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4초

SERVQUAL 모델을 이용한 간호 서비스 질 측정 (Measurement of Nursing Service Quality using SERVQUAL Model)

  • 임지영;김소인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59-279
    • /
    • 2000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analytic research measuring nursing service quality, using SERVQUAL model, to make fundamental data and strategies for nursing service improvement.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202 patients and 142 nurses, from June 7 to 14, 1999. The reliability of instrument were adequate(Cronbach ${\alpha}=.94$). SAS program was utiliz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gab between patient's expectation and perception on nursing service(Gap B). Gap D was indicated an affecting factor to decide nursing service quality. Gap C was indicated an indirect affecting factor of nursing service quality. Because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otal item analysis, but in individual item analysis, 7 items were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 A was not a gap occurrence factor of nursing service quality. 2. Focuses of nursing service quality improvement strategies were; (1) to direct qualitative improvement of nursing service in order to correspondence patient's nursing service expectation. (2) to make nurse's service activity modified because nurse's practice were not reached patient's expectation level. (3) to need internal, external factor analysis affecting nurse's service activity. 3. Nursing service quality was decided by rather environmental inappropriateness provided nursing service than itself. Therefore, to make nursing service quality improvement, it is required to improve nursing service environment. For this, followings are required; (1) to strengthen nurse's education on lower part of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and QI activities. (2) to balance demand and supply of nursing personnel. 3) to fix computerized system for reducing other duties weight except nursing care through analysis of nursing activity. (4) to construct rational cooperating system among related departments. 4. The important parts for nursing service quality improvement were indicated as follows: (1) Gap B: 'prompt reaction', 'examination symptom before patient's complaint', 'hearted nursing service reducing patient's dissatisfaction', 'explanation goals of nursing activities', 'having special Knowledge enough', 'maintenance position comfortably', 'management of patient's physical hygiene'. (2) Gap C: 'maintenance physical safety', 'explanation about hospital rules and facilities'. (3) Gap D: 'tender, safe injection and wound care'. Because above items are mostly improved through nurse's attitude change and quality improvemen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nursing standardization and to strengthen nurse's clinical education. As the based on above results, followings are suggested; 1. SERVQUAL model is very useful to make strategies for nursing service quality improvement because it indicates multiple factors affecting hap occurrence. 2. At individual items analysis of Gap C, statistically significant 7 items appeared higher nurse's perception level than patient's perception level on nursing service were trouble perception level on nursing service quality improvement. So. it need further research to analysis about these difference occurring factors. 3. At analysis of Gap D, it is indicated that in nursing service performance process, multiple factors lowing nursing service quality were intruded. So it needs further research to analysis what these factors are and how each factors affect on nursing performance process. 4. nursing service quality measurement is changeable according to sample select time or sampled subject's characteristics. So to develope strategy for nursing service quality improvement is based on the results of periodical analysis.

  • PDF

의료이용(醫療利用)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요인(要因)에 관(關)한 분석(分析) (On Determinants of Physician Utilization -A causal analysis-)

  • 배상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8권1호
    • /
    • pp.13-24
    • /
    • 1985
  • This study seeks to provide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differential access to medical care. The framework is provided by Anderson Model, a model of health services utilization which suggests a sequence of predisposing, enabling, illness-morbidity characteristics that determine the number of times people will visit a physician. The framework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two models, one is for Adults and the other is for Non-Adults. Models are operationalized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data come from a national health survey conducted in 1983.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causal models used in this study are able to explain only a small amount of the variance in medical care utilization(Adjusted $R^2$ is .144 in the Model for Adults and .243 in that for Non-Adults). This finding suggests that we reconsider the utility of such existing model using the predisposing, enabling, and illness-morbidity characteristics in light of their poor correspondence with these data. Second, while small amount of the valiance in medical care utilization is explained, most of the explained variance is due to the illness-morbidity characteristics. The path coefficients of study variables except illness-morbidity variables show these characteristics to be substantially unrelated to medical care utilization, and the indirect effects of the predisposing and edabling characteristics on medical care utilization are also negligible. This casts doubt on the importance of the predisposing and enabling characteristics in explaining medical care utilization. Third, among the predisposing and enabling characteristics, Medical Security variable is the only one having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medical care utilization in both models for Adults and for Non-Adults. Fourth, the amount of the variance explained in the Model for Non-Adults is more than in the Model for Adults. This suggests that medical care utilization of adults is more influenced by behavioral factors than that of children.

