 특성과 신체적 폭력 발생의 맥락.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187-211. 
  8. 김정남 (2015).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자살사고와의 관계: 자기비난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연구, 22(3), 77-96. 
  9. 김정란, 김경신 (1999). 대학생이 이성교제 중 폭력과 대처행동. 대한가정학회지, 37(8), 73-90. 
  10. 남귀숙, 이수진 (2020).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와의 관계: 분노 표현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7(1), 87-107. 
  11. 박명진, 양난미 (2017). 대학생 거부민감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1), 103-127. 
  12. 박우람, 홍상황 (2014).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내현적 자기애와의 종단적 인과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3), 455-477. 
  13. 배재은 (2016). 미혼남녀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데이트 폭력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백승혜, 현명호 (2008).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적대감, 분노 경험수준 및 분노 표현양식.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4), 1001-1017.  https://doi.org/10.15842/kjcp.2008.27.4.013
  15. 변은실, 이주영 (2016). 정서적 학대가 아동의 외현적 및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4), 1125-1149. 
  16. 서경현 (2008). 공격적 데이트 폭력 피해여성의 분노 및 분노표현, 정신병적 경향성, 중독성과 대처방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2), 21-39. 
  17. 서경현, 김봉진, 정구철, 김신섭 (2001). 대학생들의 연애 폭력과 예측변인. 대학여성건강학회지, 2(1), 75-97. 
  18. 서경현, 김유정, 정구철, 양승애, 김보연 (2010). 데이트폭력에 대한 가부장/비대칭 패러다임과 성-포괄적 모델의 타당성 제고.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 781-799. 
  19. 손연우, 권호인 (2018).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파트너 통제가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3(3), 549-566. 
  20. 신지연, 최수미 (2017). 거부민감성, 비대칭 패러다임이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4), 533-549. 
  21. 안지은 (2022). 집착성향과 데이트 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데이트 폭력 인식의 조절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양승애, 서경현 (2014). 집착 성향과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 경계선 성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10), 315-336. 
  23. 양진원 (2012). 병리적 자기애 성향자의 웅대성과 취약성에 따른 정서적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양진원, 권석만 (2016). 병리적 자기애 성향자의 웅대성과 취약성에 따른 정서적 특성.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5(1), 215-242.  https://doi.org/10.15842/kjcp.2016.35.1.011
  25. 원선호, 배성만(2020).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역기능적 분노의 매개역할과 인지적 공감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5(3), 549-567. 
  26. 이경숙 (2019). 외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다정 (2020). 성별에 따른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선민 (2020). 남녀 대학생의 취약성 자기애와 특성분노의 관계.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숙정, 권호인 (2021). 남녀의 가해동기와 폭력 정당화가데이트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APIM)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7(4), 391-410.  https://doi.org/10.20406/KJCS.2021.11.27.4.391
  30. 이아람 (2018). 미혼남녀의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폭력 가해의 관계: 부정적 자동사고와 집착행동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영돈 (2018). 데이트폭력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 연구. 경찰법연구, 16(1), 151-178.  https://doi.org/10.22826/JPL.2018.16.1.151
  32. 이재란, 정근선 (2020). 국내 데이트 폭력 가해 연구 동향 분석. 교정담론, 14(1), 211-241. 
  33. 이준득 (2005). 내현적․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분노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장정윤, 강지현 (2017). 대학생의 대상관계수준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집착행동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8(1), 307-327.  https://doi.org/10.15703/KJC.18.1.201702.307
  35. 정윤경 (2008). 남편의 정서적 폭력과 아내의 우울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조은영, 곽은희 (2012). 실패 피드백 이후 내현적.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분노와 분노표현 양식. 재활심리연구, 19(3), 583-599. 
  37. 최상은 (2021). 성인 남녀의 병리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경험이 데이트 폭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최윤경 (2012). 여대생의 가정폭력경험이 데이트 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하예지, 서미경 (2014). 데이트 폭력 인식과 폭력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0(4), 79-103.  https://doi.org/10.16935/EJSS.2014.30.2.004
  40. 한수정, 권석만 (2010). 자기애자의 자기관련 정보에 대한 지각적 민감성.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9(4), 1135-1143.  https://doi.org/10.15842/kjcp.2010.29.4.012
  41. 홍세은, 정지수 (2019). 아동기 학대 피해 경험이 데이트 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폭력허용도와 충동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형사정책연구, 30(4), 69-104. 
  42. 홍영오 (2017). 성인의 데이트폭력 가해요인. 형사정책연구, 28(2), 321-353. 
  43. 홍영오, 연성진, 주승희 (2015). 여성 대상 폭력에 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491. 
