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4초

다제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의 생장을 억제하는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방선균의 분리.동정 및 항균효과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Streptomyces sp. that Produces Antibiotics Against Multidrug -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 이기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7-42
    • /
    • 2011
  • 계룡산 지역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항생제 다제내성균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항생물질 생산균주를 분리, 탐색하는 과정에서 Streptomyces sp. KH223균주를 선별하였다. 분리균주의 생화학적 특징과 16S ribosomal D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분리균주가 Streptomyces galbus에 속함이 확인되었다. 분리균주의 배양 상등액은 49종의 Acinetobacter baumannii 외 다양한 세균과 진균 등에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분리균주의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0여종의 A. baumannii에 최소생육저해농도 범위 0.8 ${\mu}g$/mL에서 5.0 ${\mu}g$/mL 으로 강한 항균력을 보였으며 기 분리된 cyclo(trp-trp)의 최소생육저해농도 범위 12.5 ${\mu}g$/mL 보다도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각의 유기용매 분획물과 cyclo(trp-trp)은 Candida albicans IFO 6258, Bacillus subtilis IAM 1069, Micrococcus luteus JCM 1464, Aspergillus niger ATCC 9642, Streptomyces murinus JCM 4333 등 5종의 세균과 진균에 대해 2.5 ${\mu}g$/mL에서 50 ${\mu}g$/mL 범위의 비교적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분리균주의 유용성과 앞으로 추가적인 정제, 물질동정 실험을 통하여 새로운 항생물질을 탐색하는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ersistence of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Isolates Harboring blaOXA-23 and bap for 5 Years

  • Sung, Ji Youn;Koo, Sun Hoe;Kim, Semi;Kwon, Gye Cheo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8호
    • /
    • pp.1481-1489
    • /
    • 2016
  • The emergence and dissemination of carbapenemase-producing Acinetobacter baumannii isolates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and A. baumannii isolates harboring blaOXA-23 are often resistant to various antimicrobial agents. Antimicrobial resistance can be particularly strong for biofilm-forming A. baumannii isolates. We investigated the genetic basis for carbapenem resistance and biofilm-forming ability of multidrug-resistant (MDR) clinical isolates. Ninety-two MDR A. baumannii isolates were collected from on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the Chungcheong area of Korea over a 5-year period. Multiplex PCR and DNA sequencing were performed to characterize carbapenemase and bap genes. Clon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REP-PCR. In addition, imaging and quantification of biofilms were performed using a crystal violet assay. All 92 MDR A. baumannii isolates involved in our study contained the blaOXA-23 and bap genes. The average absorbance of biomass in Bap-producing strains was much greater than that in non-Bap-producing strains. In our study, only three REP-PCR types were found, and the isolates showing type A or type B were found more than 60 times among unique patients during the 5 years of surveill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solates have persisted and colonized for 5 years, and biofilm formation ability has been responsible for their persistence and colonization.

다제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에 유효한 방선균 B-51의 탐색 및 이 균주가 생산하는 항생물질 발효 최적 배양 조건 (Screening and Optimal Culture Conditions of Antibiotic-Producing Actinomycetes B-51 for Multidrug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 이문수;김관필;방병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3-69
    • /
    • 2010
  • 다제내성균 A. baumannii에 유용한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방선균을 선별하기 위하여 토양에서 분리한 방선균 300여 균주를 대상으로 항균 활성을 실험하여 그 활성이 가장 뛰어난 B-51 균주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이 균으로부터 항생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 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발효 배지를 기본배지로 하여 동일조건 하에서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 및 인삼염만을 다르게 하여 항균 활성을 실험한 결과 glycerol 2%, soybean meal 0.5%, $CaCl_2$ 0.01%, $MgSO_4{\cdot}7H_2O$ 0.01%, $KH_2PO_4$ 0.01%에서 항생물질 생산이 가장 높았다. 또한 이렇게 결정된 배지 조성에서 초기 pH 6.0, 배양온도 $30^{\circ}C$, 배양시간 76시간 조건 하에서 항생물질 생산이 가장 많았다.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대부분의 방선균이 항생물질 생산 시 배양액의 final pH가 중성 혹은 약 알칼리인 점을 비교해 볼 때 본 균주인 B-51의 경우 항생물질 생산능이 높은 경우 final pH 4.0 부근인 산성 pH를 보여 그간의 논문보고와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대전지역에서 분리된 생물막 형성 Acinetobacter baumannii 임상분리주의 분자유전학적 특성과 항균제 감수성양상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Biofilm-forming Acinetobacter baumannii Clinical Isolates from Daejeon, Korea)

