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intervention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외 중등도 및 중증 치매 노인 대상 음악 중재 연구 고찰 (A Review of Music Intervention Studies With Elderly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Dementia)

  • 이현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9권2호
    • /
    • pp.1-26
    • /
    • 2022
  • 본 연구는 중등도 및 중증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외 음악 중재 연구를 고찰하여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참여자의 임상적 특성이 고려된 음악 중재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검색을 통해 선정된 17편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종속 변인은 행동심리증상 등 심리·정서적 변인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참여유형을 살펴보면 내담자의 활동 참여가 요구되는 적극적 유형이 감상만 하는 수용적 유형보다 많았다. 중재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과반수가 라이브 음악, 친숙하고 선호하는 음악 선곡, 리듬기반 연주활동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유형의 음악중재 내용을 살펴보면 음악에 맞춰 그룹 연주나 노래를 하며 유발되는 감정을 말하도록 하는 것으로 참여자가 중등도와 중증이 혼합된 경우와 중증 치매만인 경우 차이점이 없어 중증 치매가 지닌 기능적 한계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중증 치매 노인의 의미있는 음악경험을 위한 중재구성과 내담자의 치매 진행 정도에 따른 음악치료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리듬 중재 연구의 중재 구성 및 논거에 대한 고찰 (Review of Studies Using a Rhythm Task Intervention and the Rationale for its Formulation)

  • 정현주;임정현;황수연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5권1호
    • /
    • pp.95-118
    • /
    • 2018
  • 최근 근거중심의 연구와 실제가 강조되면서 중재 연구들이 보다 엄격한 논거를 토대로 수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리듬 과제를 사용한 중재 연구의 특성과 치료 목표별 리듬 과제를 고찰한 후 중재 구성 및 논거를 분석하였다. 선정 기준에 부합한 총 4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7개의 중재 항목 및 논거 제시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재제공자 전문성과 중재 구성틀, 중재 기간, 중재 형태, 중재 절차, 활동 및 음악에 대한 논거 제시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총 7개 중재 관련 항목 중 4개 이상 항목에 논거를 제시한 연구는 10편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논거에 대한 추가 분석을 수행하였다. 10편 모두 중재제공자, 중재 구성틀, 활동 논거 및 음악 논거를 제시하였으나 중재 유형(개별 또는 집단)과 구성된 중재 기간에 대한 논거는 동일한 수준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또한 리듬 중재 유형에 따른 논거 수준을 살펴본 결과, 기존의 프로토콜을 활용한 4편의 연구는 활동 논거와 음악 논거가 명료하게 제시된 반면 연구자가 구성한 중재를 활용한 6편의 연구는 음악 논거보다는 활동 논거를 중점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음악치료가 근거 중심의 학문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중재 항목의 타당성과 중재 구성에 대한 논거를 더욱 충실히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음악중재가 간이식 환자의 환경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on Environmental Stress and Sleep Quality in Patients with Liver Transplantation)

  • 이인선;박형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5-85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on environmental stress and sleep quality in liver transplant patients who are receiving care in one-person isolation rooms of an ICU. Methods: The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design pre-and-post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articipants were 37 patients (1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in the control group) who, after receiving liver transplant, were hospitalized in one-person isolation rooms of the ICU. The study covered patients admitted between August 2016 and December 2017. Earplugs and sleep shades were provided as ordinary care to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music intervention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ree times a day for 30 minutes each from the first day of hospitalization. Results: The first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music intervention will experience a lower environmental stress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Z=-3.212, p<.001). The secon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music intervention will experience a higher sleep quality than the control group" was also supported (t=3.715, p=.001). Conclusion: Findings show that music intervention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environmental stress and improve sleep quality in liver transplant patients in the ICU.