  • PDF

교통사고 야기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발생과 운전태도 변화 메커니즘 분석 (A Study on the Traffic Accident Offenders' PTSD Occurrence and Analysis of the Changing Mechanism of Driving Attitudes)

  • 장석용;정헌영;고상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7-67
    • /
    • 2011
  • 본 연구는 교통사고 야기자의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발생 구조와 원인, 치료방법 선택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통사고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를 대상으로 추정만 하던 교통사고 가해자의 PTSD 현황을 전국적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교통사고 야기자를 대상으로 교통사고의 발생과 밀접한 20가지의 운전 상황에서 교통사고 이후의 운전태도 변화를 요인분석으로 3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셋째, PTSD 유 무별로 주요 운전 상황에서의 운전태도 변화의 차이가 있음을 t검정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t검정을 통하여 유의하다고 나타난 6가지의 운전 상황을 구조방정식 모형에 적용하여 PTSD 관련 변수와 운전태도 변화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모형을 구축할 수 있었다. 구축된 모형의 분석을 통해, PTSD 저감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 및 PTSD 저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국내 보건학 분야 학술활동의 군집화와 '두 문화' 현상 - 보건행정학회지(1991~2006) 게재논문의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 (Co-author.Keyword Network and its Two Culture Appearance in Health Policy Fields in Korea: Analysis of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1991~2006)

  • 정민수;정동준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6-106
    • /
    • 2008
  • This research analyzed. knowledge structure and its effect factor by analysis of co-author and keyword network in Korea's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sector. The data was extracted from 339 articles listed i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and was transformed into a co-author and keyword matrix. In this matrix the existence of a link was defined by impact factors which were calculated by the weight value of what the role was and the rate of how many authors contributed. We demonstrated that the research achievement was dependent on the author's status and network index. Analysis methods were neighborhood degree, correspondenc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the difference of weight distribution by research fields. Co-author networks were developed as closeness centrality as well as degree centrality by a few high productivity researchers. In particular, power law distribution was discovered in impact factor and research productivity. The effect of the author's role was significant in both the impact factor calculated by the participatory rate and the number of listed articles. Especially, this journal shared its major researchers who had a licensed physician with the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Therefore, social scientists were likely to be small co-author network differently from natural scientists. It was so called 'two cultures' phenomenon. This study showed how can we verified academic research structure existed in the unit of journal like as citation networks. The co-author networks in the field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had more differentiated and clustered than preventive medicine and epidemiology fields.

숲길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용객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sitor Characteristics for Trail Program Development)

  • 손지원;하시연;김재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469-47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숲길프로그램에 대한 이용객의 선호와 이용 행태, 숲길에 따른 이용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숲길프로그램 참여의사, 선호하는 산림휴양활동, 프로그램 내용과 실질적인 프로그램 운영방식에 대한 이용객의 요구를 살펴보았다. 숲길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고 산림휴양활동, 숲길프로그램 내용, 운영방식은 이용대상, 이용행태, 숲길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20대는 활동성이 높은 자연체험 프로그램, 중 노년층은 건강 프로그램을 선호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은 현장에서 진행하는 정기 프로그램을 선호하였고, 운영시간은 1~3시간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숲길별로 살펴보면 북한산 둘레길은 산림치유 등 건강프로그램 위주의 1~2시간 진행되는 정기 프로그램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며 울진숲길은 기존의 가이드방식에 자연감수성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체험활동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리산 둘레길은 젊은 층의 이용이 많고 다른 숲길에 비해 트레킹을 중심으로한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기상인자 및 Bayesian Beta 모형을 이용한 여름철 계절강수량 및 지속시간별 극치 강수량 전망 기법 개발 (A Development of Summer Seasonal Rainfall and Extreme Rainfall Outlook Using Bayesian Beta Model and Climate Information)

