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enhancement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19초

다중 인코히어런트 평면파의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고분해능 알고리즘 (High-Resolution Algorithm for Direction Finding of Multiple Incoherent Plane Waves)

  • 김영수;이성윤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9A호
    • /
    • pp.1322-1328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등간격 선형어레이로 입사하는 다중 인코히어런트 평면파의 도래각을 추정하기 위하여 신호부각법과 결합된 MUSIC(SE-MUSIC)을 제안한다. 제안된 SE-MUSIC 알고리즘은 다음 두 가지 과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i) 먼저 이상적인 공분산행렬이 갖는 특성을 가지며 Frobenius norm 면에서 추정된 공분산행렬에 가장 가까운 부각된 행렬을 찾고 (ii) 다음으로 부각된 행렬에 MUSIC 방법을 적용하여 입사신호의 도래각을 추정한다. 낮은 신호대 잡음비 환경에서도 제안된 SE-MUSIC이 기존의 MUSIC보다 분해능면이나 통계적 성능 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제공함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 PDF

Study on the influence of Alpha wave music on working memory based on EEG

  • Xu, Xin;Sun, Jiawe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2호
    • /
    • pp.467-479
    • /
    • 2022
  • Working memory (WM), which plays a vital role in daily activities, is a memory system that temporarily stores and processes information when people are engaged in complex cognitive activities. The influence of music on WM has been widely studied. In this work, we conducted a series of n-back memory experiments with different task difficulties and multiple trials on 14 subjects under the condition of no music and Alpha wave leading music. The analysis of behavioral data show that the change of music condit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uracy and time of memory reaction (p<0.01), both of which are improved after the stimulation of Alpha wave music. Behavioral results also suggest that short-term training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working memory. In the further analysis of electrophysiology (EEG) data recorded in the experiment, auto-regressive (AR) model is employed to extract features, after which an average classification accuracy of 82.9% is achieved with support vector machine (SVM) classifier in distinguishing between before and after WM enhancement.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at Alpha wave leading music can improve WM, and the combination of AR model and SVM classifier is effective in detecting the brain activity changes resulting from music stimulation.

EVRC 코덱으로 재생하는 음악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전처리 기법 (A Preprocessing Approach to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Music Produced by the EVRC)

  • 남영한;하태균;전윤호;김재수;박섭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5C호
    • /
    • pp.476-485
    • /
    • 2003
  • 이 논문에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음성 압축 표준의 하나인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c) 코덱으로 재생되는 음악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전처리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EVRC는 음성을 압축하는 목적으로 최적화되었기 때문에, 음악을 압축하여 전송하면 품질을 심하게 저하시키기도 한다. EVRC로 음악을 압축할 때 발생하는 품질 저하 현상들 중에서 가장 심한 것의 하나가 끊김 현상인데, 끊김 현상은 프레임들이 연속적으로 Rate 1/8로 전송될 때 발생한다. EVRC는 장기 예측 이득의 크기를 바탕으로 입력 프레임들의 전송률을 결정하므로, 장기 예측 이득을 증가시켜 대부분의 프레임이 Rate 1 혹은 Rate 1/2로 압축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를 보면 이러한 전처리 방법은 음악 신호에 대해 잘 적용되며 끊김 현상이 발생하는 프레임의 개수가 상당히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Enhancement of Processing Capabilities of Hippocampus Lobe: A P300 Based Event Related Potential Study

