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Organic Mulching on Potato Production and Weed Management

감자의 생육과 잡초발생에 미치는 유기물 멀칭의 효과

  • 이채영 (괴산군 농업기술센터 친환경농업과) ;
  • 김태중 (충북농업기술원 원예생명연구과) ;
  • 이광재 (충북농업기술원 원예생명연구과)
  • Received : 2010.04.19
  • Accepted : 2010.06.21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on the growth of potato and weed control at the experimental farm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from August 9 in 2008 to June 28 in 2009. Tested potato, cv. 'Superior', was grown under the different mulching materials such as pine tree leaf, oak tree leaf, rice straw, rice hull and sawdust, and control(non-mulching). We tested two times with autumn and spring culture season. The obtained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plant height, stem length, leaf length, leaf weight and tuber weight in pine tree leaf mulching treatment in autumn season among the treatments. The dominant weeds were Echinochioa crus-galli var. fadmerntacca and Cyperus amvuricus in autumn culture season, while were Echinochioa crus-galli var. fadmerntacca and Digitaria sanguinalis in spring culture season. The appearance of weeds in all of mulching treatment was significant reduced compared to control. The soil moisture content was the highest in rice hull mulching treatment, and that of mulching treatm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The soil temperature of mulching treatments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by from $1.0^{\circ}C$to $2.8^{\circ}C$ in autumn season and from $0.7^{\circ}C$ to $2.3^{\circ}C$ in spring season. The soil temperature was low in the order of pine tree leaf, rice straw, oak tree leaf, rice hull, sawdust, and control.