음악중재가 인공호흡기 유지 중환자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on Pain among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Ventilatory Support)

  • 안미나;안혜영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5권4호
    • /
    • pp.247-256
    • /
    • 201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istening to music on pain and vital signs of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ventilatory support in intensive care units during nursing treatment (changes of posture and tracheal suction). Methods: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to use an mp3 player and a speaker to let them listen to classical music by Mozart during nursing treatmen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pain (Critical-Care Pain Observation Tool-K) was used. The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by using PASW Statistics 20.0. Results: Hypothesis "The scores for pain would differ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music intervention during nursing treatment, and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Conclusion: Application of music intervention during nursing treatment for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ventilatory support in intensive care unit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pain. Therefore, music intervention during nursing treatment for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ventilatory support can be used as non-pharmaceutical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pain for the patients.

국외 파킨슨병 환자 대상 음악을 활용한 신체재활 중재연구 고찰 (A Review of Interventions Using Music for Physical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 권하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2호
    • /
    • pp.33-60
    • /
    • 2023
  • 본 연구는 국외 파킨슨병 환자의 신체 재활을 위해 음악을 사용한 중재 연구의 연구 특성을 분석 및 고찰한 연구로 최근 20년간 진행된 연구 중 24편의 중재연구를 음악사용 수준에 따라 분류하여 요약 제시하였다. 분석된 연구 내용을 통해 파킨슨병 환자의 운동 산출 시 움직임의 시작 및 종료와 관련된 타이밍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음악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신체 기능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제공한 음악사용 수준의 차이에 따라 음악 기반 중재연구(music-based intervention) 6편과 리듬기반 중재연구(rhythm-based intervention) 18편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음악 수준에 따른 연구 특성을 고찰 후 음악사용의 공통 요소인 '리듬'이 대상자의 문제 개선에 적합한 중재 요소였음을 결론 도출하였다. 또한 연구자의 특성이 음악 요소의 활용 범위 및 음악사용의 정도와 관련이 있으며, 이것이 중재 효과의 다양성과 관련이 있다고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임상 환경에서 파킨슨병 환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신체기능 문제 개선을 위한 신체 재활 중재에 적용이 가능한 음악사용의 근거를 학술적으로 제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어머니로의 역할 전환 지원을 위한 음악중재 프로그램 사례연구 (Case Study of Music Intervention for Supporting Maternal Transition)

  • 김수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7권1호
    • /
    • pp.61-77
    • /
    • 2010
  • 본 연구는 모성전환 지원의 일환으로 노래 부르기를 격려하기 위해 가정을 방문하여 음악중재 프로그램을 교육한 후 2주간 아이에게 노래 부르기를 실시한 어머니들의 경험과 의견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2개월에서 11개월 사이의 건강한 아이를 둔 어머니들 중 참여를 원하는 어머니들을 선정하여 어머니 유아에게 노래 부르기에 대한 교육적인 정보와 함께 노래 부르기를 쉽게 하실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방법을 제공 한 뒤 2주 동안 스스로 모자 상호작용 시 노래를 불렀을 때 느낀 경험과 의견 등을 종합하기 위한 인터뷰가 실시되었다. 구조적, 비구조적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매일 아이에게 노래를 부르면서 경험한 것과 실제 노래 부르기가 어떤 도움을 주었는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네 명의 어머니 모두 긍정적인 경험과 노래 부르기를 통한 양육활동 및 부부관계의 도움을 보고하였으며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모성 전환 시 도움이 필요한 여러 대상군의 어머니들에게로의 적용 가능성이 발견되었으며, 추후 연구를 통한 효과성 검증이 요구된다.

  • PDF

음악치료를 적용하여 호전된 신체형 장애 여환 치험 1례 (Application of Music-Listening Intervention for Somatoform Disorder : A Case Report)

  • 조혜영;김윤용;권용주;조성훈;황의완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1-271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port the effect of music-listening intervention and relaxation for somatoform disorder. Methods : A 51 year-old female patient suffered from several somatic symptoms without identifiable physical cause. We saw her symptoms were related to her psychological factors. We applied music-listening intervention and relaxation besides Korean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to make her be aware of her psychological condition such as inner conflict and know symptoms are related to her psychological condition. Results : After the music-listening intervention and relaxation, the patient revealed her unrecognized hidden feelings and emotions and got some insights about herself. Then somatic symptoms such as dysesthesia and urinary frequency and anxiety were decreased considerably.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usic-listening intervention and relaxation can be effective on improvement of soma to form disorder.

