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tard powder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7초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structured Black Goat Jerky with Various Types of Ultra-Ground Seaweed Powders

  • Ui-Bin Baek;Hack-Youn Kim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483-497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ltra-ground seaweed powders (USP)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proximate composition, mineral contents, pH, color, shear force, sensory evaluation, electronic nose, and electronic tongue) of restructured black goat jerky. Restructured black goat jerky was prepared using three different treatments, i.e., 3% (w/w) each of ultra-ground sea tangle (ST; Undaria pinnatifida), sea mustard (SM; Saccharina japonica), and sea string (SS; Gracilaria verrucosa) powders. Moisture and ash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SP-treated group than in the control (p<0.05). Potassium, calcium, and zinc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M than in the other USP-treated groups (p<0.05). In contrast, pH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T and SM than in the control and SS (p<0.05). CIE L*, CIE a*, CIE b*, and shear forc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USP-treated groups than in the control (p<0.05). Sensory evaluation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aste, texture, seaweed-like odor, and goaty flavor (p<0.05).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peak graph analysis of the electronic nose showed that the SS differed the most from the control compared with the other USP-treated groups, owing to the seaweed odor of ultra-ground SS powder. The PCA and ranking analysis of the electronic tongue showed that the umami taste of the SM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and other USP-treated groups. Therefore, the potassium, calcium, zinc contents, and umami taste of reconstituted black goat jerk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M than in the control and other USP-treated groups.

김치발효 관련 젖산균에 대한 향신료의 항균력 (Antimicrobial Activity of Exracts from Spices on Lactic Acid Bacteria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 김미경;정현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1-87
    • /
    • 1998
  •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spices microorganisms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32 kinds of spices such as allspice, mount, basil, bay leaves, caraway, cardamon, celery, chilli powder, chives, cinnamon, clover, coriander, cumin, dill, fennel, garlic, horseradish, marjorarm, mugwort, mustard, nutmeg, onion, oregano, paprika, parsely, pepper, peppermint, rosemary, sage, tarragon, thyme and tumeric were extracted with water, ethyl ether, ethyl acetate and ethanol. Fractions were tested fo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The extracts of 28 kinds of spices except caraway, cardamon, paprika and tarragon by water extraction, those of 29 kinds except arrowroot, paprika and tarragon by ethyl ether extraction, those of 30 kinds except paprika and tarragon by ethyl acetate extraction, and those of 29 kinds except clover, paprika and tarragon by ethanol extraction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On the other hand, the extracts of 28 kinds of spices except caraway, cardamon, paprika and thyme by water extraction, those of 27 kinds except cardamon, cumin, paprika, tarragon and thyme by ethyl ether extraction, thou of 30 kinds except paprika and thyme by ethyl acetate extraction, and those of 28 kinds except cardamon, cumin, paprika and thyme by ethanol extraction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Leuconostoc mesenteroides.

  • PDF

새싹채소 혼합분말이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egetable Sprout Power Mixture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 이재준;이유미;신형덕;정영심;이명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965-974
    • /
    • 2007
  • 본 연구는 새싹채소 혼합분말(배추, 유채, 브로콜리, 적무, 갓, 알팔파, 메밀 및 보리)이 혈액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게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식이의 5%와 10%로 4주간 급여한 후, 체내 지방조직의 지방 함량, 지방세포의 크기, 지방합성 관련 효소인 ME, 6PGDH, G6PDH, LPL 활성, 혈청 지질성상, 인슐린 및 렙틴 농도를 측정하였다. 체중증가량은 고지방식이만을 급여한 HF-N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고지방식이와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동시에 급여한 HF-CSL군과 HF-CSH군은 정상지방섭취군인 NF-C군과 유사하였다. 고지방식이만을 급여한 HF-N군은 지방조직의 무게와 지방 함량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HF-CSL군과 HF-CSH군은 NF-C군보다도 낮은 경향이었다. 혈청 중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농도의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급여한 HF-CSH군이 정상지방섭취군인 NF-C군보다도 낮았으며,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NF-C군보다 높았다. 혈청 인슐린과 렙틴 농도는 HF-N군이 다른 군들에 비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효과는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지방세포의 크기도 HF-N군이 다른 군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컸다.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방세포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이었다. 지방조직의 지방합성관련 효소인 ME, 6PGDH 및 G6PDH 활성은 지방조직 모두 HF-N군에서 가장 높았다.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고농도 첨가한 HF-CSH군은 ME와 G6PDH 활성이 가장 낮았으며, NF-C군과는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방조직의 ME, 6PGDH 및 G6PDH 활성은 저하되었다. 지방조직의 HR-LPL과 TE-LPL 활성은 HF-N군이 다른 군들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HR-LPL과 TE-LPL 활성 모두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고농도의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첨가한 HF-CSH군은 NF-C군가 비슷한 LPL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흰쥐의 경우 식이섬유소를 첨가하지 않고 고지방식이만을 급여 시 체중 및 체지방 함량 증가,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함량 증가, 지방합성관련 효소 활성 증가를 유도하며, 식이 지방의 섭취 수준이 심혈관계질환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증가된 이러한 결과는 새싹채소 혼합분말 섭취로 혈청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새싹채소 혼합분말이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슐린, 렙틴 농도의 변화와 지방조직의 지방합성관련 효소의 활성 변화로 유도된 것으로 사료된다.