  • 성지연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00-109
    • /
    • 2018
  • 다제내성(multidrug-resistant, MDR) Acinetobacter baumannii 균주의 출현 및 확산이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어 왔는데, 이들 대부분은 생물막 형성능력을 가지고 있다. 생물막 형성은 소독 및 건조에 대해 세균이 저항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요한 병독성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막을 형성하는 A. baumannii 임상 분리주를 대상으로 항균제 내성 기전에 대한 유전적 기초를 조사하였다. 크리스탈 바이올렛 분석법을 통해 생물막 형성능력을 확인한 결과 46균주가 생물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REP-PCR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클론에 속하는 16 균주를 선택한 후 이 균주들을 대상으로 항균제 내성 인자를 검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9개 non-MDR (0.96) 균주와 7개의 MDR (1.05) 균주의 평균 생물량은 서로 달랐지만, 이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생물막 형성 MDR 균주는 다양한 항균제 내성인자 ($bla_{OXA-23}$, armA 및 gyrA 및 parC의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non-MDR 균주는 항균제 내성인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의 결과는 A. baumannii 균주의 생물막 형성능력이 항균제 감수성과 상관관계가 적음을 시사한다. 또한 MDR A. baumannii 임상 분리주의 출현은 대개 항균제 내성과 관련된 유전자의 돌연변이나 또는 다양한 항균제 내성인자의 획득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다제내성 녹농균과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에 항균활성을 가지는 프로바이오틱스 (Probiotics wit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ultidrug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and Acinetobacter baumannii)

  • 이도경;김민지;강주연;박재은;신혜순;하남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45-252
    • /
    • 2013
  • 녹농균과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는 병원에서 중요한 기회감염 균주이며 대부분의 항생제에 내성이다. 다제내성 녹농균(MDRPA)과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MDRAB)는 심각한 원내 감염을 일으키고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보다 치료가 어렵다. 비피도박테리아는 많은 유익한 프로바이틱스 중 하나로 그들의 항균활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으로부터 분리한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들의 MDRPA와 MDRAB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시프로플록사신, 토브라마이신, 겐타마이신, 메로페넴과 세프타지딤에 내성을 보이는 MDRPA와 MDRAB에 대한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들의 항균활성은 흡광도를 이용한 액체배지희석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모든 비피도박테리아 분리균주(비피도박테리움 어돌레센티스 9균주,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3균주와 비피도박테리움 슈도카테눌라툼 2균주) 중 비피도박테리움 슈도카테눌라툼 SPM1309의 배양 상등액은 MDRPA와 MDRAB에 대한 강한 증식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배양 시간 동안 혼합액의 탁도는 변화되지 않았으며, 이 억제 효과는 정균 작용이었다. 게다가 항균활성은 분자량 10 kDa 미만의 분획물에서 나타났으며, $70^{\circ}C$에서 10분간 열처리 한 후에서 항균활성이 유지되었기 때문에 활성물질은 열에 안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MDRPA와 MDRAB 감염증의 대체치료법을 위한 비피도박테리움 슈토카테눌라툼 SPM1309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보여준다.

