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media contents

검색결과 2,057건 처리시간 0.046초

휴대용 단말기 전화 번호 키 입력과 상호작용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Wireless Multimedia Service Interacting with the Key Input of a Phone Number)

  • 정구민;안현식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55권2호
    • /
    • pp.72-74
    • /
    • 2006
  • In this paper, a wireless multimedia service interacting with key input of a phone number is Presented. In the conventional handset, when the key button is pressed, numbers are displayed or the embedded sound is played. Also, the contents are fixed and cannot be chang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wireless multimedia service playing multimedia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key input of a phone number. The contents can be downloaded from the wireless internet server. To implement this service, file format, fast codec and download structure are proposed. Using the presented structure, this service is being provided by a telecommunication company in Korea. Various applications based on this service are being expected.

웹기반 건강사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학습효과 (The Effect of Web-based Multimedia Contents for a Course of Physical Examination and Health Assessment)

  • 오복자;김일옥;신성례;정회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10-816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Web-based multimedia contents for Physical Examination and Health Assessment on learning achievement. Method: Multimedia contents based on Jung's teaching and learning structure model were used to enhance learning achievement. Learning achievement was measured by the knowledge of Physical Examination and Health Assessmen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in a BSN and RN-BSN program in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59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lectures using web-based multimedia contents and 75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regular lectures.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degree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mean=31.09)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mean=25.55)(t=-3.883, p=.000). Conclusion: These web-based multimedia contents were found to maximize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process when used as a teaching aid, and yet kept the strength of a face to face teaching learning method. This program is recommended as part of a main text, vital teaching aid or cyber lecture materials in nursing schools and in health care educational institutions.

수술실 간호오류 예방을 위한 사례중심 멀티미디어 학습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Case-based Multimedia Learning Contents for Preventing Malpractice in Operating Room)

  • 박지명;황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522-53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수술실에서의 간호오류 예방을 위한 간호사 대상의 교육을 목적으로 문헌고찰과 실제 경험한 오류사례와 요구도 조사 및 수술실 사건보고서 자료 분석을 통하여 사진, 음성녹음, 플래시 애니메이션, 동영상 자료를 활용한 사례중심 멀티미디어 학습콘텐츠를 개발하였다. 1시간 분량의 학습콘텐츠는 4가지 학습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학습영역별로 성우의 음성과 함께 플래시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실제 간호오류 사례를 이야기 형식으로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로부터 흥미와 현장감을 높였다. 또한 각 영역별 사례를 통해 학습자에게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였고 표준화된 수술실 간호업무프로토콜을 대처방안으로 제시함으로써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습콘텐츠는 신규간호사 뿐만 아니라 경력 간호사의 수술실 간호오류 예방을 위한 교육용 자료로써 실무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라며, 콘텐츠의 지속적인 수정 보완을 위한 시스템 마련과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Emotional Vocabulary-based Multimedia Contents Management System

  • Park, Kyung-Woo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58-162
    • /
    • 2013
  • In these days,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various digital contents increased because of growing internet users. Now the digital contents production system is producing video which is based on keywords and contents. This paper proposes the sensibility-based contents management system which can analyze and manage contents of video production system. Due to the sensibility-based multimedia contents management system, it is possible to analyze and manage sensibility contents what users want. As a result, by building a database, we can provide intelligent and meaningful services. In addition, contrary to low grade's contents-based production system, we can cope actively with users' demands.

멀티미디어 온톨로지 기반의 의미론적 콘텐츠 검색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Semantic Contents Search System for Multimedia Ontology)

  • 황치곤;문석재;이대성;윤창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5-248
    • /
    • 2013
  •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과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은 빠르게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를 찾고 활용하는 기술은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고 해결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위한 표준안들이 많이 있으나 멀티미디어 데이터 형식과 상호운용성을 표현하기에는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호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온톨로지 기반의 콘텐츠 검색 시스템을 제시한다. 온톨로지는 MPEG-7의 MDS(Multimedia Description Scheme)와 같은 스키마 구조에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규칙을 제시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온톨로지를 바탕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연관성을 확장하여 의미론적 검색이 가능한 접근 시스템을 설계한다.

