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coplasma-like organism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First Record of Mycoplasma-like Organism in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Korea

  • Choi Dong Lim;Choi Hee Jung;Lee Nam-Sil;Park Mi Se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135-139
    • /
    • 2003
  • During routine survey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collected from Tongyoung area in southern coast of Korea,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a intracellular microorganisms infected the digestive gland of the oyster. They infected hepatopancreatic cells extensively. The size of intracellular microorganism was of 45 to 86nm in diameter and 200nm to more thar 500nm in length. They were pleomorphic.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intracellular microorganisms lacked cell wall and was bounded by the plasma membrane. They contained typical prokaryotic ribosomes and fibrillar DNA-like strands. No additional internal structure has been observed. Based on the lack of cell wall and the cellular localization, the intracellular microorganism is considered as a Mycoplasma-like organism.

생명공학 분야의 "제2회 과학기술 예측" 조사 분석

  • 함경수
    • 미생물과산업
    • /
    • 제25권2호
    • /
    • pp.11-18
    • /
    • 1999
  • 전북지방에 만연되고 있는 고구마 위축병에 관한 병원성 검정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고구마 위축병의 병원은 mycoplasma-like organism(또는 PPLO)으로서 그 형태는 타원형이며 크기는 200~2500범위이다. 2.항생물질 효과는 oxytetracycline이 가장 효과적이다. 3.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mycoplasma-like bodies 는 엽맥 관세포 속에 밀집되여 있고, 항생물질에 의해 모구조의 파괴현상이 나타난다. 4. 감염경로는 접목전염만이 되고, 즙액전염, 곤충전염에서는 감염이 되지 않았다.

  • PDF

담배장님노린재에 의한 오동나무 빗자루병 MLO의 일일초로의 전반 (Insert Transmission of Paulownia Witches'-Broom Mycoplmsma-Like Organism to Periwinkle Plant by Tobacco Leaf Bug, Cytropheltis tenuis Reuter)

  • 나용준;박원철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1-214
    • /
    • 1994
  • Paulowina witches'-broom mycoplasma-like organism (PWB-MLO) was transmitted experimentally to periwinkle (Catharanthus roseus L.) plant by tobacco leaf bug (Cyrtopeltis tenuis Reuter). Adults of the leaf bugs were allowed to feed on the witch's-broom infected paulownia (Paulownia tomentoas Steud.) trees for three weeks to insure the acquisition of PWB-MLO and then transferred to healthy seedlings of periwinkle and paulownia plants. In 25∼35 days after transfer of the viruliferous leaf bugs, six out of the ten periwinkle plants showed‘little-leaf’symptoms, while the paulowina seedlings remained symptomless. Presence of MLO in the infected periwinkle tissue was diagnosed by fluorescence microscopy and MLO particles were observed under electron microscope, confirming the transmission of PWB-MLO to periwinkle.

  • PDF

오동나무애매미충(가칭(假稱))에 의한 오동나무빗자루병의 일일초로의 충매전염(蟲媒傳染) (Transmission of Paulownia Witches'-Broom Mycoplasma-like Organisms to Periwinkle by a Leafhopper, Empoasca sp.)

