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butyl acrylate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초

3급 아민 함유 아크릴수지 도료 개발 및 물성 (Development and Physical Properties of Acrylic Resin Coatings Containing Tertiary Amine)

  • 김진욱;이동찬;최중소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5호
    • /
    • pp.579-58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3종류의 아크릴 단량체 n-butyl acrylate (BA), methyl methacrylate (MMA), n-butyl methacrylate (BMA)와 3급 아민을 함유하는 2종류의 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DMAEMA)와 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DEAEMA)를 이용하여 라디칼중합에 의하여 3급 아민 함유 아크릴수지를 합성하여 이를 새로운 도료를 개발하는데 사용하였다. 또한 개발된 도료를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제로는 에폭시기를 포함한 ${\gamma}$-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GPTMS) 이나 ${\gamma}$-glycidoxypropyl triethoxysilane (GPTES)을 사용하였다. 합성된 3급 아민을 포함한 아크릴수지를 기본으로 백색도료를 제조한 후, 경화제로 경화시켜 각각의 도막에 대하여 물성을 측정하고 고찰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3급 아민 함유 아크릴수지 도료는 건조환경에서 접착력에서 다양한 소재에서 모두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내후성 또한 우수한 결과로 나타났다.

시릴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수지의 합성과 고내후성 도료로서의 거동 (Synthesis and Behavior of Silyl Group-Containing Acrylic Resins as Weather Resistant Coatings)

  • 양인모;김성길;우종표;김명수;박홍수
    • 폴리머
    • /
    • 제25권3호
    • /
    • pp.349-358
    • /
    • 2001
  • 고내후성 시릴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수지 도료를 제조할 목적으로, 먼저 아크릴수지를 단량체 n-butyl 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 n-butyl acrylate 및 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MPTS)을 사용하여 이들을 부가중합시켜 얻었다. 아크릴 공중합체의$T_g$$20^{\circ}C$로 조정하면서 MPTS 함량을 10, 20, 30wt%로 변화시켜 합성하였다. 아크릴수지 합성에서 실리콘 성분인 MPTS 양이 많아질수록 점성도가 저하되었으며, 고온에서의 열적 안정성은 향상되었다. 한편 합성된 아크릴수지를 백색안료와 블렌드하여 도료를 제조한 후 도막물성을 시험한 결과, 여러 가지 피도물에 대하여 우수한 접착력을 보였고 기타의 물성들도 대체로 좋게 나타났다. 내후성 시험은 옥외폭로시험, WOM 및 QUV의 3종류로 하였는데, 각종 측정 수치로 보아 MPTS 함량 30wt%인 아크릴수지 도료는 고내후성 도료임이 확인되었다.

  • PDF

하이솔리드 아크릴/폴리이소시아네이트 도료의 제조와 도막 특성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igh Solids Acrylic/Polyisocyanate Coatings)

  • 김대원;황규현;정충호;우종표;박홍수
    • 폴리머
    • /
    • 제24권4호
    • /
    • pp.520-528
    • /
    • 2000
  • 본 연구는 고형분 70%인 하이솔리드 아크릴 수지 (BMHA)를 합성하여, 환경친화성 도료인 하이솔리드 아크릴/폴리이소시아네이트 도료(BNHS)에 적용하고 그의 도막특성을 살펴본 것에 그 의의가 있다. BMHA는 새로운 형의 단량체로서 acetoacetoxyethyl methacrylate (AAEM)을 도입하고 여기에 n-but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및 2-hydroxyethyl acrylate를 4원공중합시켜 얻었다. BMHA 합성에 있어서 T$_{g}$ 값이 낮을수록, AAEM의 양이 많을수록 각각 높은 전환율을 나타내었고, T$_{g}$값 고정하의 OH 값 변화에 따른 전환율은 큰 차이가 없었다. BMHA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상온경화시켜 하이솔리드 BNHS 도료를 제조하고서 자동차 상도용 도료로서의 적합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도막물성 시험을 한 결과, BNHS내에 AAEM 도입 전후의 도막물성 비교시험에서 AAEM 도입후에 내마모성과 내용제성이 향상됨으로써 자동차 상도용 도료로서의 응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다.

  • PDF

Organic/Organic Core-Shell 아크릴 접착바인더의 플라즈마 처리영향 (II) (Plasma Treatment Effect of Organic/Organic Core-Shell Acrylic Adhesive Binder (II))

  • 설수덕
    • 폴리머
    • /
    • 제34권2호
    • /
    • pp.89-96
    • /
    • 2010
  • Methyl methacrylate(MMA), ethyl acrylate(EA), n-butyl acrylate(BA), styrene(St) 단량체를 수용성 개시제인 ammonium persulfate(APS)와 음이온 유화제인 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SDBS)를 사용하여 organic/organic core-shell 구조의 접착바인더를 중합 후 부직포와 피혁에 함침시키고 플라즈마 표면 처리 후 속도론적인 해석과 기계적인 물성을 평가하였다. Core-shell 바인더 중합시 전환율은 단량체의 조성이 등몰에서 MMA/EA, MMA/BA core-shell 복합입자 모두 90% 이상이 되었다. 등몰에서 부직포/부직포에 core-shell 복합입자를 함침시키고 플라즈마 처리 후의 상태접착 박리강도는 MMA/St, EA/BA, BA/MMA, EA/St, EA/MMA의 순으로 되었고, 또한 부직포/피혁에 core-shell 복합입자를 함침시키고 플라즈마 처리 후의 상태접착 박리강도는 MMA/BA, BA/EA, MMA/EA, St/MMA, EA/St의 순으로 되었다.

