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ocardial remodeling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2초

심장의 정상 및 이상발생 (Normal and Abnormal Development of the Heart)

  • 서정욱;최정연;서경필;지제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2호
    • /
    • pp.136-146
    • /
    • 1996
  • Studies on normal human embryos and on malformed human hearts have been two main sources of th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al cardiology, Recent advances in the biological technology has opened a new era and descriptive embryology is being shifted into dynamic developmental biology. In this review, we discuss the current understanding on the cardiac embryology relevant to clinical practices of pediatric cardiology. Classical cardiac embryology starts with understanding on five segments of a straight heart tube : the sinus venosus, the primitive atria, the embryonic left ventricle, the embryonic right ventricle and the truncus arteriosus. Key steps in the normal morphogenetic process are the complex spiral septation of ventriculoarterial junction and two jumping connections : between the embryonic right atrium and embryonic right ventricle, and between the embryonic left ventricle and the aorta. Only after these two steps are successfully completed, the third fetal stage tak s place, when myocardial growth and remodeling take place There are two outstanding progresses on the cardiac embryology during recent five-year period. One is immunohistochemical mapping of the conduction system in the developing heart and the other is the understanding on the neural crest cell migration followed by molecular detection of the microdeletion of chromosome 22. A balanced progress of classical morphological studies, modern biological technics and advanced clinical medicine is an urgent task for doctors and scientists dealing with children with sick hearts.

  • PDF

KR-39038, a Novel GRK5 Inhibitor, Attenuates Cardiac Hypertrophy and Improves Cardiac Function in Heart Failure

  • Lee, Jeong Hyun;Seo, Ho Won;Ryu, Jae Yong;Lim, Chae Jo;Yi, Kyu Yang;Oh, Kwang-Seok;Lee, Byung H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8권5호
    • /
    • pp.482-489
    • /
    • 2020
  • G protein-coupled receptor kinase 5 (GRK5) has been considered as a potential target for the treatment of heart failure as it has been reported to be an important regulator of pathological cardiac hypertrophy. To discover novel scaffolds that selectively inhibit GRK5, we have identified a novel small molecule inhibitor of GRK5, KR-39038 [7-((3-((4-((3-aminopropyl)amino)butyl)amino)propyl)amino)-2-(2-chlorophenyl)-6-fluoroquinazolin-4(3H)-one]. KR-39038 exhibited potent inhibitory activity (IC50 value=0.02 µM) against GRK5 and significantly inhibited angiotensin II-induced cellular hypertrophy and HDAC5 phosphorylation in neonatal cardiomyocytes. In the pressure overload-induced cardiac hypertrophy mouse model, the daily oral administration of KR-39038 (30 mg/kg) for 14 days showed a 43% reduction in the left ventricular weight. Besides, KR-39038 treatment (10 and 30 mg/kg/day, p.o.) showed significant preservation of cardiac function and attenuation of myocardial remodeling in a rat model of chronic heart failure following coronary artery lig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tent GRK5 inhibitor could effectively attenuate both cardiac hypertrophy and dysfunction in experimental heart failure, and KR-39038 may be useful as an effective GRK5 inhibitor for pharmaceutical applications.

The WNT/Ca2+ pathway promotes atrial natriuretic peptide secretion by activating protein kinase C/transforming growth factor-β activated kinase 1/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2 signaling in isolated beating rat atria

  • Li, Zhi-yu;Liu, Ying;Han, Zhuo-na;Li, Xiang;Wang, Yue-ying;Cui, Xun;Zhang, Yi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6권6호
    • /
    • pp.469-478
    • /
    • 2022
  • WNT signal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cardiac development, but abnormal activity is often associated with cardiac hypertrophy, myocardial infarction, remodeling, and heart failure. The effect of WNT signaling on regulation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secretion is unclea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nt agonist 1 (Wnta1) on ANP secretion and mechanical dynamics in beating rat atria. Wnta1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atrial ANP secretion and pulse pressure; these effects were blocked by U73122, an antagonist of phospholipase C. U73122 also abolished the effects of Wnta1-mediated upregulation of protein kinase C (PKC) β and γ expression, and the PKC antagonist Go 6983 eliminated Wnta1-induced secretion of ANP. In addition, Wnta1 upregulated levels of phospho-transforming growth factor-β activated kinase 1 (p-TAK1), TAK1 banding 1 (TAB1) and phospho-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2 (p-ATF2); these effects were blocked by both U73122 and Go 6983. Wnta1-induced ATF2 was abrogated by inhibition of TAK1. Furthermore, Wnta1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T cell factor (TCF) 3, TCF4, and lymphoid enhancer factor 1 (LEF1), and these effects were blocked by U73122 and Go 6983. Tak1 inhibition abolished the Wnta1-induced expression of TCF3, TCF4, and LEF1 and Wnta1-mediated ANP secretion and changes in mechanical dynami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nta1 increased the secretion of ANP and mechanical dynamics in beating rat atria by activation of PKC-TAK1-ATF2-TCF3/LEF1 and TCF4/LEF1 signaling mainly via the WNT/Ca2+ pathway. It is also suggested that WNT-ANP signaling is implicated in cardiac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허혈성 심혈관 질환의 치료제로서 혈관내피전구세포(EPC)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The Potential Therapeutic Effects of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in Ischemic Cardiovascular Disease)

