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lidixic acid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9초

위점막 생검 조직에서 분리된 Campylobacter pylori의 성장을 위한 배지 첨가물 및 대기조건 (Medium Supplementation and Atmospheric Condition for Growth of Campylobacter pylori isolated from gastric biopsy tissue)

  • 전창호;배은경;김경동;홍석일;김정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2호
    • /
    • pp.59-64
    • /
    • 1987
  • 저자들은 C. pylori의 분리를 위한 이상적인 배지 첨가제들 결정하기 위하여 위염환자의 위점막 생검 조직에서 분리 동정한 C. pylori 두 균주를 vancomycin 6mg/L, nalidixic acid 20mg/L 및 amphotercin 2mg/L를 함유한 GC 한천 배지, Mueller-Hinton 한천 배지 및 Tryptic soy 한천 배지에 1% 혈색소, 1% 마혈청 및 0.2% 활성 단말을 조합하여 첨가한 배지들에 접종하여 과습상태의 약호기성 대기와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각각 배양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Tryptic soy 한천 배지는 GC 한천 배지나 Mueller-Hinton 한천 배지보다 C. pylori 증균 배양에 적합하지 못하였다. GC 한천 배지에 혈색소만 첨가하여도 Campy 배지와 유사한 성장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산화탄소 배양기는 약호기성 대기 상태보다 C. pylori의 증균 배양에 적합하지 못하지만 GC한천 배지에 혈색소와 활성탄말을 함께 첨가하변 혐기성 단지가 없는 검사실에서도 C. pylori를 배양할 수 있다. C. pylori의 증균 배양에 이상적인 배지로는 항생제와 혈색소 및 활성탄말을 함유한 GC 한천 배지이며 배양의 대기 조건은 $37^{\circ}C$ 과습 상태의 약호기성 대기상태라고 사료된다.

  • PDF

최근 5년간 인천지역 설사환자에서 분리한 Salmonella Enteritidis와 Salmonella Typhimurium의 항생제 내성 양상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Salmonella Enteritidis and Salmonella Typhimurium Isolated from Diarrhea Patients in Incheon between 2008 and 2012)

  • 장재선;이제만;공용우;이미연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39-246
    • /
    • 2013
  • Objectives: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multidrug resistance patterns have been studied with a total of 189 samples of Salmonella Enteritidis and Salmonella Typhimurium isolated from diarrhea patients in Incheon from 2008 to 2012. Methods: Antimicrobial resistance tests were determined by Disc Diffusion method. Results: The serological distribution of Salmonella spp. showed 108 strains (30.1%) of S. Enteritidis, 81 strains (22.6%) of S. Typhimirium, eight strains (8.0%) of S. Typhi, 11 strains ( 3.1% ) of S. Paratyphi, and the 151 other strains (42.1%). The separation rate of Salmonella spp. by year showed 14.5% (52 strains) in 2008, 13.6% (49 strains) in 2009, 22.8% (82 strains) in 2010, 25.3% (91 strains) in 2011, and 23.7% (85 strains) in 2012. Additionally, the separation rate of S. Enteritidis and S. Typhimirium in 2010 was the highest. The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diarrhea pati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p<0.05), gender (p<0.01) and medical institution (p<0.05). The highest resistance was found to the following antimicrobial agents: imipenem 77 strains, ampicillin 47 strains, ciprofloxacin 34 strains, nalidixic acid 29 strains for S. Enteritidis, and ampicillin 45 strains, nalidixic acid 45 strains for S. Typhimurium. Separated S. Enteritidis and S. Typhimurium resistance to the antibiotics by the yea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The patterns of multidrug resistance rates were 43.1% (47 strains) for one drug, 8.3% (9 strains) for two drugs, 11.0% (12 strains) for three drugs, 15.62% (17 strains) for four drugs, and 13.7% (15 strains) for five or more drugs for S. Enteritidis. For S. Tyhpimurium, the rates were 15.0% (12 strains) for one drug, 10.0% (8 strains) for two drugs, 6.3% (five strains) for three drugs, 18.7% (15 strains) for four drugs, and 23.8% (19 strains) for five or more drugs. Conclusion: The antibiotic resistance issue is directly related to people's lives. Thus, the usage of antibiotics should be reduced in order to manage antibiotic resistance.