  44. 홍주연, 조성원, Brannon, L. (2012). 젠더심리학: 여성과 남성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한티미디어. 
  45. 홍태경 (2018). 대학생들의 데이트폭력 가해실태와 가해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15(2), 491-520.  https://doi.org/10.25023/KAPSA.15.2.201808.491
  46. 황정현 (2022). 대학생의 성별, 성인애착, 학년에 따른 거부민감성, 자기자비, 관계중독의 차이.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Aguilar, R. J., & Nightingale, N. N. (1994). The impact of specific battering experiences on the self-esteem of abused women. Journal of Family Violence, 9(1), 35-45. 
  48. Akhtar, S. (2003). New clinical realms: Pushing the envelope of theory and technique. Jason Aronson.
  49. Archer, J. (2000). Sex differences in aggression between heterosexual partners: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26(5), 651-680.  https://doi.org/10.1037/0033-2909.126.5.651
  50. Ayduk, O., Denton, R., Mischel, W., Downey, G., Peake, P. K., & Rodriguez, M. (2000). Regulating the interpersonal self: strategic self-regulation for coping with rejection sensitiv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5), 776-792.  https://doi.org/10.1037/0022-3514.79.5.776
  51. Ayduk, O., May, D., Downey, G., & Higgins, E. T. (2003). Tactical differences in coping with rejection sensitivity: The role of prevention prid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9(4), 435-448.  https://doi.org/10.1177/0146167202250911
  52. Blinkhorn, V., Lyons, M., & Almond, L. (2016). Drop the bad attitude! Narcissism predicts acceptance of violent behaviou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98, 157-161.  https://doi.org/10.1016/j.paid.2016.04.025
  53. Campbell, W. K., & Miller, J. D. (2011). The handbook of narcissism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John Wiley & Sons. 
  54. Carton, H., & Egan, V. (2017). The dark triad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05(15), 84-88.  https://doi.org/10.1016/j.paid.2016.09.040
  55. Cyranowski, J. M., Frank, E., Young, E., & Shear, K. (2000). Adolescent onset of gender differences in lifetime rates of major depression. A theoretical model.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7(1), 21-27.  https://doi.org/10.1001/archpsyc.57.1.21
  56. Dickinson, K. A., & Pincus, A. L. (2003). Interpersonal analysis of grandiose and vulnerable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 17(3), 188-207. 
  57. Downey, G., & Feldman, S. I. (1996). Implications of rejection sensitivity for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6), 1327-1343.  https://doi.org/10.1037/0022-3514.70.6.1327
  58. Downey, G., Feldman, S., & Ayduk, O. (2000).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e violence in romantic relationships. Personal Relationships, 7(1), 45-61.  https://doi.org/10.1111/j.1475-6811.2000.tb00003.x
  59. Downey, G., Mougios, V., Ayduk, O., London, B. E., & Shoda, Y. (2004).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defensive motivational system: Insights from the startle response to rejection cues. Psychological Science, 15(10), 668-673.  https://doi.org/10.1111/j.0956-7976.2004.00738.x
  60. Dye, M. L., & Eckhardt, C. I. (2000). Anger, irrational beliefs, and dysfunctional attitudes in violent dating relationships. Violence Victims, 15(3), 337-350.  https://doi.org/10.1891/0886-6708.15.3.337
  61. Ehrensaft, M. K., & Vivian, D. (1999). Is partner aggression related to appraisals of coercive control by a partner?. Journal of Family Violence, 14(3), 251-266. 
  62.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2nd ed). Norton & Company. 
  63. Farwell, L., & Wohlwend-Lloyd, R. (1998). Narcissistic processes: Optimistic expectations, favorable self-evaluations, and self-enhancing attributions. Journal of Personality, 66(1), 65-83.  https://doi.org/10.1111/1467-6494.00003
  64. Feldman, S., & Downey, G. (1994). Rejection sensitivity as a mediator of the impact of childhood exposure to family violence on adult attachment behavior.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6(1), 231-247.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5976
  65. Foo, L., & Margolin, G. (1995). A multivariate investigation of dating aggression. Journal of Family Violence, 10(4), 351-377.  https://doi.org/10.1007/BF02110711
  66. Fourie, D. P. (2010). Narcissistic Behaviour and the Successful Conservation of Ambivalence. Psychological Reports, 106(1), 217-230.  https://doi.org/10.2466/PR0.106.1.217-230
  67. Green, A., MacLean, R., & Charles, K. (2020). Unmasking gender differences in narcissism within intimate partner viole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67(1), 110-247. 