  • 여운홍;박원철;이재호;고명균;이창근;김영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1-5
    • /
    • 1994
  • 오동나무빗자루병의 매개충(媒介蟲)을 찾을 목적(目的)으로 오동나무빗자루병이 많이 발생(發生)하고 있는 조림지내(造林地內)의 흡즙성곤충상(吸汁性昆蟲相)을 조사(調査)한 바 16종(種)이 동정(同定)되었다. 이 중에서 관찰빈도(觀察頻度)가 비교적(比較的) 높은 10(종)種의 곤충(昆蟲)을 공시(供試)하여 충매전염(蟲媒傳染)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미기록종(未記錄種)인 오동나무애매미충(가칭(假稱), Empoasca sp.)만이 오동니무빗자루병을 일일초(日日草)로 매개전염(媒介傳染)시켰다. 오동나무 이병목(罹病木)에서 채집(採集)한 오동나무애매미충의 성충(成蟲)을 오동나무 이병지(罹病枝)에서 3주일간(週日間) 획득흡즙(獲得吸汁)을 시키고 일일초실생유묘(日日草實生幼苗)에 접종(接種)한 결과(結果), 3~40일(日)이 지난 후(後)에 잎이 작아지는 소엽병징(小葉病徵)을 보였다. 그러나 본(本) 보독충(保毒蟲)을 접종(接種)한 오동나무실생유묘(實生幼苗)에서는 아무런 이상증상(異常症狀)이 관찰(觀察)되지 않는다. 소엽병징(小葉病徵)이 나타난 일일초조직(組織)을 현광현미경(螢光顯微鏡)으로 검경(檢鏡)한 결과(結果), 병원체(病原體)인 마이코플라스마유사미생물(類似微生物)(mycoplasma-like organism ; MLO)에 감염(感染)되었음이 진단(該斷)되었고, 조직(組織)의 사관(篩管)에서 MLO들을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할 수 있음으로써 충매전염(蟲媒傳染)이 확인(確認)되었다.

  • PDF

위축(萎縮), 총생(叢生) 증상의 천궁, 시호, 질경이의 마이코플라스마병(病)에 관한 연구(硏究) (An Investigation of Undescribed Witche's Broom Symptom Disease Caused by Mycoplasma-like Organism on Bupleurum falcatum, Cnidium officinale and Plantago asiatica in Korea)

  • 최용문;이순형;김정수;이응권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9-51
    • /
    • 1985
  • 울릉도에서 채집(採集)한 위축(萎縮), 총생(叢生), 황화(黃化) 증상의 천궁, 전북 장수에서 채집한 위축(萎縮), 황화(黃化) 증상의 시호, 대관령에서 채집한 황화(黃化), 총생(叢生) 증상의 이병주(罹病株)로 부터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마이코프라스마 병원체(病原體)가 발견(發見) 되었으며 천궁은 울릉도에서 발병률(發病率) 11.9%로써 피해가 심하였다.

  • PDF

Mycoplasma성 고구마 위축병에 관한 연구 - 병증 및 병원체 (Studis on the Mycoplasmic Witches'-Broom of Sweet Totato in Korea (I))

  • 소인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30
    • /
    • 1973
  • The sweet potatoes infected with witches'-broom disease were collected in the growing fields in Jeon-bug area, Korea. As a possible control plant, Ipomoea batatas L.var. Suwon 147 was selected. The pathogen was identified by various methods ; such as mechanical transmission, antibiotic reactions and electron microscopy. In the results attained the author believed the pathogen of the sweet potato infected with witches' broom to be a mycoplasma-like organism.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Mycoplasma-like bodies were occurred in the phloem region of the sweet potatoes infected with witches'-broom and its particles were sized in the range of about 200-2,500m.mu.. The membrane of the pathogen was observed to be made of an unit. 2. Responsibilities to the antibiotices were sensitive in case of tetracycline and terramycin, and root dipping method showed remarkable than foliage spray. 3. The infection was developed by the grafting transmission but by the insects, Myzus persicae and Cicadella viridis. 4. rosette, witches'-broom, stunt, yellowish, mosaic and necrosis were observed as the symptomps of the disease.

  • PDF

Berberine Sulphate를 이용(利用)한 형광현미경기법(螢光顯微鏡技法)에 의(依)한 수목(樹木)마이코플라스마검정(檢定) (Detection of Mycoplasma-like Organisms in Some Trees by Fluorescence Microscopy with Berberine Sulphate)