Bradyrhizobium japonicum에 외부유전자(外部遺傳子)의 도입(導入)과 대두(大豆)에 대한 접종효과 (Transfer of foreign Genes into the Bradyrhizobium japonicum and their Inoculation Effects on Soybean Plants)

  • 김용웅;김길용;이영환;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87-393
    • /
    • 1992
  • 접종근류균(接種根瘤菌)의 소장(消長)을 유전공학적(遺傳工學的)으로 조제(調劑)한 Bradyrhizobium japonicum RJB6 $str^rnal^rneo^r$을 이용(利用)하여 연구(硏究)하였다. 전남(全南)일대로 부터 분리(分離) 동정한 균(菌)에 먼저 streptomycin과 nalidixic acid에 저항성(抵抗性)을 갖는 spontaneous mutant를 유도하고 이어 pSUP2021를 함유(含有)하고 있는 E. coli와 conjugation하여 neomycin 저항성(抵抗性) gene(Tn5)을 도입(導入)하였다. Southern hybridization한 결과(結果) 4.9kb상에서 Tn5를 확인(確認)했다. 서로 다른 균밀도(菌密度)로 파종(播種)한 40일후, 크로로필을 제외한 근류수(根瘤數), 근류신선중(根瘤新鮮重), 간장 및 질소함량이 low cell suspension 처리구보다 heavy cell suspension 처리구에서 약간 높았다. 표식균주(標識菌株)의 회수율(回收率)은 heavy cell suspension 처리구에서 12%인 반면, low cell suspension 처리구에서는 5%에 지나지 않았다.

  • PDF

식품에서 분리한 Yersinia enterocolitica의 특성조사 (Characteristics of Yersinia enterocolitica Isolated from Foods)

  • 임순영;이동하;박선희;박영식;윤석권;김창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3-188
    • /
    • 1999
  • 국내 식육중 Y. enterocolitica의 분포 조사 및 분리균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4월부터 11월사이에 상, 하반기로 나누어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463건을 서울, 대전, 광주, 부산에서 구입하여 실험하였다. 전체 식육중 17.5% (81건)에서 Y. enterocolitica가 분리되었으며 닭고기(26.0%)가 가장 많이 오염되어 있었다. 분리율은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하반기에 수거한 돼지고기와 닭고기에서 상반기보다 2배이상 높은 균 분리율을 보였다. 항생제 감수성 실험결과 대부분의 분리균은 carbenicillin, ampicillin, erythromycin, penicillin, bacitracin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는 반면 polymyxin B, kanamyc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ciprofloxacin, tetracycline, nalidixic acid, gentamicin등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분리된 Y. enterocolitica의 혈청형은 serotype O:5가 주종이었고 일본 및 유럽 등지에서 많이 분리되어지는 O:9는 분리되지 않았다. PCR 실험결과 81개의 분리균주중 8균주(10%)가 병원성을 갖고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그 중 6균주가 돼지고기에서 발견되었다. 그리고 돼지고기 분리균주중 병원성이 없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serotype O:5가 PCR 양성반응으로 병원성을 보여 이전 연구들과 상반된 결과를 나타낸 것에 대해서는 더 연구해야할 과제로 남아 있다.

  • PDF

한국(韓國)의 환자(患者) 및 건강인(健康人)에서 분리(分離)한 E.coli의 약제내성(藥劑耐性) 및 R Plasmids (Drug Resistance and R Plasmids of Escherichia coli in Patients and Healthy Individuals in Korea)

  • 설성용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18
    • /
    • 1977
  • 항균제(抗菌劑)로 치료(治療)한 환자(患者)와 항균제(抗菌劑)를 투여(投與)받지 않은 의사(醫師) 및 학생군(學生群)으로부터 총(總) 665주(株)의 E. coli를 분리(分離)하여 약제내성(藥劑耐性) 및 R Plasmid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했다. 분리주(分離株)의 약(約) 25-41%가 chloramphenicol, tetracycline, streptomycin sulfisomidine 및 ampicillin(AP)에 내성(耐性)이었고 9.5%가 kanamycin에 내성(耐性)이었으며 nalidixic acid에 내성(耐性)인 균주(菌株)는 극히 드물었다. 내성주(耐性株)는 의사(醫師) 및 학생군(學生群)에서보다 환자군(患者群)에서 월등(越等)히 높았다. 4 또는 그 이상(以上)의 약제(藥劑)에 내성(耐性)인 다제내성주(多劑耐性株)는 의사(醫師) 및 학생군(學生群)보다 환자군(患者群) 분리주(分離株)에서 월등(越等)히 많은 반면 3제(劑) 또는 그 이상(以上)의 약제(藥劑)에 내성(耐性)인 균주(菌株)의 빈도(頻度)는 3군(群) 분리주(分離株) 사이에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4제(劑) 또는 그 이상(以上)의 약제(藥劑)에 내성(耐性)인 균주(菌株)를 보유(保有)하고 있는 사람은 의사(醫師) 및 학생군(學生群)보다 환자군(患者群)에서 그 빈도(頻度)가 높았다. 거의 대부분(大部分)의 약제(藥劑) 내성주(耐性株)는 모든 내성(耐性) 특히 AP 내성(耐性)을 접합(接合)에 의하여 약제감수성(藥劑感受性)인 E. coli에 전달(傳達)했다. 다제내성(多劑耐性)을 가지는 균주(菌株)는 그 근원(根源)에 관계(關係)없이 더 높은 빈도(頻度)로 약제내성(藥劑耐性)을 전달(傳達)하는 경향(傾向)이 있었다.