  • 김다연;김보민;김소정;최진희;권상모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651-659
    • /
    • 2020
  • 허혈성 심혈관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치사율이 높은 질병 중 하나이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 수술적 방법이 시행되고 있으나, 손상된 심근조직 회복의 어려움과 수술 후 부작용의 한계가 남아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줄기세포를 기반으로 한 심혈관질환의 세포치료제가 각광받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혈관내피전구세포(EPC)는 높은 증식능과 분화능을 기반으로 손상된 혈관을 재생하고, 주변 조직의 재생을 돕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 EPC는 임상적으로 안전하며, 환자의 심근 기능을 회복시켜주기에 잠재적인 심혈관질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환자 유래 EPC를 이용한 치료법은, 고령, 흡연 여부, 기저질환 등의 이유로 환자의 EPC 기능이 저하되어 있어, 그 치료 효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최근에는 세포 프라이밍 기법, 오가노이드 배양법과 같이 EPC의 생리학적 활성도를 올리는 체외 배양법의 개발과 3D 바이오프린팅 기법을 이용한 EPC의 이식 효율을 높여 치료 효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접근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PC의 특징과 세포치료제로서의 임상적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허혈성 좌심실 부전증에서의 좌심실내 원형 패취성형술 (Endoventricular Circular Patch Plasty (Dor Procedure) for Ischemic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 조광리;임청;최재성;홍장미;김형렬;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9호
    • /
    • pp.755-761
    • /
    • 2004
  • 말기 허혈성 심근질환에서 좌심실내 원형패취 성형술(Dor 술식)이 심근 기능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시행한 Dor 술식의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4월부터 2002년 12월 사이에 좌심박출계수 35% 이하의 허혈성 심근질환으로 관상동맥우회술과 함께 Dor 술식을 시행한 45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수술 직후 및 술 후 1년째에 심초음파, 심근 SPECT, 심도자 및 조영술을 시행하여 좌심실 박출계수 및 용적 등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심폐바이패스 및 대동맥 차단시간은 각각 평균 141$\pm$64, 69$\pm$24분이었다. 7례에서 수술전에 대동맥내풍선펌프를 사용하였으며 수술 중 및 수술 후 저심박출 증후군을 보인 9례와 3례에서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삽입하였다. 수술 사망은 1례(2.2%)가 있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저심박출 증후군(12례), 심방세동(5례), 급성신부전(4례), 출혈에 의한 재수술(4례) 등이 있었다. 술 후 1개월째 환자의 NYHA 기능지수는 평균 2.8에서 1.1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 < 0.01). 수술 직후 시행한 좌심실조영술상 박출계수는 수술 전과 비교해서 32 $\pm$ 9%에서 52$\pm$11%로, asynergy 분획은 57 $\pm$ 12%에서 22 $\pm$ 9%로, 좌심실확장기말, 수축기말 용적 계수들도 각각 125$\pm$39 mL/$m^2$, 85 $\pm$30 mL/$m^2$에서 66$\pm$23 mL/$m^2$, 32$\pm$16 mL/$m^2$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p<0.01). 술 후 1년째에 시행한 심초음파검사, 심근 SPECT, 심도자 및 조영술상 수술 직후와 비교해서 좌심박출계수, 좌심실 확장기말용적, 좌심실 수축기말용적은 큰 차이는 없었으나, 좌심실 용적들은 조금씩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허혈성심근질환에서 좌심실내 패취 성형술은 현저하게 좌심박출계수의 향상과 좌심실용적의 감소를 가져오며 술 후 1년까지도 지속되었으나, 좌심실용적은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술 후에도 좌심실의 재확장을 막기 위한 적극적인 약물치료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아드리아마이신으로 유도된 심근증에서 Metalloproteinase, Metalloproteinase 조직억제자, Cytokine 유전자 발현에 대한 연구 (Gene Expression of Metalloproteinases,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 and Cytokines in Adriamycin-induced Cardiomyopathy)

  • 홍영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2호
    • /
    • pp.197-203
    • /
    • 2005
  • 목 적 : MMP 활동의 변화는 류마치스 관절염과 암 전위를 비롯한 여러 질환에서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 확장성 심근증에서 MMP 활동의 증가가 발표되었다. 아드리아마이신으로 유도된 심근증에서 MMP에 대한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아드리아마이신으로 유도된 심근증에서 MMP, TIMP 유전자 발현을 연구하고 cytokine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Sprague Dawley 쥐에 아드리아마이신 5 mg/kg을 1주일에 2번씩 2주간(누적 용량 : 20 mg/kg) 복강내 주사하였고, 정상쥐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2주 후에 쥐를 희생시켜서 혈청과 심장조직을 얻었다. 혈청에서 ELISA 원리로 MMP-2, TIMP-3, IL-6, TNF-${\alpha}$를 측정하였다. 심장에서 total RNA를 추출하였고, MMP-2, TIMP-3 IL-6, TNF-${\alpha}$ primer를 이용하여 PCR로 증폭하였다. 증폭된 DNA는 1% agarose gel에서 전기 영동하였고 UV light 아래에서 필름으로 촬영하였다. 결 과 : 혈청 MMP-2와 TIMP-3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아드리아마이신군에서 IL-6은 $36.8{\pm}2.8pg/mL$, TNF-${\alpha}$$2.2{\pm}2.7pg/mL$로 정상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혈청 MMP-2와 TNF-${\alpha}$와는 r=0.41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심근 조직에서 MMP-2, IL-6, TNF-${\alpha}$는 발현되지 않았고, TIMP-3는 아드리아마이신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전자 발현이 감소되었다. 결 론 : 아드리아마이신으로 유도된 급성 심근증 모델에서는 심근에서 MMP, IL-6, TNF-${\alpha}$가 발현되지 않았고, TIMP 발현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혈청 MMP와 TNF-${\alpha}$와의 상관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므로 TNF-${\alpha}$가 MMP 발현을 조절함을 시사해 준다. 앞으로 만성 심근증 모델에서 MMP, TIMP 발현에 대하여 연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