삼백초 추출물 첨가 요구르트를 이용한 드레싱 제조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Dressing Preparation from Yogurt Added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Extract)

  • 황보미향;김현정;유미희;이지원;이인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2-29
    • /
    • 2006
  • 삼백초 추출물을 0.4% 첨가한 요구르트의 제조시 유고형분 함량을 14%, 16%, 18%로 달리하여 pH 및 산도를 측정한 결과 각 구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점도의 경우 18%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점도 값을 나타내어 드레싱의 제조시의 발효기질 함량을 18%로 결정하였다. 삼백초 요구르트를 첨가한 드레싱의 최적 제조공정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였다. 삼백초 요구르트 드레싱 제조를 위해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변수로 요구르트 첨가량을 (30, 40, 50, 60 및 70 g), 마요네즈첨가량 (6, 12, 18, 24 및 30 g) 소금 (0.1, 0.3, 0.5, 0.7 및 0.9 g)에 대하여 중심합성계획을 하였다. 그리고 드레싱의 관능적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각 제조 조건별 색, 향기, 맛, 조직감, 후맛,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한 contour map을 superimposing하여 최적 제조조건 범위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삼백초 요구르트 드레싱 제조의 최적배합비율은 요구르트 61.20%, 마요네즈 23.50%, 소금 0.58%, honey 11.75%, mustard 1.76%, tabasco pepper sauce 0.23%, white wine 0.94% 및 white pepper 0.04%로 나타났다.

미역귀를 이용한 잼의 제조 (Preparation of Jam Using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 김선재;문지숙;김정목;강성국;정순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98-602
    • /
    • 2004
  • 미역귀의 알긴산 함량은 알칼리가용성 알긴산 추출법에 의한 미역귀 알긴산 수율이 33.8%,비교구로서 미역줄기의 알긴산 수율이 22.3%를 나타내어 알긴산 수율은 미역귀가 높게 나타났다. 미역귀 잼의 주원료인 미역귀 페이스트는 미역귀를 자숙, 염장하여 건조한 것을 물에 침지하여 탈염하고 물기를 뺀 후, 2.5배의 물을 가하여 초퍼와 균질기를 차례로 써서 균질화한 다음, 50 mesh 체로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미역귀 잼은 미역귀 페이스트에 설탕, HM pectin 및 유기산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을 순차적으로 첨가하면서 일정 농도까지 가열, 농축한 다음 잼 제품으로서 품질을 유지하고 미역취를 차폐할 목적으로 계피가루와 합성 딸기향을 일정량 가하여 제조하였다. 잼 제조시 설탕, 펙틴, 유기산 및 유기염이 제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계적 및 관능적으로 살펴본 결과, 미역 페이스트에 설탕 60%(w/w), HM pectin 0.75%(w/w), citric acid 0.3%(w/w)를 첨가하여 62$^{\circ}$Brix로 한 제품이 물성면에서 양호하였고, 미역 특유의 바람직하지 못한 해조취를 차폐하기 위해 합성 딸기향 0.08%(w/w)을 첨가한 미역귀 잼이 관능적으로 우수하였다.

국조리의 과학화에 관한 연구 - 맑은장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ndardizing of Recipe for Soup Making - Focused on Clear Soup -)

  • 홍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595-602
    • /
    • 1999
  •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traditional Korean soup recipe which can be used for food service and meet consumers' taste with a focus on clear soup such as clear radish soup, sea mustard soup, dried pollack soup, croaker soup, and backbone soup. The developed sample(S1) showed the highest level of overall preference among consum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especially between S1 and others.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each soup showed a sligh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kind of soup, however, all items had an effect on overall preference. One of the standardized recipe to make broth was presented as follows: The ingredients for broth consists of the shank or brisket of beef(100 g), water(10 cup), spring onion(20 g), onion(30 g), garlic(10 g), salt(1 teaspoonful), and black pepper power(1/10 teaspoonful). 1) The meat part of shank or brisket is prepared. 2) The unfrozen meat is immersed in cold water for 20 min, whereby blood is extracted from the meat. 3) 10 cups of water are poured into the pan and boiled enough. 4) After water has boiled enough, the lump of meat with blood extracted is cut into 2 or 3 pieces and is boiled in the boiling water by high-intensity heat with the pan lid uncovered, and dirty foam is scooped out while boiling. 5) If the broth begins to be extracted, the intensity of heat is lowered for boiling for one hour or so, and then again boiled for 30 min with spring onion, garlic, onion and the like. If the broth is extracted enough, spring onion, garlic, onion, and others are removed from the pan. the broth is seasoned with salt and black pepper powder, and foam is removed by using fine mesh sieve or gauze. Then, 6 cups of clear broth is obtained finally.