  • PDF

경기인천 연안에서 분리된 장염비브리오균의 항생제 내성 및 플라스미드 보유 현황 (Antibiotic Resistance and Plasmid Profile of Vibrio parahaemolyticus Strains Isolated from Kyunggi-Incheon Coastal Area)

  • 한아름;윤영준;김정완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2-28
    • /
    • 2012
  • 장염비브리오는 우리나라에서 하절기에 발생하는 식중독의 주요 원인균으로 주로 해수 및 어패류를 통해 인체에 감염된다. 최근 지구 온난화로 해수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해양환경 중 세균들의 분포도가 증가하고 또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보이는 병원균들이 확산되고 있어 국민보건 및 수산양식 등의 분야에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 인천지역 7곳에서 해수 및 어패류 시료를 채취하여 장염비브리오균의 분포도를 모니터링하고 이들의 항생제 내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총 966건의 시료를 $CHROMagar^{TM}$ 및 TCBS 평판배지와 multiplex PCR기법으로 동정했을 때 전체 해수 시료의 61.9%, 어패류 시료의 41.8% 등 총 47.7%의 시료에서 장염비브리오균이 검출되었다. 이들 분리균주들의 항생제 내성을 13종의 항생제에 대해 분석한 결과 97.3%와 87.3%가 각각 vancomycin과 ampicillin에 대해 내성을 보였고 cephalothin (48.8%)과 rifampin (46.1%)에 대한 내성비율도 기타 다른 항생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균주들의 항생제 감수성은 chloramphenicol (91.7%)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91.8%)에 대해 가장 높았고, gentamycin (82.3%), tobramycin (74.8%), nalidixic acid (71.6%), tetracyclin (69.4%), cefotaxime (63.0%) 등의 순서로 감수성 비율이 높았다. 분리균주들의 약 69%가 vancomycin과 ampicillin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항생제에 대해 다중내성을 보였고 특히 11개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보이는 균주도 2개 검색되었다. 항생제 내성 장염비브리오 분리균주들의 플라스미드 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55.1%가 플라스미드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총 2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나 플라스미드 프로파일과 항생제 내성 간의 뚜렷한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시판 어패류에서 분리한 장염 비브리오균의 항생제 감수성 특성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Commercial Marine Products)

  • 류승희;황영옥;박석기;이영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08-513
    • /
    • 2010
  •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간 시판 수산물 2,239건에서 분리한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어류 789건을 검사하여 42주(5.3%)의 V. parahaemolyticus가 분리 동정되었으며, 패류 735건 중 27건(3.7%), 연체류 387건 중 12건(3.1%), 기타 수산물 328건 중 12건(3.7%), 총 93건(4.2%)에서 V. parahaemolyticus가 분리 동정되었다. 내성률이 높은 항생제는 ampicillin 93.5%, cephalothin 90.3%, streptomycin 87.1%, ticarcillin 55.9%, 그리고 amikacin 40.9%이었으며, 감수성률이 높은 항생제는 nalidixic acid, chloramphenicol 및 ampicillin/sulbactam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98.9%, gentamicin 및 tetracycline 82.8%, ceftriaxone 63.4%이었다. 중등도 내성률은 kanamycin 79.6%, ciprofloxacin 64.5%, amikacin 47.3%, cefoxitin 43.0%순이었다. 항생제 내성양상은 3제 내성이 37.6%, 4제 내성 24.7%, 5제 내성 17.2%, 6제 내성 11.8%, 2제 내성6.5%, 7제 내성 2.2% 순이었으며, 가장 많은 내성 양상은 AM-CF-S의 3제 내성(22.6%), AM-CF-S-TIC 4제 내성(18.3%), AM-AN-CF-S-TIC 5제 내성(9.7%) 순이었다.