  • PDF

탈북민 대상 음악중재 연구 고찰 : 외상 후 성장을 중심으로 (Review of Music Intervention Research With North Korean Defectors: A Focus on Posttraumatic Growth)

  • 김선아;박혜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1호
    • /
    • pp.21-4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민을 대상으로 한 음악중재 연구를 고찰하여 외상 후 성장을 중심으로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11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탈북민 대상 음악중재의 일반적 특성, 중재 내용 및 치료적 근거를 살펴보고, 음악중재를 통한 개인의 변화와 중재목표, 측정도구·측정결과 및 발달 시기에 따른 외상 후 성장과의 관련변인을 확인하였다. 분석한 결과 음악은 안전하고 친숙한 환경을 제공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촉진하였으며, 음악중재를 통하여 개인 내적인 힘을 발견하여 일상에서의 적응력이 향상되었으며, 사회·관계 영역에서 긍정적으로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미래를 살아갈 자신감이 강화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탈북민 대상 음악중재 논문을 외상 후 성장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향후 외상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음악중재의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신경계 질환자 대상의 국내 음악중재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s on Music Intervention for Neurological Patients in Korea)

  • 정성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65-7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music intervention for neurological patients in Korea and to explore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 on functional rehabilitation of neurological patients. Methods: This systematic review examined literature from 2005 to 2010. The existing literature was searched in the electronic databases of RISS and KISS using the following keywords: music, rhythmic movement, stroke, brain injury, dementia, Parkinson, spinal cord injury. Seventy-seven studies were founded through the database. After The exclusion of duplicates, case studies, literature review, and irrelevant studies, nine studies were included for analysis. Results: They included nine quasi-experimental studies. The medical diagnose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troke, dementia, brain injury, and spinal cord injury. Among nine studies, only two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nursing area. Eight studies used comprehensive music programs composed of health education, gait training, vocal training, or relaxation therapy, and these comprehensive programs were effective in the areas of physical and psychosocial treatment. Seventeen sessions were provided on average throughout intervention, and the average duration of each session was 49.4 minutes. Conclusion: Comprehensive music inter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neurological problem.

화병환자를 대상으로 한 음악청취 중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iveness of Music-listening intervention on Hwa-byung Patients)

  • 박소정;정선용;황의완;김종우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3-41
    • /
    • 2007
  • Objective: The objectives of this preliminary study was to develop cost-effective and accessible self-intervention program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music listening self intervention program for Hwa-byung patients, who had undergone conflicts with family and economical problems, in quantity and quality. Subjects: Seven middle age women who bad been diagnosed with Hwa-byung by Hwa-Byung Diagnotic interview Schedule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Method: Participants learned music listening techniques and visited hospital three times a week during 2 weeks. Music-listening self intervention for Hwa-byung patients was consisted of three sad musics(in minor) and three sedative musics(in major) and perlO1med at home for 2 weeks. Patient's somatic symptoms and self awareness (of Hwa-byung scale), anxiety(STAD, anger(STAXD, depressive mood(BDD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6 weeks later after study completed. And various and subjective responses of Music-listening self intervention for Hwa-byung patients were collected by semi- structured interview made for this study. Results: Their Somatic symptoms(especially insomnia), self-awareness of Hwa-byung and depressive mood were improved except anxiety, anger. This improvement had maintained over a 6-week follow-up period. Patients had used constantly the music-listening program for Hwa-byung patients after the study completed. Conclusion: The music-listening program will be an effective for Hwa-byung patient's somatic symptoms and depressive mood and had been used constantly by them. But, much methodological supplementation will be needed to assess clinical effects on this progra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