  68. Greenberg, L. S., & Paivio, S. C. (2003). Working with emotions in psychotherapy (Vol. 13). Guilford Press. 
  69. Kahya, Y. (2021). Intimate partner violence victimization and perpetration in a Turkish female sample: Rejection sensitivity and hostility.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36(7-8), 4389-4412.  https://doi.org/10.1177/0886260518786499
  70. Kohut, H. (2009). The restoration of the self. University of Chicago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77). 
  71. Leary, M. R., Twenge, J. M., & Quinlivan, E. (2006). Interpersonal rejection as a determinant of anger and aggress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0(2), 111-132.  https://doi.org/10.1207/s15327957pspr1002_2
  72. Levy, S. R., Ayduk, O., & Downey, G. (2001). The role of rejection sensitivity in people's relationships with significant others and valued social groups. Interpersonal Rejection, 10, 251-289. 
  73. Morf, C. C., & Rhodewalt, F. (1993). Narcissism and self-evaluation maintenance: Explorations in object relation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9(6), 668-676.  https://doi.org/10.1177/0146167293196001
  74. Morf, C. C., & Rhodewalt, F. (2001). Expanding the dynamic self-regulatory processing model of narcissism: Research directions for the future. Psychological Inquiry, 12(4), 243-251.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204_3
  75. Neufeld, J., Mcnamara, J. R., & Ertl, M. (1999). Incidence and prevalence of dating partner abuse and its relationship to dating practice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4(2), 125-137.  https://doi.org/10.1177/088626099014002002
  76. O'Keefe, M. (1997). Predictors of dating violence among high student.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2(4), 546-568.  https://doi.org/10.1177/088626097012004005
  77. O'Leary, J. & Wright, F. (1986). Shame and Gender Issues in Pathological Narcissism. Psychoanalysis Psychology, 3(4), 327-339.  https://doi.org/10.1037/h0079120
  78. Pincus, A. L., & Lukowitsky, M. R. (2010). Pathological narcissism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6, 421-446. 
  79. Pincus, A. L., Ansell, E. B., Pimentel, C. A., Cain, N. M., Wright, A. G., & Levy, K. N. (2009). Initial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 Psychological Assessment, 21(3), 365-379.  https://doi.org/10.1037/a0016530
  80. Pincus, A. L., Cain, N. M., & Wright, A. G. (2014). Narcissistic grandiosity and narcissistic vulnerability in psychotherapy. Personality Disorders: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5(4), 439-443.  https://doi.org/10.1037/per0000031
  81. Roscoe, B., & Benaske, N. (1985). Courtship violence experienced by abused wives. Family Relations, 34(3), 419-424. 
  82. Stead, L., Brewer, G., Gardner, K., & Khan, R. (2022). Sexual coercion perpetration and victimisation in females: The influence of borderline and histrionic personality traits, rejection sensitivity, and love styles. Journal of Sexual Aggression, 28(1), 15-27.  https://doi.org/10.1080/13552600.2021.1909156
  83. Stets, J. E. (1992). Interactive processes in dating aggression: A national stud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4(1), 165-177.  https://doi.org/10.2307/353284
  84. Straus, M. A., Hamby, S. L., McCoy, B. S., & Sugarman, D. B. (1996).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s 2 (CTS2) development and preliminary psychometric data. Journal of Family Issues, 17(3), 283-316. https://doi.org/10.1177/019251396017003001
  85. Street, A. E., & Arias, I. (2001). Psychological abuse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battered women: Examining the roles of shame and guilt. Violence and Victims, 16(1), 65-78.  https://doi.org/10.1891/0886-6708.16.1.65
  86. Twenge, J. M., & Campbell, W. K. (2003). "Isn't it fun to get the respect that we're going to deserve?" Narcissism, social rejection, and aggress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9(2), 261-272.  https://doi.org/10.1177/0146167202239051
  87. Wardetzki, B. (2006). 여자의 심리학: 자신감과 열등감 사이에서 방황하는 당신을 위한 심리분석[Weiblicher Narzissmus: der Hunger nach Anerkennung] (강희진 역). 북폴리오. (원전은 2000에 출판). 
  88. Warkentin, J. B. (2008). Dating violence and sexual assault among college men: Co-occurrence, predictors, and differentiating factors. Ohio University. 
  8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Preventing intimate partner and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Taking action and generating evidence. World Health Organization. 
  90. Wright, A. G. C., Lukowitsky, M. R., Pincus, A. L., & Conroy, D. E. (2010). The higher-order factor structure and gender invariance of the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 Assessment, 17(4), 467-483.  https://doi.org/10.1177/1073191110373227
  91. Zeigler-Hill, V., & Wallace, M. T. (2012). Self-esteem instability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Self and Identity, 11(3), 317-342. https://doi.org/10.1080/15298868.2011.567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