다양한 유산균이 존재하는 발효식품으로 부터 Bifidobacteria의 선별 및 계수 (Selection and Enumeration of Bifidobacteria in Fermented Foods with Various Lactic Bacteria)

  • 이시경;박동기;오훈일;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51-756
    • /
    • 1999
  • Bifidobacteria를 다양한 유산균이 함께 공존하는 발효식품에 첨가시 이들을 분리할 수 있는 선택배지를 제조하기 위해 다양한 항생제의 생육저해 효과를 조사하였다. Gentamycin과 ripampicin은 $100\;{\mu}g/mL$의 농도에서 일반 유산균의 생육을 심하게 억제하였으나, bifidobacteria의 생육은 억제하지 않았다. ampicillin은 $50\;{\mu}g/mL$의 농도에서 일반 유산균은 거의 생육하지 못하였으나, bifidobacteria의 생육도 억제되었다. fosfomycin은 $100\;{\mu}g/mL$이상의 농도에서 일반 유산균보다 bifidobacteria의 생육이 더 억제되었다. Neomycin $80\;{\mu}g/mL$, gentamycin $50\;{\mu}g/mL$, ripampicin $50\;{\mu}g/mL$, nalidixic acid $15\;{\mu}g/mL$, $LiCl_2$ $3\;{\mu}g/mL$의 항생제가 함유된 MRS배지를 이용하였을 때 김치나 치즈에 존재하는 다양한 유산균의 생육을 억제시키지만 bifidobacteria의 생육을 억제시키지 않아 이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었다.

  • PDF

개 자궁축농증에서의 원인균 분리 및 항생제 감수성 검사 (Identific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bacteria from the uterus of bitches with pyometra)

  • 이소현;조종기;신나리;김혜수;용환율;이강남;유한상;이병천;황우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763-767
    • /
    • 2000
  • 본 연구는 1998년부터 1999년까지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에 내원한 개중 자 궁축농중으로 진단된 개의 자궁내용물로부터 균을 분리, 동정하고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여 개 자궁축농증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위 병원에 내원하여 자궁축농증으로 진단된 개는 16두였으며, 이들로부터 자궁적출술을 이용하여 자궁을 적출한 후 원인균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균에 대하여 15종의 항균제에 대하여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16두의 개로부터 분리된 균은 Escherichia coli 11주, Serratia marcescens 2주, Staphylococcus aureus 및 Salmonella spp 각 l주 씩 이었다. 이들 균주들에 대하여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균주들이 enrofloxacin, norfloxacin, chloramphenicol, nalidixic acid, gentamicin, Trimethprim-sulfamethazole, tetracycline에 대하여는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carbenicillin, amikacin, ampicillin, neomycin에 대하여는 중등도의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나, vancomycin, streptomycin, bacitracin, colistin에 대하여는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 PDF

대구지방에서 분리된 Shigella의 양상과 항균제 내성 (Prevalence and Drug Resistance of Shigella in Taegu Area of Korea)

  • 전도기;박종욱;서성일;조동택;설성용;이유철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61-471
    • /
    • 1986
  • 1973년부터 1985년 사이에 대구지방에서 분리된 Shigella는 약 1,200주였는데, 대부분이 Shigella flexneri였고, S. sonnei는 약 20%였으며, S. dysenteriae와 S. boydii는 극히 적었다. 분리균의 95%이상이 chloramphenicol(Cm), tetracycline(Tc), streptomycin(Sm), sulfisomidine(Su), ampicillin(Ap), trimethoprim(Tf) 등의 전부 또는 일부 약제에 내성이었으며, kanamycin, nalidixic acid(Na)와 rifampin(Rf)에 내성인 균주는 소수 있었으나, cephaloridine, gentamicin, amikacin 등에 내성인 균주는 없었다. 1973년에 분리된 균은 약 절반이 약제내성이었으나, 1977년 이후 분리된 균은 95% 이상이 약제내성이었다. 1977년 까지는 Cm, Tc, Sm 및 Su의 4제 내성균이 가장 많았으나 1978년 부터는 Cm, Tc, Sm, Su, Ap 및 Tp의 6제 내성균이 가장 많았다. 약 75%의 균이 그 약제내성을 접합에 의하여 Escherichia coli에 전달하였으므로 이 약제내성은 R plasmid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대다수의 균에 있어서 약제내성 전부를 E. coli에 전달하였으나, Na와 Rf의 내성은 전달되지 않았다. 일부 균주의 약제내성은 E. coli에 전달될 때 분리되는 일이 있었으나, 그 수는 극히 적었다. Shigella의 R Plasmid는 대부분이 비적합성군(incompatibility group) F II에 분류되었으나, 극소수는 B군에 속하였고 군별이 안되는 것도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