  • 김용탁;이문섭;채병수;권현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5호
    • /
    • pp.655-66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성 Bayesian 빈도해석모형을 토대로 외부 기상인자에 의한 시변성을 고려할 수 있는 계절강수량 예측모형을 구축한 후 산정된 결과를 입력 자료로 하여 직접적으로 일단위 이하의 극치강수량을 상세화시킬 수 있는 베타 모델(four parameter beta, 4PB)을 연계하여 한강 및 금강유역의 미래 계절 강수량 전망 및 일단위 이하의 확률강수량을 도출하였다. 모형의 적합성 검증을 위하여 2014~2017년의 모의된 사후 확률분포 값과 관측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계절강수량 모의에서 한강은 관측 값의 최대 약 86.3%, 금강은 약 98.9%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속시간별 극치강우량은 약 65.9~99.7%의 정확성을 나타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산정한 결과는 기상변동성을 다양한 시간규모에서 고려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점포개성 척도를 이용한 커피전문점 브랜드 이미지 포지셔닝 (A Study on Coffee Shop Brands Image Positioning by Store Personality Scale)

  • 이동한;이창주;이형근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4권1호
    • /
    • pp.25-53
    • /
    • 2013
  • 국내 커피전문점 시장은 지난 1999년 스타벅스가 매장을 개설한 시점으로부터 10여년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면서 양적으로도 급격한 성장을 지속하여 왔다. 최근에는 각 커피전문점 브랜드별로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맛이나 서비스의 차이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 등 성숙기 시장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경쟁이 매우 치열해지는 성숙기 시장에서는 제품 및 서비스 차별화와 가격 프리미엄의 확보를 위해서는 차별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성숙기에 진입한 국내 커피전문점 시장의 주요 5개 브랜드에 대해 점포개성 척도를 사용하여 현재의 포지셔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커피전문점 브랜드를 국내 중소기업 전문브랜드와 외국 전문브랜드로 나누거나, 매장의 규모가 큰 매장이 다수인 브랜드와 소규모 매장이 많은 브랜드로 구분하여 인식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소비자들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브랜드의 점포개성은 신뢰, 세련, 매력이라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파악된 각 커피전문점의 점포개성 이미지 강약점을 토대로 강점은 강화하고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고등학교 급식식단의 엽경채류 식재료 사용 빈도 및 조리방법 분석 연구 (Analysis Study on the use of Frequency and the Cooking Method of Leaf and Stem Vegetables in High School Foodservice)

  • 민지현;이종경;김현정;윤기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50-257
    • /
    • 2016
  • 본 연구는 지역별, 학교별, 계절별 고등학교 급식 식단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관련 주요 영향 인자를 도출하고자 식단 데이터를 수집하고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안전관리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급식식단 중 PHF(Potentially Hazardous Food) 해당여부, 사용빈도가 높은 엽경채류, 식단 조리방법에 관하여 빈도분석과 다중대응분석(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MCA)을 실시하였다. 중부지역과 남부지역의 각각 3개 고교, 총 6개 고등학교의 3, 6, 9, 12월 제공된 총 1,945개 식단의 빈도분석 결과, PHF에 해당하는 식단은 데친 나물류, 샐러드, 해조류, 닭튀김 등이 사용빈도가 높았다. 조리방법은 가열 여부에 따라 단순 가열, 단순 비가열, 혼합 여부에 따라 가열한 식재료와 가열한 식재료의 혼합, 비가열한 식재료와 비가열한 식재료의 혼합, 가열한 식재료와 비가열한 식재료의 혼합으로 구분하였는데, PHF 제품 내 단순 비가열과 가열한 식재료와 비가열한 식재료의 혼합과 같은 메뉴 유형도 33.1% 수준으로 나타났다. 사용빈도가 높은 엽경채류는 시금치, 부추, 상추, 양배추, 깻잎, 양상추, 치커리, 파, 브로콜리 순서로 나타났다. 전체 식단 중 사용빈도가 높은 엽경채류 14종 370개의 데이터에 대한 MCA 결과 PHF에 해당하는 엽경채류에는 양상추, 청경채가, Non-PHF에 해당하는 엽경채류에는 브로콜리, 양배추, 치커리, 깻잎이 주로 사용되었다. 지역별로는 중부지역에서는 마늘쫑과 시금치가, 남부지역에는 미나리 사용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향후 단체급식에서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생산단계에서 오염원 차단(GAP 인증), 저감 및 세척 공정 개발, 식재료별 조리방법에 따른 메뉴 데이터 베이스화, 미생물학적 안전성이 확보되는 조리방법을 활용한 식단 개발 및 검증이 필요하다.