  • Benet, Neelesh;Krishna, Rajalakshmi;Kumar, Vijay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9-123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influence of music training on different areas of the brain has been extensively researched, but the underlying neurobehavioral mechanisms remain unknown.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training for more than three years in Carnatic music (an Indian form of music) on the discrimination ability of different areas of the brain were tested using P300 analysis at three electrode placement sites. Subjects and Methods: A total of 27 individuals, including 13 singers aged 16-30 years (mean±standard deviation, 23±3.2 years) and 14 non-singers aged 16-30 years (mean age, 24±2.9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ingers had 3-5 years of formal training experience in Carnatic music. Cortical activities in areas corresponding to attention, discrimination, and memory were tested using P300 analysis, and the tests were performed using the Intelligent Hearing System. Results: The mean P300 amplitude of the singers at the Fz electrode placement site (5.64±1.8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singers (3.85±1.60; t(25)=3.3, p<0.05). The amplitude at the Cz electrode placement site in singers (5.90±2.1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non-singers (3.46±1.40; t(25)=3.3, p<0.05). The amplitude at the Pz electrode placement site in singers (4.94±1.89)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non-singers (3.57±1.50; t(25)=3.3, p<0.05). Among singers, the mean P300 amplitu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z site than the other placement sites, and among non-singers, the mean P300 amplitu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z site than the other placement sites, i.e., music training facilitated enhancement of the P300 amplitude at the Cz site.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re than three years of training in Carnatic singing can enhance neural coding to discriminate subtle differences, leading to enhanced discrimination abilities of the brain, mainly in the generation site corresponding to Cz electrode placement.

Enhancement of Processing Capabilities of Hippocampus Lobe: A P300 Based Event Related Potential Study

  • Benet, Neelesh;Krishna, Rajalakshmi;Kumar, Vijay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5권3호
    • /
    • pp.119-123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influence of music training on different areas of the brain has been extensively researched, but the underlying neurobehavioral mechanisms remain unknown.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training for more than three years in Carnatic music (an Indian form of music) on the discrimination ability of different areas of the brain were tested using P300 analysis at three electrode placement sites. Subjects and Methods: A total of 27 individuals, including 13 singers aged 16-30 years (mean±standard deviation, 23±3.2 years) and 14 non-singers aged 16-30 years (mean age, 24±2.9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ingers had 3-5 years of formal training experience in Carnatic music. Cortical activities in areas corresponding to attention, discrimination, and memory were tested using P300 analysis, and the tests were performed using the Intelligent Hearing System. Results: The mean P300 amplitude of the singers at the Fz electrode placement site (5.64±1.8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singers (3.85±1.60; t(25)=3.3, p<0.05). The amplitude at the Cz electrode placement site in singers (5.90±2.1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non-singers (3.46±1.40; t(25)=3.3, p<0.05). The amplitude at the Pz electrode placement site in singers (4.94±1.89)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non-singers (3.57±1.50; t(25)=3.3, p<0.05). Among singers, the mean P300 amplitu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z site than the other placement sites, and among non-singers, the mean P300 amplitu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z site than the other placement sites, i.e., music training facilitated enhancement of the P300 amplitude at the Cz site.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re than three years of training in Carnatic singing can enhance neural coding to discriminate subtle differences, leading to enhanced discrimination abilities of the brain, mainly in the generation site corresponding to Cz electrode placement.

Super-resolution in Music Score Images by Instance Normalization

  • Tran, Minh-Trieu;Lee, Guee-Sang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8권4호
    • /
    • pp.64-71
    • /
    • 2019
  • The performance of an OMR (Optical Music Recognition) system is usually determined by the characterizing features of the input music score images. Low resolution is one of the main factors leading to degraded image quality. In this paper, we handle the low-resolution problem using the super-resolution technique. We propose the use of a deep neural network with instance normaliz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music score images. We apply instance normalization which has proven to be beneficial in single image enhancement. It works better than batch normalization, which shows the effectiveness of shifting the mean and variance of deep features at the instance level.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an end-to-end mapping technique between the high and low-resolution images respectively. New images are then created, in which the resolution is four times higher than the resolution of the original images. Our model has been evaluated with the dataset "DeepScores" and shows that it outperforms other existing methods.

