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opia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7초

서울서부지역 비정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metropia in the West Seoul)

  • 이영일;이영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7-80
    • /
    • 2001
  • 본 연구는 서울 서부지역의 비정시 255명 510안을 대상으로 타각적, 자각적 굴절검사를 시행하여 성별, 연령별 분포, 비정시의 정도 및 굴절이상을 분석하였다. 1. 총 검사안중 근시는 71.9%, 원시는 22.1% 그리고 정시는 5.8%로 나타났다. 2. 총 검사자중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비정시안과 정시안을 조사한 결과로 근시는 66.9%, 원시는 7.1% 그리고, 정시는 23%로 나타났다. 3. 20세 이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정시안과 정시안을 조사한 결과로 근시는 76.6%, 원시는 3.8% 그리고, 정시는 19.6%로 나타났다.

  • PDF

20대 서양인의 굴절이상에 대한 연구: 북미지역 (The Study for Refractive Error of the Westerner in 20s: North America Region)

  • 이영일;홍진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7-101
    • /
    • 2009
  • 목적: 서울 A 안경원에 방문한 20대의(남자: 44명, 여자: 62명) 서양인들을 대상으로 비정시의 정도와 굴절이상을 분석하였다. 방법: 타각적, 자각적 시력 검사를 시행하여 굴절이상상태를 연구 조사하였다. 결과: 굴절이상에 따라 분류한 결과 정시는 35안(16.51%), 근시안은 177안(83.49%)이었다. 난시 종류에 따른 분포는 남성의 경우, 단순근시는 26.76%, 근시성 복난시는 60.56%, 근시성 단난시는 12.68%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여성의 경우 단순근시는 43.40%, 근시성 복난시는 49.06%, 근시성 단난시는 7.55%로 조사되었다. 비정시안에서 등가구면굴절력에 따른 경 도근시는 전체 35.02%이었고, 가장 많은 수의 중도근시는 60.45%이었고, 고도 근시는 4.53%이었다. 난시안 중에서 근시성 직난시는 59.8%, 근시성 도난시는 26.78%, 근시성 사난시는 13.40%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의 평균 동공 중심간 거리는 63.5${\pm}$2.4 mm와 59.7${\pm}$2.3 mm로 남성이 여성보다 크게 나타났다. 결론: 안경사들이 20대 서양인들의 시력검사 및 렌즈를 처방할 때에도 여러 가지로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PDF

인위적인 근시에서 시력의 회복과정 (The Variable Process of Visual Acuity for Artificial Myopia)

  • 최운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5-60
    • /
    • 1997
  • 인위적인 근시상태에서 시력회복과정을 수치적으로 추적하여 이미 검사된 결과와 비교하였다. 계산은 광학모형안의 수치와 기하 광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모형안은 입사동과 망막으로 단순화하였고, 렌즈와 눈을 하나의 렌즈로 등가하였다. 또 등가렌즈 굴절력을 모형안 내에서 초점거리로 바꾸고 이것을 다시 망막에서 착란원의 크기로 환산하여 시력과의 관계로 계산하였다.

  • PDF

Myopia Control Lens, Single Vision Lens, Reverse Geometry Contact Lens의 연령에 따른 굴절교정상태 변화에 대한 추적 연구 (Changes of Refractive Correction Value with Different Age Group: A Case for Myopia Control Lens, Single Vision Lens and Reverse Geometry Contact Lens)