Automatic Generation of GCP Chips from High Resolution Images using SUSAN Algorithms

  • Um Yong-Jo;Kim Moon-Gyu;Kim Taejung;Cho Seong-I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220-223
    • /
    • 2004
  • Automatic image registration is an essential element of remote sensing because remote sensing system generates enormous amount of data, which are multiple observations of the same features at different times and by different sensor. The general process of automatic image registration includes three steps: 1) The extraction of features to be used in the matching process, 2) the feature matching strategy and accurate matching process, 3) the resampling of the data based on the correspondence computed from matched feature. For step 2) and 3), we have developed an algorithms for automated registration of satellite images with RANSAC(Random Sample Consensus) in success. However, for step 1), There still remains human operation to generate GCP Chips, which is time consuming, laborious and expensive process. The main idea of this research is that we are able to automatically generate GCP chips with comer detection algorithms without GPS survey and human interventions if we have systematic corrected satellite image within adaptable positional accuracy. In this research, we use SUSAN(Smallest Univalue Segment Assimilating Nucleus) algorithm in order to detect the comer. SUSAN algorithm is known as the best robust algorithms for comer detection in the field of compute vision. However, there are so many comers in high-resolution images so that we need to reduce the comer points from SUSAN algorithms to overcome redundancy. In experiment, we automatically generate GCP chips from IKONOS images with geo level using SUSAN algorithms. Then we extract reference coordinate from IKONOS images and DEM data and filter the comer points using texture analysis. At last, we apply automatically collected GCP chips by proposed method and the GCP by operator to in-house automatic precision correction algorithms. The compared result will be presented to show the GCP quality.

  • PDF

바이오인포매틱스 기법을 활용한 SARS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정보 연구 (A Study on the Genomic Patterns of SARS coronavirus using Bioinformtaics Techniques)

  • 안인성;정병진;손현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22-526
    • /
    • 2007
  • 중중급성호흡기증후군(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은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었던 신종 급성 전염성 질환으로써, 2003년 아시아로부터 북미와 유럽지역까지 빠른 속도로 전파되어 나간 이후로부터 많은 과학자들의 연구의 대상이 되어오고 있다. 계통발생학적인 관점에서 SARS 바이러스는 Coronavirus 속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전체적인 유전정보 면에서는 다른 코로나바이러스들에 비하여 진화상으로 보존된 부분들이 현저하게 적은 경향을 나타낸다. 자연계에서의 SARS 코로나바이러스(SARS-CoV)의 숙주생물종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명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ARS-CoV의 유전서열들을 대상으로 다중서열정렬법, 계통발생학적 분석기법 및 다변량 통계분석법 등과 같은 바이오인포매틱스 분석기법들을 활용하여 이 바이러스의 유전정보 패턴을 분석하였다. Relative synonymous codon usage(RSCU)값을 포함하는 여러 유전정보 파라미터들은 Coronavirus와 Lentivirus 속과 Orthomyxoviridae과로부터 수집된 총 30,305개의 암호화 서열들로부터 계산이 되었으며 이 모든 계산은 KISTI 슈퍼컴퓨팅센터의 SMP 클러스터 상에서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SARS-CoV는 feline 코로나바이러스와 매우 유사한 RSCU 패턴을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기존에 보고되었던 혈청학적인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였다. 또한 SARS-CoV와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및 influenza A virus는 공통적으로 각각이 속한 속이나 과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RSCU bias를 나타내어서 이와 같은 현상이 이들 바이러스들이 종 간 장벽을 뛰어넘어 전파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결론적으로 이와 같은 바이오인포매틱스 분석기법들을 활용한 대용량의 유전정보 분석은 유전체 역학 연구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