보컬 피치 검출의 성능 향상을 위한 보컬 강화 기술 (Vocal Enhancement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Vocal Pitch Detection)

  • 이세원;송재종;이석필;박호종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353-35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다성 음악 신호의 보컬 피치 검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음악 신호의 보컬 신호를 강화시키는 전처리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한 보컬 강화 기술은 입력된 다성 음악 신호로부터 반주 신호를 예측하고, 예측된 반주 신호를 입력된 보컬 신호의 크기에 맞춰 가공하여 반주 복사본 신호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주파수 영역에서 반주 복사본 신호를 원래 다성 음악 신호에서 제거하여 보컬이 강화된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원 음악 신호와 제안한 방법으로 보컬이 강화된 신호에 동일한 보컬 피치 검출 방법을 각각 적용하여 피치 검출의 정확도를 측정하였고, 제안한 기술에 의하여 피치 검출 정확도가 평균 7.1 % 포인트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Spatially Close Signals Separation via Array Aperture Expansions and Spatial Spectrum Averaging

  • Kang, Heung-Yong;Kim, Young-Su;Kim, Chang-Joo
    • ETRI Journal
    • /
    • 제26권1호
    • /
    • pp.45-47
    • /
    • 2004
  • A resolution enhancement method for estimating the direction-of-arrival (DOA) of signals is presented. The proposed method is by virtually expanding a real array into virtual arrays and then averaging the spatial spectrum of the virtual arrays, each of which has a different aperture size. Superior DOA resolutions are shown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algorithm, MUltiple SIgnal Classification (MUSIC), for incoherent signals incident on a uniform circular array.

  • PDF

음악 사용 기분조절 방략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Music in Mood Regulation)

  • 이정윤;김민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6권2호
    • /
    • pp.109-13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음악을 사용하여 기분을 조절하는 방략이 개인의 감정 경험과 실제로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방략을 사용하는 개인의 경향성이 성격특질, 음악 교육 경험, 성별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탐색하였다. 대학생 529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음악 사용 기분조절 척도, 성격5요인 척도, 정적/부적 감정 목록, 음악 교육 경험 여부에 관한 설문지를 실시하고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집단 간 평균 차이 검증으로 음악 사용 기분조절 방략과 개인차 변인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을 사용하여 기분을 조절하는 것은 부정적인 감정 완화보다는 긍정적인 감정 향상과 더 큰 연관성을 보였으며 평상시의 감정 상태보다는 음악을 감상하고 있을 때의 감정 상태와 더 높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교육을 받은 경우가 받지 않은 경우보다,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하게 음악을 사용하여 기분을 조절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성격5요인 중 음악 사용 기분조절 방략과 전반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특질은 우호성과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었으며, 성실성과 신경증 성향은 일부 특정 방략 사용만을 예측하였다. 위의 결과를 통해 음악을 듣는 것이 효과적인 기분조절 방략이며, 부적 감정 완화와 정적 감정 향상 목표를 달성하여 개인의 정서적 안녕감 및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과 이러한 효과가 개인 특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 제언을 논의하였다.

패턴화된 감각 증진(PSE)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즉각적 영향 (Immediate Effect of Patterned Sensory Enhancement (PSE) on Upper Limb Function after Stroke)

  • 한수정;권애지;박혜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1권1호
    • /
    • pp.1-19
    • /
    • 2014
  • 본 연구는 패턴화된 감각 증진(Patterned Sensory Enhancement, PSE) 기법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SE와 단순 리듬 자극 간의 차이를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와 수원시 소재의 재활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인 뇌졸중 편마비 환자 16명이며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8명씩 배치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은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 기능으로 6가지 동작의 관절가동범위(ROM, range of motion)와 장악력이며 실험군에게는 PSE를, 대조군에게는 메트로놈으로 제공되는 단순 리듬 자극을 제공하였다. 실험은 음악 자극이 없을 때와 있을 때의 같은 상지 기능을 측정하는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측정한 값의 경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동일한 실험을 총 2회 실시하여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연구 진행 결과, PSE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음악을 들으며 동작을 수행할 때 상지 관절가동범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즉각적인 효과를 보였으나(p < .05), 대조군은 즉각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단순 리듬 자극보다 PSE가 상지 운동 향상에 더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과 음악의 청각적 패턴이 운동 범위의 확장 즉, 운동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PSE가 상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즉각적인 영향을 단순 리듬 자극과 비교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음악 요소의 특징이 유도하고자 하는 신체 운동의 목표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질 때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