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ching materials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9초

토양피복에 따른 잡초발생과 안개초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Mulching Materials and Methods on Weed Occurring for the Growth and Flowering in Gypsophila paniculata Cultivation)

  • 정동춘;오정문;임회춘;송영주;김정만
    • 화훼연구
    • /
    • 제19권1호
    • /
    • pp.15-21
    • /
    • 2011
  • 안개초 절화 재배시 토양피복재료 및 피복방법에 따른 잡초 발생량 및 안개초 개화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잡초 발생량은 무피복 $146.2g{\cdot}m^{-2}$(건물중)인 반면 흑색과 녹색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전면피복은 $4.1{\sim}4.2g{\cdot}m^{-2}$으로 거의 발생되지 않았으며, 제초 소요인원도 무피복은 27.9명/10a/년인데 반해 전면피복은 2.4명/10a/년이었다. 여름 절화작형시 개화는 무피복과 골 피복이 늦었으며, 화경장, 측지수, 절화장, 화수폭 및 화경 강도는 흑색과 녹색 부직포 전면피복이 우수하였고, 절화량은 흑색 PE필름, 녹색과 흑색 부직포 전면피복에서 많았다. 월하 후 안개초 고사주율은 흑색 부직포 골 피복처리에서 12.4%로 가장 낮았고, 녹색 부직포 피복처리가 19.0% 정도였으며, 흑색 PE 필름 전면 피복처리가 39.0%로 가장 높았다. 가을 절화작형 역시 화경장, 측지수, 절화장 및 화경 강도는 흑색과 녹색 부직포 전면피복이 우수하였고, 절화량은 녹색 부직포가 가장 많았다. 로젯트 발생률은 골피복보다 전면피복이 낮았으며, 피복재료별로는 녹색 부직포 전면피복이 가장 낮았고, 다음은 흑색 부직포, 흑색 PE 필름 전면피복이 낮았다. 따라서 안개초 절화재배시 녹색 부직포 전면 피복처리가 잡초 발생억제와 절화품질 향상 및 절화량 증가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조림묘목용 멀칭매트 원지 제조 (Preparation of Base Paper for Mulching Mat Sheet Using Biodegradable Polymer)

  • 이금자;박지현;강광호;김형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3권2호
    • /
    • pp.49-56
    • /
    • 2011
  • Mulching technique is us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of soil by covering the ground surface. Most kinds of mulching film are made of polyethylene which is non-biodegradable synthetic polymer. Utilizing these films has been one of the main sources in soil pollution. Thus residual films under the ground should be remov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refore, an alternative mulching material made of biodegradable functional paper is considered instead of non-biodegradable films. The mulching sheet produced from paper basis has a functionality to be naturally degraded and then recycled to the bio-materials on soil. In this study, the paper based-mulching sheet coated with biodegradable polymer was specially produced using a laboratory bar coater. Coating colors prepared by dissolving PBS/PLA in chloroform were applied to kraft paper. The mechanical strength and aging properties of this mulching sheet were investigated. The burst strength of polymer-coated paper wa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PBS ratio in PBS/PLA blends, and, in particular, 30/70 blending condition led to good stability in heat-aging atmosphere for 60 days.

양파 채종을 위한 모구의 재식시기와 멀칭재료가 채종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lanting Time of Mother bulb and Mulching Materials for The Seed Production of Onion (Allium cepa L.))

  • 권병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47-252
    • /
    • 1995
  • 양파 채종재배(採種載培)에 적합(適合)한 파종시기(播種時期)와 피복(被覆)을 구명(究明)코자 시험(試驗)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生育), 추태율(抽苔率), 개화율(開花率), 화경당(花莖當) 소화수(小花數) 및 임실율(稔實率)은 9월(月)10일(日)$\sim$ 25일(日) 파종(播種), 투명(透明) 비닐피복(被覆) 하(下)에서 가장 양호(良好) 하였다. 2. 주당(株當) 채종량(採種量) 및 10a당(當) 채종량(採種量) 역시(亦是) 9월(月)10일(日)$\sim$25일(日)에 투명(透明)비닐 피복하(被覆下)에서 증수(增收)여서 우리나라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는 양파모구(母球)를 9월(月)10일(日)$\sim$25일(日)에 투명(透明)비닐 피복하(被覆下)에서 파종(播種) 하는 것이 적합(適合)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피복재료가 강활의 추대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Bolting and Growth in Angelica koreana Max.)

