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information retrieval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1초

How Query by humming, a Mus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is Being Used in the Music Education Classroom

  • Bradshaw, Brian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4권3호
    • /
    • pp.99-106
    • /
    • 2017
  • This study does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how music by humming is being used by music educators in the classroom. Music by humming is part division of music information retrieval. In order to define what a mus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is first I need to define what it is. Berger and Lafferty (1999) define information retrieval as "someone doing a query to a retrieval system, a user begins with an information need. This need is an ideal document- perfect fit for the user, but almost certainly not present in the retrieval system's collection of documents. From this ideal document, the user selects a group of identifying terms.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IR, one could view this group of terms as akin to expanded query." Music Information Retrieval has its background in information systems, data mining, intelligent systems, library science, music history and music theory. Three rounds of surveys using question pro where completed.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variances in knowledge, training and level of awareness of query by humming, mus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Those variance relationships where based on music specialty, level that they teach, and age of the respondents.

Analysis of Pre-Processing Methods for Music Information Retrieval in Noisy Environments using Mobile Devices

  • Kim, Dae-Jin;Koo, Ddeo-Ol-R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8권2호
    • /
    • pp.1-6
    • /
    • 2012
  • Recently, content-based music information retrieval (MIR) systems for mobile devices have attracted great interest. However, music retrieval systems are greatly affected by background noise when music is recorded in noisy environments. Therefore, we evaluated various pre-processing methods using the Philips method to determine the one that performs most robust music retrieval in such environments. We found that dynamic noise reduction (DNR) is the best pre-processing method for a music retrieval system in noisy environments.

A Comparative Analysis of Music Similarity Measures in Mus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 Gurjar, Kuldeep;Moon, Yang-Sae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4권1호
    • /
    • pp.32-55
    • /
    • 2018
  • The digitization of music has seen a considerable increase in audience size from a few localized listeners to a wider range of global listeners. At the same time, the digitization brings the challenge of smoothly retrieving music from large databases. To deal with this challenge, many systems which support the smooth retrieval of musical data have been developed. At the computational level, a query music piece is compared with the rest of the music pieces in the database. These systems, music information retrieval (MIR systems), work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general music retrieval, plagiarism detection, music recommendation, and musicology. This paper mainly addresses two parts of the MIR research area. First, it presents a general overview of MIR, which will examine the history of MIR, the functionality of MIR, application areas of MIR, and the components of MIR. Second, we will investigate music similarity measurement methods, where we provide a comparative analysis of state of the art methods. The scope of this paper focuses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a few key MIR systems. These analyses help in understanding the current and future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 field of MIR systems and music similarity measures.

A Robust Content-Based Music Retrieval System

  • Lee Kang-Kyu;Yoon Won-Jung;Park Kyu-Sik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ICEIC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Informations and Communications
    • /
    • pp.229-232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bust music retrieval system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of music. New feature extraction method called Multi-Feature Clustering (MFC) is proposed for the robust and optimum performance of the music retrieval system. It is demonstrated that the use of MFC significantly improves the system stability of music retrieval with better classification accuracy.

  • PDF

내용기반 음악 검색 시스템에서의 검색 속도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trieval Speed Improvement from Content-Based Mus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 윤원중;박규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3권1호
    • /
    • pp.85-9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빠르고 안정적이면서도 높은 검색 성공률을 보장하는 내용기반 음악 정보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시스템 질의 구간이나 질의 길이에 따른 시스템 불안정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DB 구축 방법인 MFC기법과 각 Superclass별로 특징 벡터의 차수를 차등 적용하여 시스템의 검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법을 적용하였다. Superclass를 적용한 시스템은 SuperClass를 적용하지 않은 시스템과의 검색 성공률, 검색 속도 그리고 검색 Precision 비교 실험에서 대등한 성능을 유지하면서 검색 속도를 $20\%\~40\%$ 향상시켰다.

멜로디 시퀸스를 이용하는 내용 기반 음악 검색 알고리즘 (A Content-Based Music Retrieval Algorithm Using Melody Sequences)

  • 위조민;구경이;김유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1)
    • /
    • pp.250-252
    • /
    • 2001
  • With the growth in computer and network technologies, some content-based music retrieval system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ir retrieval efficiency does not satisfy user's requirement yet. Of course users hope to have a more efficient and higher precision for music retrieval. In this paper so for these reasons, we Propose an efficient content-based music retrieval algorithm using melodies represented as music sequence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s higher exact rate than the related algorithms.