환경친화적 LE-형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반연속식 말브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유화중합에 관한 연구 (Semi-continuous Emulsion Polymerization of n-Butyl acrylate/Methyl metacrylate using Environmental-Friendly LE-Type Nonionic Surfactant)

  • 김철웅
    • 청정기술
    • /
    • 제11권1호
    • /
    • pp.41-50
    • /
    • 2005
  •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인 선형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LE-형유화제를 사용하여 점착성분의 단량체로 노말부틸 아크릴레이트 (n-butyl acrylate, n-BA)와 응집성분의 단량체로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methyl metacrylate, MMA)를 사용하여, 폴리머 시멘트용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를 제조하기 한 최적조건을 얻기 위해 수용액상에서 유화중합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사용한 계면활성제 (LE-형)의 친수성인 체인 길이(n)의 값이 증가할수록 응석의 발생이 줄어들어 안정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다.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농도는 이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증가하다가 어느 농도 이상에서 응석의 발생이 거의 없는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으며, 반면에 평균 입자크기도 사용량에 따라 작아지다가 250 nm로 일정한 크기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능성 폴리머로서 보조모노머의 첨가는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응석과 입자크기에 크게 영향을 미쳤는데, 주 모노머에 보조 모노머인 아크릴산 (acrylic acid, AA)과 아크릴 아마이드 (acrylic amide, AM)의 혼합하여 첨가한 경우,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응석의 발생이 줄어들어 안정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다. 최적조건에서 어진 아크릴 폴리머 에멀젼은 평균 입자크기 200-300 nm, 제타전위 (zeta potential)값 -50 mv 정도였으며, 단일 유리전이온도 (glass temperature, Tg)를 가진 고분자 나노 입자가 수용액상에 잘 분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합조건을 최적화시켜 안정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있었다.

  • PDF

Poly(dimethylsiloxane-co-N-phenylsiloxazane) 변성 Acrylate Resin의 제조와 그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oly(dimethylsiloxane-co-N-phenylsiloxazane) Modified Acrylate Resin)

  • 강두환;금민우;윤재선
    • 폴리머
    • /
    • 제34권2호
    • /
    • pp.154-158
    • /
    • 2010
  • $\alpha$,$\omega$-Dichlorohexamethyltrisiloxane의 aniline과 고리 반응으로부터 N-phenylcyclotrisiloxazane($D_3^{NPh}$)을 합성하고 이를 hexamethylcyclotrisiloxane$D_3$과 이온 공중합시켜 poly(dimethylsiloxane-co-N-phenylsiloxazane)공중합체(PDMS-NPSOX)를 제조하였다. 이를 chloroethyl methacryalte에 도입하여 PDMS-NPSOX unit가 도입된 아크릴 단량체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MMA 및 n-butyl acrylate와 공중합시켜 PDMS-NPSOX가 도입된 삼원 아크릴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단량체 조성은 생성 공중합체의 $T_g$가 25 $^{\circ}C$가 되도록 선택하여 공중합시켰다. 공중합체에서 PDMS만 도입된 경우 $T_g$가 20 $^{\circ}C$인데 비하여 PDMS-NPSOX unit이 도입됨에 따라 25 $^{\circ}C$로 증가되었으며 접착력도 1.76 N/cm에서 2.23 N/cm로 증가되었다.

반연속식 노말브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유화중합(1) : 폴리머 라텍스의 수율과 입자크기에 관한 계면활성제 종류의 영향 (Effect of Surfactant Type on the Particle Size and Yield in Semi-Continuous Emulsion Polymerization of n-Butyl Acrylate/Methyl Metacrylate)

  • 고기영;김성일;김철웅;형기우
    • 청정기술
    • /
    • 제11권1호
    • /
    • pp.1-12
    • /
    • 2005
  • 본 연구는 모노머로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와 노말부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수용액상에서 반연속식 유화중합을 실시하여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머 시멘트용 아크릴계 폴리머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평균 입자크기 및 농도에 관한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사용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관한 폴리머 에멀젼의 농도는 LE-50, NP-50 > CE-50, Tween 20 > TX-405 > Brij 35 순으로 최종 폴리머 응석에 기인하여 낮아졌으며, 평균 입자크기도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LE형과 NP형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체인의 길이(n)가 증가할 수 록 응석의 발생이 거의 없는 안정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으며, n = 30이상의 체인에서 평균입자크기는 250 - 320 nm, 폴리머 농도는 수용액 기준으로 40 %를 얻을 수 있었다. 반응초기에 반응기에 투입 (Initial reactor charge)한 계면활성제 종류의 영향은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DS를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량에 무관하게 폴리머 에멀젼의 농도는 거의 일정하였으나,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CTAB와 반응형 계면활성제인 HN-100의 경우에는 폴리머 에멀젼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평균 입자크기는 SDS < CTAB < HN-100 순으로 커지는 경향이었다.