  • 윤민화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5-84
    • /
    • 2013
  • 목적: 연령에 따라 역기하콘택트렌즈(reverse geometry contact lens), MC렌즈(myopia control lens)를 착용 한 후 근시진행억제 효과에 대한 굴절교정값의 변화를 단초점렌즈(single vision lens)와 비교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6세에서 15세 사이의 아동에게 역기하콘택트렌즈 57안, MC렌즈 56안, 단초점렌즈 78안을 각각 착용시킨 후 연령에 따라 Group 1은 10세 이하, Group 2는 11세에서 15세 이하, Group 3은 연구 대상을 모두 포함하여 3그룹으로 나눴다. 이를 바탕으로 12개월 이하, 13~24개월, 25~36개월 까지 굴절교정값의 변화를 통한 근시 진행 억제 효과를 알아보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결과: 착용기간에 따른 굴절교정값의 변화는 Group 3에서 12개월 이하에서는 역기하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아동에서 변화가 없었고, MC렌즈는 $-0.36{\pm}0.10$ D, 단초점렌즈는 $-0.67{\pm}0.52$ D가 유의하게 변화되었다(P<0.05). 13~24개월에서 역기하콘택트렌즈는 $0.18{\pm}0.49$ D, MC렌즈는 $0.60{\pm}0.42$ D, 단 초점렌즈는 $1.37{\pm}0.72$ D로 유의(P<0.05)하게 변화되었다. 25~36개월에서 역기하콘택트렌즈는 $0.29{\pm}0.61$ D, MC렌즈는 $0.93{\pm}0.57$ D, 단초점렌즈는 $1.72{\pm}0.78$ D로 유의(P<0.05)하게 변화되었다. Group 1에서는 36개월 까지 역기 하콘택트렌즈는 $0.29{\pm}0.73$ D로 MC렌즈는 $1.07{\pm}0.59$ D로 단초점 렌즈는 $1.75{\pm}0.74$ D로 유의(P<0.05)하게 증가하였으며 Group 2에서는 36개월 까지 역기하콘택트렌즈는 $0.28{\pm}0.42$ D로 MC렌즈는 $0.75{\pm}0.49$ D로 단초점 렌즈는 $1.70{\pm}0.84$ D로 유의(P<0.05)하게 증가하여 굴절교정값의 변화는 10세 이하가 11세 이상보다 유의(P<0.05)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 12개월 이하의 착용시 역기하콘택트렌즈는 모든 연령에서 굴절교정값의 변화가 없었고, MC렌즈는 모든 연령에서 단초점렌즈보다 더 낮은 시력변화폭을 나타내 근시진행의 억제효과가 있으며, 13~36개월 착용시 역기하콘택트렌즈와 MC렌즈는 모든 연령에서 단초점렌즈보다 낮은 시력변화를 보여 근시진행의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경도근시(가성근시 포함) 환자에 있어 눈 경혈 마사지기와 침치료간의 증상개선 효과 비교를 위한 임상시험(단일기관, 무작위 배정) (The Clinical Tests for Treatment Improvement Comparison in Myopia between Eye Acupuncture Massage Machine (NURIEYE-1) and Acupuncture)

  • 김미보;김규곤;홍상훈;고우신;윤화정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80-94
    • /
    • 2009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clinical research is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between acupuncture group(control group) and NURIEYE-1 group (experimental group) in myopia Methods : Comparison clinical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randomly arranged 32 patients for acupuncture group(control group) and NURIEYE-1 group(experimental group). For effectiveness evaluation, eye sight test, MQOL and DITI were tested three times with visits for every 4 weeks. With SA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paired t-test and two sample t-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chieved with less than 5% probability (p<0.05). Result : 1.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from the eye sight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 We had improved results in average with MQOL,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ough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result with DITI average comparison between two group, we witnessed significant effect in some part of MQOL. 2. Nevertheless Periodical comparison test showed weak significance with eye sight and DITI,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in some part of MQOL. 3. With periodical comparison tests,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eye sight, MQOL and DITI with the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Conclusion : There was no significant eye sight improvement. However, with acupuncture point stimulation, we think there are some positive effects for the relaxation of excessive stress in eyes.

  • PDF

굴절이상도와 난시와의 관계 연구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spherical refractive error and astigmatism)

  • 이정영;김재도;김대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39-446
    • /
    • 2004
  • 근시의 발생 및 증가의 원인이 지속적인 망막의 흐린 상에 의한다는 것이 여러 연구를 통해 알려져 왔다. 실제 임상에서는 미교정 난시가 망막의 흐린 상을 유발하는 한 가지 원인이 될 수 있다. 난시와 굴절이상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8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N-vision 5001 자동굴절검안기(Shinnippon)를 이용하여 굴절이상도를 측정하였다. 직난시와 사난시의 그룹에서는 구면굴절이상도와 난시의 상관계수와 통계값은 각각 r=0.53 (ANOVA F=32.40, N=87, P<0.05)과 r=0.53(ANOVA F=5.14, N=15, P<0.001)으로 난시도수의 증가와 함께 굴절이상도수가 증가하지만 도난시와의 상관계수는 r=0.09 (ANOVA F=0.18, N=22, P<0.001)로 구면굴절이상도와 난시와의 상관관계는 미미한 것을 나타났다. 그룹 전체의 난시도수와 굴절 이상도는 각각의 그룹의 상관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r=0.56: ANOVA F=77.80, N=173, P<0.001) 그룹 전체에서 난시도수와 굴절이상도의 상관관계가 유의적 수준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미교정 난시가 구면굴절이상의 발생 및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초등학생들의 굴절이상과 시력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은규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41-143
    • /
    • 2008
  • 목적: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시력과 굴절이상과의 관계를 조사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 3, 6학년 200명(400안)을 선정하여 나안시력과 굴절이상을 측정하였다. 결과: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근시도는 증가하고, 시력은 감소하였고, 1차 회귀직선방정식은 Y=2.1471X-3.1484 (F=313.9377, P<0.001)로 나타났다. 원시도와 시력에 대한 1차 회귀직선방정식은 Y=-0.6854X+1.1764 (F=7.054, P<0.01)로 나타나 원시도와 시력 감소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시력과 난시도의 관계는 Y=2.2509X-2.8738 (F=21.7952, P<0.001)로 나타나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결론: 근시, 원시, 난시 모두 시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 PDF

전남지역 초등학생의 굴절이상 유병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Prevalence Rate of Refractive Error among the Primary Students in Jeollanamdo)