국내 200병상이상 의료기관의 다약제 내성균 감염관리 실태조사 (Current Status of Infection Control of Multidrug Resistant Organisms in Hospitals with more than 200beds in the Republic of Korea)

  • 오향순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63-173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isolation precautions of multidrug resistant organisms(MDROs) in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200bed. The questionnaires were mailed from 3rd, April 2013 to 30th, April 2013.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VRSA),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us(VRE),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multi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were enrolled. MRSA(100.0%) and VRE(98.7%) were isolated respectively. VRE(97.3%) and MRSA(64.0%) were regulated strictly respectively. VRE(91.5%) and VRSA(50.7%) were isolated in a single room respectively. Hospital being located in Seoul(p<0.001), and beds(${\geq}600$)(p=0.008)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The isolation space limitation(71.1%) was the highest difficulty. The development of refunding the costs of the extra supplies and other hygienic materials for infection control was discovered as the most urgent strategy.

Genotyping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Strains Isolated from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 Abozahra, Rania;Abdelhamid, Sarah M.;Elsheredy, Amel G.;Abdulwahab, Kawther E.;Baraka, Kholoud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39-248
    • /
    • 2021
  • The emergence of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has partly increased treatment failure and patient mortality. Class D β-lactamases is an important mechanism of resistance to beta-lactam antibiotics in this speci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xacillinase gene and genetic fingerprints of A. baumannii isolates from the intensive care unit of an Egyptian tertiary care hospital. One hundred and twenty A. baumannii clinical isolates were collected. Multiplex PCR was performed to detect genes encoding oxacillinases (OXA-23, OXA-24, OXA-51, OXA-58 and OXA-143). Molecular typing of all collected isolates was performed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PCR assay. Out of 120 examined isolates, 92, 88 and 84% were resistant to ertapenem, imipenem and meropenem, respectively. The species-specific, commonly present OXA-51 gene was found in all isolates while OXA-23 showed a high prevalence of 88% of isolates. OXA-24 and OXA-143 genes were detected in 3% and 1% of isolates, respectively. No OXA-58 gene was detected. Five clusters consisting of 19 genotypes were detected using RAPD-PCR. Genotype A was the most prevalent, it was observed in 62% of the isolates followed by genotype B (12%). These results revealed that genotypes A and B are common in the hospital. Results also demonstrate that RAPD-PCR is a rapid and reliable method for studying the clonal similarity among A. baumannii isolated from different clinical specimens.

Acinetobacter 병원내 폐렴에서 다제 내성군과 약제 감수성군 간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Acinetobacter Nosocomial Pneumonia between MDR and non-MDR)

  • 박인일;김익근;구현철;한재필;김영묵;이명구;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1호
    • /
    • pp.13-19
    • /
    • 2006
  • 연구 배경: A. baumannii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병원 내 병원균으로 부각되고 있고 이들 균에 의한 감염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들 감염에 연관된 사망률(균혈증:52%, 폐렴:23-73%)은 매우 높고 다제 내성은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다제 내성 A. baumannii 감염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 이들의 임상 특징과 결과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A. baumannii 병원내 폐렴 중 다제 내성군과 약제 감수성군 간의 임상적 특징, 사망률, 이환율을 비교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 1일부터 2004년 11월 1일까지 춘천성심병원에 입원했던 환자 중 Acinetobacter 병원 내 폐렴으로 판단되는 47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제 내성 A. baumannii를 실험 환경에서 A. baumannii에 효과적이며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47명의 A. baumannii 병원내 폐렴 환자 중 17명이 다제 내성군, 30명이 약제 감수성군으로 분류되었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다제 내성군은 $69{\pm}11$세, 약제 감수성군 $70{\pm}13$세이었고 APACHE II 점수, 중환자실 입원기간, 사망률에 있어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16.1{\pm}5.4$ vs $14.9{\pm}4.8$, P=0.43, $25.1{\pm}13.6$ vs $39.1{\pm}31.0$, P=0.2, 58.8% vs 40%, P=0.21). 결 론: Acinetobacter baumannii 다제 내성군과 약제 감수성군 간의 사망률과 임상적 특징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양군 모두 사망률과 이환율은 높게 나타나 A. baumannii 감염의 효과적인 감시 및 조절이 지속적으로 필요하겠다.