  • 이상석;최효심;손형락;허봉구;오세명;김수용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31-335
    • /
    • 2007
  • 본 시험은 최근에 경북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강활재배에서 노두로 번식되고 있는 북강활을 중심으로 피복재료에 따른 추대반응과 생육특성을 분석하여 재배기술 체계를 확립코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 피복재료별 오전 10시의 지온은 무피복구에 비해 흑색P.E피복구와 투명P.E피복구가 각각 0.5, $2.9^{\circ}C$ 높았고, 오후 2시의 지온은 각각 0.8, $4.8^{\circ}C$ 높았으며, 볏짚피복구는 무피복구에 비해 지온이 낮았다. 2. 추대율은 무피복구 및 볏짚피복구에 비해 투명P.E피복구와 흑색P.E피복구구는 각각 11.4, 13.6%로 유의하게 높았고, 개화기는 투명P.E피복구와 무피복구에서 빨랐으며, 화경장과 화경수는 피복재료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3. 근생엽장은 흑색P.E피복구가 가장 길었고 다음이 투명P.E피복구이며, 엽수 및 노두수는 흑색P.E피복구에서 가장 많았다. 지하부의 건근수량은 흑색P.E피복구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이 투명P.E피복구이며 벗짚피복구과 무피복구가 가장 낮았다. 토양 피복재료별 잡초발생은 무피복구와 투명P.E피복구에서 많았고, 흑색P.E피복구에서 가장 적었다. 강활재배에 있어서 흑색P.E피복이 추대율을 다소 증가시키는 반면 잡초방제와 수량 증대에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ulching Methods and Removing Dates of Mulch Affects Growth and Post Harvest Quality of Garlic (Allium sativum L.) cv. Uiseong

  • Kwon, Kwon-Seok;Azad, Md. Obyedul Kalam;Hwang, Jae-Moo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4호
    • /
    • pp.293-297
    • /
    • 201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and removing time of the transparent polyethylene (PE) film on the growth of garlic at Uiseong experimental field, Korea. The experimental mulching materials comprised of 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0.025 mm) and net polyethylene (NPE). Plant height and leaf number of garlic were highest at PE treatment when the PE removing date was March 18 and this treatment also promoted the no. of cloves. Length of leaf sheath and bolting rate were highest and bulb weight loss rate was lowest at PE + NPE treatment when the PE removing date was March 18. But clove number was the lowest in this treatment compared to conventional PE film treatment. Conventional mulching method accelerated secondary growth rate but bulb weight loss was vice versa. There were statistically no differences in bulb diameter among treatments but conventional treatment positively focused on bulb diameter. Whenever PE film remove can suppress weeds compared to no mulching treatment but the dry weight of weeds were increasing trends as the removal dates of PE film were delayed. Transparent PE or PE + NPE treatments can be recommended to grow best quality garlic when PE film removing date is March 18.

시비(施肥)와 피복(被覆)이 갯기름나물(식방풍)의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Fertilization and Mulching on Yield and Quality of Peusedanum japonicum THUNBERG)

  • 박노권;이숙희;정상환;박선도;최부술;이원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6-20
    • /
    • 1995
  • $1990{\sim}92$년간 남부지방 식방풍 재배시 3요소 시용랑및 피복처리가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코자 시험한 결과를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1. 3요소 시용량 시험 가. 3요소 각각 결제에 의한 수량 감수율은 질소>인산>칼리순으로 적었다. 나. 식방풍뿌리중 회분 함량과 질소 시비랑과는 부의 유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칼리 시용량과는 정의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 남부지방에서 식방풍 일년생 수확시 시비적량은 $N-P_2O_5-K_2O=21-13-10kg/10a$이었다. 2. 피복효과시험 가. 흑색비닐피복에서 출현율이 무피복 80%보다 6% 낮으나 수량이 7%정도 증수하므로 남부 지역에서는 흑색비닐피복재배가 좋을것으로 생각하며 투명비닐피복재배는 출현율이 낮아 수량이 25% 감수하였다. 나. 피복재료에 따른 식방풍의 품질조사결과 회분, 산불용성회분 및 엑기스 함량은 피복재료간 차이가 없었다.