  • PDF

의미적 연관성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정보 검색 (Multimedia Information Retrieval Using Semantic Relevancy)

  • 박창섭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67-79
    • /
    • 2007
  • 최근 웹 기술의 발달과 유무선 네트워크 성능의 향상, 그리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등장함에 따라 텍스트 문서나 이미지에 대한 검색뿐만 아니라 동영상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검색에 대한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멀티미디어 검색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된 의미 개념들의 연관성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고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검색에 의존함에 따라 제한적인 검색 결과만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도메인 온톨로지를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의미적 연관성에 기반을 둔 멀티미디어 검색 방법 및 시스템 구조를 제안한다. 사용자 검색어를 직접적으로 포함하지 않지만 의미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개념들을 온톨로지에서 검색하고 이들에 대한 랭킹을 결정하기 위한 클래스 연관도 척도를 정의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또 프로토타입 시스템 구현 및 실험을 통해 제안한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의 효과를 보인다.

  • PDF

프로젝트기반 멀티미디어 저작 교육에서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성취도 분석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n Project Based Multimedia Authoring)

  • 조수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691-699
    • /
    • 2005
  • 멀티미디어 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직접 저작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프로젝트기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해 봄으로써 더 나은 교수전략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교육의 목표에 충실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을 위한 프로젝트 진행방식으로 대학에서 한학기 동안 멀티미디어 교육을 수행하고 그 효과를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 개인의 특성 중 '나이', '편입학석부' 등에 따른 학습효과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도'와 '프로젝트에서의 역할' 등에 의한 성취도 차이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 PDF

High Quality Network and Device Aware Multimedia Content Delivery for Mobile Cloud

  • Saleem, Muhammad;Saleem, Yasir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10호
    • /
    • pp.4886-4907
    • /
    • 2019
  • The use of mobile devices is increasing in multimedia applications. The multimedia contents are delivered to mobile users over heterogeneous networks. Due to fluctuation in bandwidth and user mobility, the service providers are facing difficulties in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QoS) guaranteed delivery for multimedia applications. Multimedia applications depend on QoS parameters such as delay, bandwidth, and jitter to offer better user experience. The existing schemes use the single source and multisource delivery but are unable to balance between stream quality and network congestion for mobile users. We proposed a Quality Oriented Multimedia Content Delivery Scheme (QOMCDS) for the mobile cloud to deliver better quality multimedia contents for the mobile user. The multimedia contents are delivered to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device's parameters and network environment. The objective video quality assessment models like Peak Signal-to-Noise Ratio (PSNR), Structural Similarity (SSIM), and Video Quality Measurement (VQM) are u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the video. The client side Quality of Experience metric such as Startup delay, Rebuffering events, and Bitrate switch count was used for evaluation. The proposed scheme is evaluated using dash.js and is compared to existing schemes.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existing multimedia content delivery schemes.

플로팅 홀로그램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연구 (Study on the Production of Interactive Multimedia Content using Floating Holograms)

  • 최준환;김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625-1630
    • /
    • 2018
  • 최근 영상 표현 방식은 빠르고 다양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차세대 영상 방식 중 하나인 홀로그램은 많은 연구를 통해 발전하고 있으나 실제 구현 방법이 어렵다는 점이 있어 홀로그램의 효과를 비슷하게 나타내는 유사 홀로그램방식을 사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활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유사 홀로그램 방식 중 플로팅 홀로그램 방식을 사용하여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며, 플로팅 홀로그램 방식을 사용하는 박스 형태의 콘텐츠에 모션 센서를 적용하여 작품을 제작하고, 관객의 참여에 의한 사운드와 영상의 실시간 상호작용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서 홀로그램 활용과 기술의 장단점에 대한 연구 및 보완 방법을 제시한다.

텐저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Health Care System using Tangible Interface)

  • 김규종;신기보;이병주;최경섭;최영미;주문원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23-52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제어를 인식하는 텐저블 머신을 제작하기 위하여 게임 형식의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특히 설문 조사를 통해 헬스기기에 반영할 사용자 콘텐츠 선호도를 분석하여, 게임인공지능과 게임물리 기술을 활용한 체감형 게임 개발로 현실성을 극대화시킨 건강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