국내 대학병원에서 분리된 Metallo-β-Lactamase (MBL) 생성 Acinetobacter spp. 분리주의 높은 출현율과 유전형 특징 (High Prevalence and Genotypic Characterization of Metallo-β-Lactamase (MBL)-Producing Acinetobacter spp. Isolates Disseminated in a Korean Hospital)

  • 염종화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44-452
    • /
    • 2019
  • 주요 획득성 metallo-β-lactamase (MBL) 유전자에 의해 매개되는 carbapenem 내성, 특히 Acinetobacter spp. 균종의 임상 분리주에 대한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임상에서 비 중복으로 분리된 carbapenem 비감수성 Acinetobacter spp. 191주 중 125 (65.4%)주가 imipenem 혹은 meropenem-Hodge 변법시험에 양성이었고, 49 (25.7%)주가 imipenem-EDTA+SMA double disk synergy (DDS) 시험에 양성이었다. blaVIM-2 allele와 blaIMP-2 allele 검출을 위한 중합효소연쇄반응과 염기서열분석을 시행한 결과, A. baumannii와 A. calcoaceticus에서 각각 29주와 1주가 blaVIM-2를 갖고 있었고, A. baumannii 16주와 A. calcoaceticus 2주가 blaIMP-1을 갖고 있었다. A. genomospecies 3는 blaVIM-2와 blaAIM-1을 동시에 갖고 있었다. 이들 MBL 유전자는 모두 class 1 integron에 있었다. blaVIM-2 혹은 blaIMP-6를 갖는 class 1 integron의 크기는 A. baumannii 분리주에서는 2.8 kb에서 3.2 kb이었고, A. genomospecies 3 분리주에서는 3.2 kb에서 3.5 kb이었다. blaVIM-2는 대부분 class 1 integron에 첫번째 혹은 두번째에 위치하였고, aacA4를 흔히 가지고 있었다. 다양한 내성 유전자를 가질 수 있는 MBL 생성 Acinetobacter spp.뿐 아니라 다양한 내성 유전자를 가질 수 있는 integron의 전파로 imipenem이나 meropenem과 같은 carbapenem 내성을 포함하여 다제 내성 그람음성 세균의 증가가 예상된다. 또한, 위중한 Acinetobacter spp. 감염증 치료를 위한 새로운 항균제 개발이 필요하다.

Nucleotide-binding oligomerization domain 1 is dispensable for host immune responses against pulmonary infection of Acinetobacter baumannii in mice

  • Kang, Min-Jung;Choi, Jin-A;Choi, Joo-Hee;Jang, Ah-Ra;Park, Ji-Yeon;Ahn, Jae-Hun;Lee, Tae-Sung;Kim, Dong-Yeon;Park, Jong-Hwan
    • Laboraroty Animal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295-301
    • /
    • 2018
  • Nucleotide-binding domain 1 (Nod1) is a cytosolic receptor that is responsible for the recognition of a bacterial peptidoglycan motif containing meso-diaminophimelic acid. In this study, we sought to identify the role of Nod1 in host defense in vivo against pulmonary infection by multidrug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Wildtype (WT) and Nod1-deficient mice were intranasally infected with $3{\times}10^7CFU$ of A. baumannii and sacrificed at 1 and 3 days post-infection (dpi). Bacterial CFUs, cytokines production, histopathology, and mouse ${\beta}$-defensins (mBD) in the lungs of infected mice were evaluated. The production of cytokines in response to A. baumannii was also measured in WT and Nod1-deficient macrophages. The bacterial clearance in the lungs was not affected by Nod1 deficiency. Levels of IL-6, $TNF-{\alpha}$, and $IL-1{\beta}$ in the lung homogenates were comparable at days 1 and 3 between WT and Nod1-deficient mice, except the $TNF-{\alpha}$ level at day 3, which was higher in Nod1-deficient mi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ung pathology and expression of mBDs (mBD1, 2, 3, and 4) between WT and Nod1-deficient mice infected with A. baumannii. The production of IL-6, $TNF-{\alpha}$, and NO by macrophages in response to A. baumannii was also comparable in WT and Nod1-deficient mice. Our results indicated that Nod1 does not play an important role in host immune responses against A. baumannii inf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