  • PDF

남부 도서지역에서 황칠나부의 주요형질에 미치는 멀칭재료의 효과 (The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Agronomic Chracteristics of Dendropanox morbifera LEB. In Southern Area of Korea)

  • 최성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7-181
    • /
    • 1996
  • 우리나라 황칠나무의 주요 자생지인 완도지방에서 황칠나무의 재배시 생육을 촉진 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피복의 재료별로 멀칭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멀칭에 의한 토양 수분함량과 지온은 무멀칭가 짚피복에 비하여 투명 P.E 멀칭과 검정 P.E 멀칭이 높은 경향이었다. 황칠나무의 재배시 Pot 육묘한 $2\sim3$년생의 묘목을 이식재배 할 경우, 투명 P.E 벌칭재배는 묘목의 활착율을 높이고, 월동기간 지표의 보온으로 지온이 상승하여 추기 생장이 촉진되어 알맞은 멀칭재료로 생각된다. 그러나 Pot 육묘한 묘목의 투명 P.E 멀칭재배시 잡초의 발생이 증가됨으로 멀칭이 반드시 재초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노동력의 부족으로 제초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검정 P.E 멀칭재배는 잡초의 발생이 억제되어 투명 P.E 멀칭재배보다 잡초의 발생량이 감소되므로 권장할 만한 멀칭재로로 생각된다.

  • PDF

잎들깨 멀칭재배 및 파종기에 따른 생육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Polyethlene Film Mulching and Sowing Date in Vegetable Perilla)

  • 김동관;정찬식;천상욱;국용인;김명석;방극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84-187
    • /
    • 2004
  • 잎들깨 반촉성 재배시 흑색유공 polyethylene 멀칭효과와 파종적기 구명 및 입모향상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흑색유공 polyethylene 멀칭재배가 무멀칭재배에 비해 지온이 높고, 출현이 빠른 반면 성숙이 늦고, 경장이 크며, 엽수량뿐만 아니라 종실수량도 많았다. 2. 생육과 저온피해 등을 고려해 볼 때, 잎들깨의 안정적인 파종기는 1월 상순이었다. 3. 입모향상에 도움이 되는 피복재료는 부직포와 투명 polyethylene이나 출현 후 안정성이나 관리의 편의성 등을 고려해 볼 때 부직포가 적당하였다.

폐면을 이용한 생분해 부직포 멀칭의 제조 및 특성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degradable nonwoven type mulching using waste cotton)

  • 염정현;조진원;이학권;배도규;최진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7권
    • /
    • pp.35-41
    • /
    • 2009
  • In this study, waste natural fibers and natural adhesions were used to prepare an environmental biodegradable nonwoven type mulching material. Especially, the nonwoven mulching with higher content of cotton shows a improved biodegradation. Also, the physical properties of nonwoven mulching with different ratios of cotton/rayon were studied.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biodegradation was controlled by the type of nonwoven materials and adhesions.

  • PDF

감자의 생육과 잡초발생에 미치는 유기물 멀칭의 효과 (Effects of Organic Mulching on Potato Production and Weed Management)

  • 이채영;김태중;이광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87-598
    • /
    • 2010
  • 몇 가지 멀칭 재료가 감자의 생육과 잡초 방제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충북대학교 부속농장에서 2008년 8월 9일부터 2009년 6월 28일까지 수행하였다. 시험 품종은 '수미'였으며, 솔잎, 참나무잎, 짚, 왕겨, 톱밥 멀칭과 대조구(무멀칭) 등 6처리를 하였다. 재배시기에 따라 가을재배와 봄재배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을감자의 초장, 경장, 엽장, 엽중, 괴경중은 솔잎 멀칭구에서 다른 처리와 유의성을 나타냈다. 가을감자 재배시 우점 잡초는 돌피, 명아주이었으며, 봄감자 재배시 우점 잡초는 돌피, 방동사니이었다. 멀칭에 따른 잡초 발생 억제 효과는 모든 멀칭구가 대조구와 유의성을 나타냈다. 수분함량은 왕겨 멀칭구에서 가장 높아 대조구와 차이를 나타냈다. 멀칭 처리구의 지온은 대조구에 비해 가을감자 재배시 $1.0{\sim}2.8^{\circ}C$ 낮았고, 봄감자 재배시 $0.7{\sim}2.3^{\circ}C$ 낮았다. 멀칭재료에 따른 지온은 솔잎 멀칭구, 짚 멀칭구, 낙엽 멀칭구, 왕겨 멀칭구, 톱밥 멀칭구, 대조구 순으로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