  • PDF

탄산칼슘 /유기계 Core-Shell 입자의 제조와 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ynthesis and Property of $CaCO_3$/Organic Core-Shell Particle)

  • 설수덕
    • 폴리머
    • /
    • 제34권1호
    • /
    • pp.38-44
    • /
    • 2010
  • 탄산칼슘/유기계 core-shell 입자를 제조하기 위해 core로는 침강성 탄산칼습을 사용하였고, shell로서는 여러 종류의 methyl methacrylate(MMA), ethyl acrylate(EA), n-butyl acrylate(BA), styrene(St), 2-ethylhexyl acylate(2-EHA)을 사용하여, 반응 온도 유화제, 개시제의 종류와 첨가량을 변화시킨 후에 유화중합을 시켜 최적의 유화중합 조건을 구하였다. 생성된 core-shell 입자의 구조는 FT-IR로, 입자크기와 형태는 입도 분석, SEM, TEM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 core-shell 입자에 부직포를 함침시켜 처리전후의 표면변화는 접촉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함침 처리 전후의 부직포/부직포 소재와 관능성 단량체 첨가한 부직포/부직포 소재의 박리 접착강도를 측정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탄산칼슘/유기 core-shell 입자 합성의 경우에는 유화제인 SDBS를 0.5 wt% 첨가한 탄산칼슘을 core로 하여 MMA와 0.1 wt% 농도의 APS를 단계적으로 주입하여 중합함으로써 탄산칼슘입자 표면에 단량체의 중합이 잘 유도될 수 있었으며 중합 도중에 새로운 중합체 입자의 생성이 적었다.

공단량체의 화학적 구조에 따른 아크릴 접착제의 접착특성 (The Effect of Chemical Properties of Comonomer on Adhesion Properties of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 최운진;김호겸;조광수;이동호;민경은
    • 폴리머
    • /
    • 제31권5호
    • /
    • pp.369-373
    • /
    • 2007
  • UV 조사에 의해 합성된 아크릴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무용제형 접착제를 제조하고 이때 도입된 공단량체의 함량 및 곁사슬 길이에 따른 접착특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접착제의 초기 접착력(adhesive force)은 상대적으로 짧은 곁사슬을 가진 공단량체의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는데 이것은 긴 곁사슬을 가진 공단량체가 도입된 접착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표면에너지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박리강도 및 전단강도를 확인해본 결과, ethyl 및 n-butyl acrylate가 공단량체로 도입된 접착제는 공단량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이들 접착물성이 대체로 향상되는 반면 hexyl 및 isooctyl acrylate가 도입된 접착제는 공단량체의 함량과 접착물성간의 뚜렷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은 공단량체의 곁사슬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유동성의 감소로 인해 손실탄성률의 저하를 야기시켜 박리 및 전단강도와 같은 외부 응력에 대한 저항력을 약화시키게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아크릴수지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뷰렛에 의한 고 고형분 도료의 제조 및 도막물성 연구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High-Solid Coatings by Acrylic Resins and Hexamethylene Diisocyanate-Biuret)

  • 유혁재;정동진;박홍수;김성길;임완빈
    • 폴리머
    • /
    • 제28권3호
    • /
    • pp.273-280
    • /
    • 2004
  • 고형분 80%인 아크릴수지 (에틸 메타크릴레이트-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노르말부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 EHBC)를 합성한 후 이를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뷰렛 경화제로서 상온경화시켜 고 고형분 도료 (에틸 메타크릴레이트-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노르말부틸 아크릴레이트-아즈릴산/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뷰렛 : EHBCN)를 제조하였다. 진동자법에 의한 점탄성 측정에서 제조된 도료인 EHBCN-4 (EHBC-4 정적 $T_{g}$ $0^{\circ}C$)와 EHBCN-7 (EHBC-7 : 정적 $T_{g}$ 3$0^{\circ}C$)의 경화시간은 6.2시간과 4.5시간으로, 또한 경화된 도막의 동적 $T_{g}$$14^{\circ}C$$39^{\circ}C$로 각각 나타났다. 도막 물성 중 접착력과 굴곡성은 카프로락톤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성분이 함유된 EHBCN쪽의 물성이 현저히 좋게 나타나, 카프로락톤 아크릴레이트 성분이 접착력과 굴곡성을 증진시켰음이 입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