  • 박원철;라용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2호
    • /
    • pp.232-236
    • /
    • 1991
  • 형광색소(螢光色素) berberine sulphate의 DNA 및 RNA-결합성질(結合性質)을 이용(利用)한 형광현미경기법(螢光顯微鏡技法)의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like organism ; MLO) 감염진단(感染診斷)에 대(對)한 효용가치(效用價値)를 조사(調査)하였다. 이병(罹病) 대추나무, 오동나무, 뽕나무 및 일일초(日日草)의 조직절편(組織切片)을 berberine sulphate로 염색(染色)하여 형광현미경(螢光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하였던 바, 사부조직(篩部組織)에서 MLO-특이형광반응(特異螢光反應)이 나타났으나, 건전조직(健全組織)의 사부(篩部)에서는 특이형광(特異螢光)이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berberine sulphate의 조직염색법(組織染色法)은 목본(木本) 및 초본식물(草本植物)의 MLO감염(感染)을 정확(正確)하게 진단(診斷)하는데 매우 유용(有用)한 방법(方法)임을 보여 주었으며, 사용(使用)이 간단(簡單)하고 비용(費用)이 저렴(低廉)하므로 대량(大量)의 시료(試料)에 대한 신속(迅速)한 검정(檢定)에 이용(利用)될 가능성(可能性)을 보여 주었다.

  • PDF

Mycoplasma 성(性) 붉나무빗자루병(病)에 관(關)한 연구(硏究) (I) (Studies on Mycoplasma-Like Organism Associated with Witches' Broom of Rhus javanica (I))

  • 김영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15
    • /
    • 1980
  • 붉나무빗자루병은 국내외적(國內外的)으로 처음으로 발견된 병(病)으로서 그 병원체(病原體), 병징(病徵), 전염경로(傳染經路) 항생물질반응(抗生物質反應) 등을 조사(調査)하였다. 1. 붉나무빗자루병의 병징(病徵)은 지엽(枝葉)의 총생(叢生), 기관(器官)의 위축(萎縮), 위황(萎黃), 화기(花器)의 엽화(葉化) 등 빗자루병 특유(特有)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2. 이병주(罹病株)의 총엽병(總葉柄) 및 주맥조직(主脈組織)을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에 의해서 관찰한 결과 사관세포(篩管細胞) 및 사부유세포(篩部柔細胞)에서 mycoplasma-like organism 이 관찰되었다. 3. 본(本) 병원체(病原體)는 unit membrane에 싸여 있고 이분(二分), 출아(出芽)에 의하여 증식(增殖)하며 사공(篩孔)을 통해서 식물체내(植物体內) 이동(移動)을 하는 것이다. 4. 이병엽(罹病葉) 주맥(主脈)의 사관세포(歸管細胞)는 위축(萎縮)되었고 각(各) 유관속(維管束)의 사부(篩部)는 분리(分離)되어 있는데 반하여 목부(木部)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병주(罹病株)의 엽내조직(葉內組織)은 선상표피(腺狀表皮)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전자현미경관찰결과(電子顯微鏡觀察結果) 도관세포(導管細胞)에는 이상결정물질(異常結晶物質), 호(好) osmium성(性) 과립(顆粒)들이 관찰되었고 엽록체(葉綠體)의 grana 구조(構造)가 미발달(未發達)되어 있었다. 6. 접목전염(接木傳染)이 용이(容易)하며 아접(芽接)이 절접(切接)보다 전염성이 높았고 접아(接芽)나 접수(接穗)가 활착되지 않았어도 전염은 가능했다. 그러나 즙액전염(汁液傳染), 충매전염(虫媒傳染)은 부정적이었다. 7. Teracyclin과 terramycin을 처리(處理)한 효과(効果)는 일시적이었으며 영구치료(永久治療)는 되지 않았다. 또한 근부침지(根部浸漬)가 엽면살포(葉面撒布)보다 반응(反應)이 좋았으며 농도(濃度)는 근부침지(根部浸漬)에서 1,000 ppm이 가장 효과적(効果的) 이었다.

  • PDF

Mycoplasma성(性) 왕쥐똥나무 빗자루병(病)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Witches' Broom of Ligustrum ovalifolium Hasskarl Caused by Mycoplasma-like Organism (MLO))

