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for Refractive Error of the Westerner in 20s: North America Region

20대 서양인의 굴절이상에 대한 연구: 북미지역

  • Lee, Young-Il (Departmen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Dongnam Health College) ;
  • Hong, Jin Seok (Departmen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Dongnam Health College)
  • 이영일 (동남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 홍진석 (동남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Received : 2009.01.26
  • Accepted : 2009.03.06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Purpose: To assess the refractive state of the westerners (male: 44, female: 62) in twenties who visited the A optical shop at Seoul. Methods: The visual acuity test was performed by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method. Results: The emmetropia and myoptia were 35 and 177 eyes (83.49%), respectively. About 26.76% of tested males was ametropia. Myopia compound and myopia simple astigmatism were found in 60.56% and 12.68% of tested males, respectively. However, about 43.40% of tested females was ametropia. Myopia compound and myopia simple astigmatism were 49.06% and 7.55% were found in tested females, respectively. As for the equivalent spheric power of myopic abnormal refractive eyes, the -0.5D < spheric equivalent ${\leq}$ -2.00D was 35.02% of tested westerners, the -2.00D < spheric equivalent ${\leq}$ -6.00D was 60.45% and anything over the -6.00D was 4.53%. The percentages of with-the-rule, against-the-rule and oblique astigmatism among people with astigmatism were 59.82%, 26.78% and 13.40%, respectively. The average of pupillary distance in male (63.5${\pm}$2.4 mm) was greater than that in female (59.7${\pm}$2.3 mm). Conclusions: Korean opticians were provided some useful information about making up a prescription for the westerners in twenties by this research.

목적: 서울 A 안경원에 방문한 20대의(남자: 44명, 여자: 62명) 서양인들을 대상으로 비정시의 정도와 굴절이상을 분석하였다. 방법: 타각적, 자각적 시력 검사를 시행하여 굴절이상상태를 연구 조사하였다. 결과: 굴절이상에 따라 분류한 결과 정시는 35안(16.51%), 근시안은 177안(83.49%)이었다. 난시 종류에 따른 분포는 남성의 경우, 단순근시는 26.76%, 근시성 복난시는 60.56%, 근시성 단난시는 12.68%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여성의 경우 단순근시는 43.40%, 근시성 복난시는 49.06%, 근시성 단난시는 7.55%로 조사되었다. 비정시안에서 등가구면굴절력에 따른 경 도근시는 전체 35.02%이었고, 가장 많은 수의 중도근시는 60.45%이었고, 고도 근시는 4.53%이었다. 난시안 중에서 근시성 직난시는 59.8%, 근시성 도난시는 26.78%, 근시성 사난시는 13.40%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의 평균 동공 중심간 거리는 63.5${\pm}$2.4 mm와 59.7${\pm}$2.3 mm로 남성이 여성보다 크게 나타났다. 결론: 안경사들이 20대 서양인들의 시력검사 및 렌즈를 처방할 때에도 여러 가지로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상욱, 김재호, "안과학", 수문사, 서울, pp. 184-188(1999).
  2. 김덕훈, 김상문, 김재민, 김창식, 성아영, 정수자, 조현수, "시기생리학", 현문사, 서울, pp. 159-161(1998).
  3. 고성복, "초등학교 저학년의 시력과 굴절이상과의 상관관계",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2(2003).
  4. 정세훈, "한국인의 연령별 비정시 시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3(2005).
  5. 황길문, "도시지역 초등학생의 비정시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2005).
  6. 이규영, "초등학생의 1년간 시력변화와 관련된 요인분석", 한국 학교보건학회지, 10(2):179-192(1997).
  7. Dandona R., Dandon L.. Srinivas M., Sahare P., Narsaiah S., Munoz S. R., Pokharel G. P., and Ellwein L. B., "Refractive Error in Children in a Rural Population in India", Invest. Ophthalmol. Vis. Sci., 43(3):615-622(2002).
  8. 김정희, "연령에 따른 난시 축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 6(1):71-76(2001).
  9. 이영일, 홍진석, "아시아 동양인들의 비정시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 13(1):77-81(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