  • 장정운;박인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1-318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전남지역 초등학생들의 성별과 연령, 나안시력에 따른 굴절이상 유병률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전남지역 소재 8~13세, 735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시력검사, 자각적 및 타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나안시력검사는 한천석식 시시력표를 이용하였으며, 타각적 굴절검사는 자동굴절계를 이용하였다. 결과: 전남지역 초등학생들 중 0.1이하의 나안시력을 보인 학생은 54명(7.3%)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49명(90.7%)이 안경을 착용하였다. 0.125~0.25의 나안시력을 보인 학생들의 안경착용률은 79.3%, 0.3~0.5의 나안시력을 보인 학생들은 64.2%, 0.6~0.8의 나안시력을 보인 학생들의 안경착용률은 61.6%를 보였다. 또한 정시 269명(36.6%), 근시 321명(43.7%), 원시 56명(7.6%), 난시 89명(12.1%)으로 굴절이상 유병률 중 근시 유병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난시 유병률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근시 중 약도근시의 유병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약도 및 중도근시의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시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시 유병률에서 50.6%(45명)가 직난시, 48.3%(43명)가 도난시, 1%(1명)가 사난시를 보였다. 결론: 전남지역 초등학생들의 굴절이상 현황을 조사한 결과 466명(63.4%)의 학생들이 굴절이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 안경교정 인원은 313명(42.6%)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근시 유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확한 시력검사와 굴절검사 후 적절한 교정을 통해 학생들의 지속적인 시력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와 섬마을 노안의 연령에 따른 근용 가입도의 비교 관찰 (A Comparative Analysis of increased along with the age presbyopic additions in city and island villages)

  • 김인숙;류근창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1-65
    • /
    • 2002
  • 본 연구는 도시(목포시)와 섬마을 노인(조도면)의 굴절상태와 근용가입도의 비교 연구를 50세에서 90세까지 총 677명을 대상으로 원용과 근용 타각적 굴절검사와 자각적 굴절검사를 자동굴절검사기, 검영기, 검안경, 시험 렌즈셀, 시시력표 등을 이용하여 검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시(목포시) 노인의 원용굴절상태 남자 : 정시 10%, 근시 17%, 원시 19%, 혼합난시 38%, 기타 16% 여자 : 정시 20%, 근시 20%, 원시 20%, 혼합난시 27%, 기타 13% 2. 섬마을(조도면) 노인의 원용굴절상태 남자 : 정시 13%, 근시 17%, 원시 22%, 혼합난시 40%, 기타 8% 여자 : 정시 7%, 근시 13%, 원시 26%, 혼합난시 44%, 기타 10% 3. 연령과 성별에 따른 근용 가입도수 남자 : 50 to 60 : +1.25 or +1.50D, 61 to 65 : +1.75 or +2.00D, 66 to 70 : +2.25 or +2.50D 71 to 75 : +2.75 or +3.00D, 76 to 80 : +3.25 or +3.50D, over81 : + 3.75D 여자 : 50 to 60 : +1.25 or +1.50D, 61 to 65 : +1.75 or +2,00D, 66 to 70 : +2.25 or +2.50D 71 to 75 : +2.25 or +2.50D, 76 to 80 : +2.75 or +3.00D, over81 : +2.75 or +3.00D 4. 돋보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시간은 대체적으로 1~2시간 사용이 않았으나 5시간 이상 사용자도 있었다. 5. 도시와 섬마을 노안에서 대부분 백내장, 군날개, 고혈압, 당뇨, 녹내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전북 지역 고등학생 비정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metropia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onbuk Province)

  • 두하영;심상현;최오목;강명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7-71
    • /
    • 2002
  • 본 연구는 전북지역 고등학생 비정시 182명 364안을 대상으로 타각적, 자각적 시력 검사를 시행하여 비정시의 정도 및 굴절 이상상태를 연구하였다. 1. 눈의 형태는 근시는 85.7%, 원시는 7.6%, 그리고 정시는 6.6%로 나타났다. 2. 굴절이상안은 단순근시 29.6%, 근시성 복난시 56.3%, 근시성단난시 7.2%, 원시성단난시 1.8%, 원시성 복난시 1.2%, 혼합난시 1.8%, 단순원시 1.8% 이었다. 3. 난시의 축은 직난시 78.7%, 도난시 13.9%, 사난시 7.4%이었다. 4. 난시의 굴절력은 0.50dptr에서 1.0dptr가 64.6%. 1.0dptr 에서 2.0dptr가 29.1%, 2.0dptr 이상이 6%이었다. 5. 근시성 굴절이상안의 등가구면굴절력은 -0.50dptr 에서 -2.0dptr 이하 40.1%, -2.0dptr에서 -6.00dptr 이하 56.6%, -6.00 이상이 36.8% 이였다. 6. 원시성 굴절이상안의 등가구면굴절력은 2.00dptr 이하 50%, 2.00dptr 이상이 50%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