  • 채정기;김영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103-118
    • /
    • 1989
  • 왕쥐똥나무빗자루병(病)은 국내외적(國內外的)으로 처음 발견(發見)된 병(病)으로서 그 병원체(病原體), 병징(病徵), 전염경로(傳染經路), 항생물질반응(抗生物質反應),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 및 형광현미경(螢光顯微鏡) 관찰(觀察), 전기영동(電氣永動)에 의(依)한 단백질(蛋白質) 및 peroxidase 분리(分離) 등(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왕쥐똥나무빗자루병(病)의 병징(病徵)은 지엽(枝葉)의 총생(叢生) 절간단축(節間短縮), 기관(器官)의 위축(萎縮), 위황(萎黃) 등(等) 빗자루병(病) 특유(特有)의 양상(樣相)을 나타냈다. 2. 이병주(罹病株)의 엽주맥(葉主脈) 조직(組織)을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에 의(依)하여 관찰(觀察)한 결과(結果) 사관세포(篩管細胞) 및 사부유세포(篩部柔細胞)에서 mycoplasma-like organism이 발견(發見)되었다. 3. 본(本) 병원체(病原體)는 unit membrane에 싸여 있고 이분법(二分法)에 의(依)하여 증식(增殖)되며 사공(篩孔)을 통해서 식물체내(植物體內) 이동(移動)을 한 것 같은 상(像)이 관찰(觀察)되었다. 4.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 관찰(觀察) 결과(結果) 사부유세포(篩部柔細胞)에는 이상결정물(異常結晶物)이 관찰(觀察)되었다. 5. 아접(芽接), 절접(切接), 녹지접(綠枝接)에 의(依)한 접목전여(接木傳染)이 왕쥐똥나무, 쥐똥나무, 광나무에 가능(可能)했으며 점아(接芽)나 접수(接穗)가 활착(活着)되지 않았어도 전염(傳染)이 가능(可能)했다. 6. 마름무늬매미충에 의(依)하여 왕쥐똥나무와 쥐똥나무에 충매전염(虫媒傳染)이 되었다. 7. Teracyclin 1,000 ppm 수용액(水溶液)에 근부침지(根部浸漬)한 결과(結果) 일시적(一時的)인 치료효과(治療效果)는 있었으나 영구치료(永久治療)는 되지 않았다. 8. DAPI 염색(染色)에 의(依)한 형광현미경(螢光顯微鏡) 관찰결과(觀察結果) 병원체(病原體)가 사부요소(篩部要素)에 존재(存在)함이 확인(確認)되었다. 9. 전기영동법(電氣泳動法)에 의(依)한 단백질(蛋白質) 및 peroxidase 분리상(分離像)이 건전주(健全株)와 이병주(羅病珠)의 엽(葉)에서 뚜렷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 PDF

옥시테트라싸이클린의 수확후수간주입(收穫後樹幹注入)에 의(依)한 대추나무 빗자루병(病) 방제(防除) (Control of Jujube Witches'-Broom by Post-Harvest Trunk Injection of Oxytetracycline)

  • 박원철;나용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12-16
    • /
    • 1993
  • 대추를 수확(收穫)한 직후(直後)에 oxytetracycline-HCl(OTC)용액(溶液)를 수간주입(樹幹注入)하여 대추나무 빗자루병(病)에 대(對)한 방제효과(防除效果)를 조사(調査)하였다. 빗자루병(病)에 결린 대추나무(흉고직경(胸高直徑) 9-16cm)에 크기에 따라 약량(藥量)을 늘리면서 주당(株當) OTC 2g 내지 6g을 물 0.51 및 1.01에 녹여 9월(月)에서 10월(月) 사이에 중력식(重力式) 수간주입(樹幹注入)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2년간(年間) 병징(病徵)이 억제(抑制)되고 건전(健全)한 모습으로 회복(回復)되었다. 0.51와 1.01수용액간(水溶液間)에 방제효과(防除效果)의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이와 같이 비교적(比較的) 고농도(高濃度)의 OTC를 주입(注入)하였을 경우(境遇) 우려(憂慮)되는 약해(藥害)가 이듬해 새로 나온 잎에서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한편 회복(回復)된 나무의 사부조직(篩部組織)을 DAPI(4'-6-diamidino-2-phenylindole.2HCl)로 염색(染色)하여 형광현미경(螢光顯微鏡)으로 검경(檢鏡)하여 보았던 바 마이코플라스마-특이(特異) 형광반응(螢光反應)이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조직내(組織內)의 마이코플라스마가 소멸(消滅)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