  • PDF

물리적 방법(PSL, TL)을 이용한 선종별 조사처리 식품의 검지 특성 (Detection of irradiated food using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and thermoluminescence)

  • 정유경;이지연;강태선;조천호;이재황;최장덕;권기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399-404
    • /
    • 2016
  • 국내 조사처리 허용품목을 대상으로 다소비, 다빈도, 다수입 품목 12종(감자, 양파, 마늘, 건호박, 목이버섯, 검은콩, 청국장가루, 미역, 고춧가루, 라면수프, 옥수수차, 분말 녹차)을 선정하여 조사처리 선원에 따른 물리적 확인시험법(PSL 및 TL)을 적용하여 조사처리 여부를 확인하였다. PSL 적용 결과 모든 비조사 시료에서는 700 count/60초($T_1$) 이하의 값을 나타내어 음성 또는 비조사판정이 가능하였다. 감마선, 전자선과 X선을 처리한 시료에서는 879-2,414 (intermediate)와 19,951-65,919,035 (positive) 범위로 수치가 확인되었으며 조사 선원에 따른 수치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TL 적용 결과 비조사 시료에서는 $300^{\circ}C$ 이상에서 자연방사선에 의한 peak를 나타내는 비특이적인 글로우 곡선을 보였으며 3개의 선종별 TL 분석 결과에서는 $150-25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최대 peak를 나타내었다. 한편, 선종별 TL 강도 차이는 청국장 분말의 경우 감마선(${\gamma}$)>전자선(E)>X선(X), 고춧가루와 분말 녹차는 ${\gamma}$>X>E, 미역, 목이버섯, 마늘은 E>${\gamma}$>X, 양파, 감자, 검은콩는 E>X>${\gamma}$, 라면수프와 옥수수차는 X>E>${\gamma}$, 건호박은 X>${\gamma}$>E의 순서로 TL 강도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함께, TL ratio($TL_1/TL_2$) 값은 조사처리구에서 0.1143-2.9318 범위를 나타내어 국내 단일시료 조사판정 범위인 TL ratio 0.1 이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조사처리선원에 따른 조사여부 판정은 현행 물리적 확인시험법으로 가능하였으며 광물질의 함량과 조사처리 선량 등 식품 중 조사처리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홍화 황색소를 이용한 모염색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Wool Dyeing with Yellow Dye from Carthamus Tinctorius L.)

  • 신윤숙;손경희;류동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971-1978
    • /
    • 2009
  • 본 연구는 염색 공정의 표준화와 재현성을 확립하기 위해 홍화 황색소의 모섬유에 대한 염색성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홍화 황색소는 물로 추출한 후 농축,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염색 온도 및 시간, 염료 농도, 염액의 pH 등에 따른 염착성과 색상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세탁 및 일광견뢰도를 평가하였다. 염착량은 $50^{\circ}C$까지 서서히 증가하다가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90^{\circ}C$에서 최고 값을 나타냈다. 염착은 초기 10분 이내에 빠르게 일어났으며 이후 서서히 증가하다가 40~60분 사이에 평형에 도달하였다. 염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량이 계속 증가하여 점점 진하고 어두운 노랑색이 되었다. 산성 조건에서 염착이 잘 되었으며 pH 3.0에서 최대염착량을 보였다. 얻은 결과를 근거로 최적 염색 조건은 $90^{\circ}C$, 40분, pH 3.5으로 설정하였으며, 최적 조건에서 염색한 시료들 간의 색차는 0.53~1.75로서 재현성이 우수하였다. 후매염은 염착성 증진에 효과가 없었으나, 다양한 톤과 농담의 노랑색을 얻을 수 있었다. 세탁(드라이크리닝)견뢰도는 4/5등급으로 좋은 편이었으나 20시간 조사 후 일광견뢰도는 Fe과 Cu매염한 경우 3/4등급으로 색차가 가장 적었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매염제가 색상톤을 다양하게 하는 효과는 있었지만, 염착량과 견뢰도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였다. 홍화 황색소는 모염색에서 매염제 없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고, 따라서 환경에 피해를 주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