  • PDF

선율의 음높이와 리듬 정보를 이용한 음악의 유사도 계산 알고리즘 (A Similarity Computation Algorithm Based on the Pitch and Rhythm of Music Melody)

  • 모종식;김소영;구경이;한창호;김유성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3762-3774
    • /
    • 2000
  • 컴퓨터 하드웨어 및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멀티미디어 정보 검색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멀티미디어 정보 검색 시스템은 텍스트와 이미지 위주로 발전하였으나 비디오와 오디오 정보, 특히 음악 정보를 위한 멀티미디어 정보 검색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최근의 음악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는 해당 음악 정보의 작곡가, 곡명 등과 같은 메타 정보만을 이용한 메타 정보 기반의 검색뿐만 아니라 음악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는 내용 기반 검색까지도 가능하다. 음악의 내용 기반 검색에서는 메타 정보 기반 검색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문자열에 대한 패턴 매칭보다는 멀티미디어 데이타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검색한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을 일정한 선율에 따른 음들의 배합으로 정의하고, 선율을 구성하는 음의 높이와 음의 길이 정보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두 음악 정보간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유사도 계산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해 동요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안된 유사도 계산 알고리즘이 기존에 제안된 내용기반 음악 정보 검색 시스템과 비교하여 음악의 선율 정보를 기준으로 음악들간의 유사도를 보다 정확하게 효과적으로 계산하였다.

  • PDF

음악 특징점간의 유사도 측정을 이용한 동일음원 인식 방법 (Same music file recognition method by using similarity measurement among music feature data)

  • 성보경;정명범;고일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99-106
    • /
    • 2008
  •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웹 포털, 유료 음원서비스 등) 디지털 음악의 검색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디지털 음악의 검색은 음악 데이터에 포함된 자체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메타 정보가 다르게 작성되었거나 작성되지 않은 경우 정확한 검색은 어렵다. 요즘 이러한 문제의 보완 방안으로 음악자체를 이용하는 내용기반정보 검색 기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의 파형에서 추출된 특징 정보간의 유사도 측정을 통하여 동일음원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디지털 음악의 특징 정보는 단순화시킨 MFCC (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음악의 파형으로부터 추출하였다. 디지털 음악간의 유사도는 Vision 및 Speech Recognition 분야에서 사용되던 DTW (Dynamic Time Warping) 기법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제안된 동일 음원 인식 방법의 검증을 위한 같은 장르에서 무작위 추출된 1000곡에서 시행한 500번의 검색은 모두 성공했다. 검색에 사용된 500개의 디지털 오디오는 60개의 디지털음원을 압축방식과 비트율을 다르게 조합하여 만들었다. 실험의 결과로 DTW을 이용한 유사도 측정법이 동일음원을 인식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 PDF

Feature Transformation based Music Retrieval System

  • Heo, Jung-Im;Yang, Jin-Mo;Kim, Dong-Hyun;Yoon, Kyoung-Ro;Kim, Won-Il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8권3호
    • /
    • pp.192-195
    • /
    • 2008
  • People have tendency of forgetting music title, though they easily remember particular part of music. If a music search system can find the title through a part of melody, this will provide very convenient interface to us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enables this type of search using feature transformation function. The original music is transformed to new feature information with sequential melodies. When a melody that is a part of search music is given to the system, the music retrieval system searches the music similar to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melody. Moreover, this transformation function can be easily extended to various music recognition systems.

Music Information Retrieval(MIR)을 활용한 음악적 리듬의 시각화 연구 -Onset 검출(Onset Detection) 알고리즘에 의한 시각화 어플리케이션 (A Study on Visualization of Musical Rhythm Based on Music Information Retrieval)

  • 최수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075-1080
    • /
    • 2009
  • 이 글은 Music Information Retrieval(MIR) 기법을 사용하여 오디오 콘텐츠의 리듬 정보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특히 MIR을 활용한 간단한 시각화(sound visualization) 어플리케이션을 소개함으로써 음악 정보 분석이 디자인, 시각 예술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음악적 정보를 시각 예술로 담아내려는 시도는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화가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80년대 이후에는 컴퓨터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사운드와 이미지를 디지털 영역에서 쉽게 하나로 다룰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오디오 비주얼 예술작품들이 등장하였다. MIR은 오디오 콘텐츠로부터 음악적 정보를 분석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기술로 최근 디지털 콘텐츠 시장의 확장과 더불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웹이나 모바일에서는 이미 다양한 상용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되고 있는데 query-by-humming과 같은 음악 인식 어플리케이션이 대표적인 경우이다. 이 글에서는 onset 검출(onset detection)을 중심으로 음악적 리듬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살펴보고 기본적인 조형원리에 따라 이를 시각화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예를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