몇 가지 멀칭 재료가 감자의 생육과 잡초 방제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충북대학교 부속농장에서 2008년 8월 9일부터 2009년 6월 28일까지 수행하였다. 시험 품종은 '수미'였으며, 솔잎, 참나무잎, 짚, 왕겨, 톱밥 멀칭과 대조구(무멀칭) 등 6처리를 하였다. 재배시기에 따라 가을재배와 봄재배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을감자의 초장, 경장, 엽장, 엽중, 괴경중은 솔잎 멀칭구에서 다른 처리와 유의성을 나타냈다. 가을감자 재배시 우점 잡초는 돌피, 명아주이었으며, 봄감자 재배시 우점 잡초는 돌피, 방동사니이었다. 멀칭에 따른 잡초 발생 억제 효과는 모든 멀칭구가 대조구와 유의성을 나타냈다. 수분함량은 왕겨 멀칭구에서 가장 높아 대조구와 차이를 나타냈다. 멀칭 처리구의 지온은 대조구에 비해 가을감자 재배시 $1.0{\sim}2.8^{\circ}C$ 낮았고, 봄감자 재배시 $0.7{\sim}2.3^{\circ}C$ 낮았다. 멀칭재료에 따른 지온은 솔잎 멀칭구, 짚 멀칭구, 낙엽 멀칭구, 왕겨 멀칭구, 톱밥 멀칭구, 대조구 순으로 낮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충길 ․ 박태선 ․ 이상한 ․ 홍무기. 2009. 고추밭 잡초방제용 자연분해 비닐 개발. 한국잡초학회지. 29권. 별(1): 44-47.
  2. 구자옥 ․ 변종영 ․ 전재철. 1999. 잡초 생태학. 향문사. pp. 138-145. 서울.
  3. 김길웅. 1988. 최신 잡초 방제학 원론. 경북대학교 출판부. pp. 72-86. 대구.
  4. 김진한. 2002. 낙엽 멀칭이 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농업과학연구. 19:87-92.
  5. 김진한. 2003. 낙엽 멀칭이 가지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농업과학연구. 20:13-18.
  6. 김진한. 2004. 몇 가지 멀칭 재료가 잔대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농업과학연구. 21: 97-102.
  7. 김진한. 2005. 멀칭재료가 배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농업과학연구. 22:19-22.
  8. 김진한. 2008. 몇 가지 멀칭 재료가 양파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농업과학연구. 24: 47-52.
  9. 노석원 ․ 구연층 ․ 송득영 ․ 박정화 ․ 성기영. 2004. 충청지역 발생 밭 잡초 분포 및 군락 변화. 한국잡초학회지. 24(1): 72-77.
  10. 노석원 ․ 변종영. 2004. 인삼재배에서 멀칭 및 제초제에 의한 잡초 방제. 한국잡초학회지. 24(1): 14-20.
  11. 농림수산식품부. 2009. 농림수산식품통계연보. p. 79. 과천, 농림수산식품부.
  12. 농촌진흥청. 2003. 표준영농교본 감자재배. 수원, 농촌진흥청.
  13. 농촌진흥청. 1995. 농사시험연구 조사 기준. 농촌진흥청. pp. 415-422.
  14. 박재읍 ․ 이인용 ․ 박태선 ․ 임순택 ․ 문병철 ․ 김창석 ․ 조정래 ․ 오세문 ․ 임일빈 ․ 황재복 ․ 구연충. 2003. 최근 한국의 밭 잡초 발생 특성. 한국잡초학회지. 23(3): 277-284.
  15. 변종영. 1985. 착색 폴리에틸렌 필름 멀칭이 잡초의 발아, 발생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잡초학회지. 5: 19-23.
  16. 연규복 ․ 김동수 ․ 박근용 ․ 권용웅 ․ 변종영 ․ 구자옥 ․ 김길웅 ․ 박승의 ․ 강병화 ․ 장영희 ․ 이춘우 ․ 김창석 ․ 최경진. 1991. 한국 전작 잡초 발생 분포 조사와 도감 작성. p. 94. 과학기술처. 서울.
  17. 유성오 ․ 배종향. 2004. 관비재배에서 토양수분이 착색단고추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생물환경조절학회지. 13(2): 102-106.
  18. 임순택 ․ 박재읍 ․ 오세문 ․ 이인용 ․ 박태선 ․ 김창석 ․ 문병철 ․ 조정래. 2002. 경기강원지역의 밭잡초 발생 특성. 한국잡초학회지. 별(2): 55-61.
  19. 전장협 ․ 남정권 ․ 이경보 ․ 조수윤 ․ 심재성 ․ 윤화모. 1997. 토양수분 함량이 생강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30(2): 129-134.
  20. 조정호 ․ 정동식 ․ 한창주 ․ 소재연. 1985. 생강에 대한 차광시기가 수량에 미치는 영향. 전라북도농촌진흥원 시험연구보고서. pp. 440-445.
  21. 최영하 ․ 이한철 ․ 권기범 ․ 이재한 ․ 박동금 ․ 권준국. 1999. 방울토마토 열과발생에 미치는 토양수분 야온, 습도 및 수확간격의 영향. 한국원예학회. 41(2): 169-173.
  22. 최일선. 1999. 감자의 춘추 작 재배에서 멀칭재료에 따른 토양환경 변화와 감자 생육 및 수량.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24-36.
  23. 최중현 ․ 조재영. 1978. 멀칭처리가 감자 추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23: 126-132.
  24. 황재문 ․ 태문식. 2001. 관수와 재배방법에 따른 고추의 생장과 토양 수분 변화. 한국원예학회지. 42(3): 295-299.
  25. 황재복 ․ 송석보 ․ 홍연규 ․ 이동창 ․ 김순철 ․ 박재읍. 2003. 영남지역 전작물별 잡초 발생 양상. 한국잡초학회지. 별(1): 107-109.
  26. 황재복 ․ 송석보 ․ 홍연규 ․ 정기열 ․ 박성태 ․ 김순철. 2004. 휴경밭의 토양수분 함량별 잡초 발생 군락 특성. 한국잡초학회지. 24(4): 253-261.
  27. Fortin, M. C. and F. J. Pierce. 1991. Timing and nature of mulch retardation of corn vegetative development. Agron. J. 83: 258-263. https://doi.org/10.2134/agronj1991.00021962008300010058x
  28. Gregory, J. Scott, Mark W. Rosegrant, Claudia Ringler. 2000. Roots and tubers for the 21st century. Trends, projections, and policy options. International Food Polcy Research Institute. Washington. p. 25. USA.
  29. Jensen, M. H. 1988. The achievements on the use of plastic in agriculture. International seminar on the utilization of the plastics in agriculture. Food & Fertilizer Technology Center for the Asian and Pacific Region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of Korea. pp. 1-17.
  30. Kim, W-I., G-B. Jung, M-H. Koh, M. G. Huck, and R-D. Park. 2002. Effects of soil types and tillage systems on soil water movement in the root zone of corn fields. Kor. J. Soil & Fert. 35(4): 197-206.
  31. Lodhi, M. A. K., R. Bilai, and K. A. Malik. 1987. Allolepathy in agroecosystems: wheat toxicity and its possible roles in crop rotation. J. Chem. Ecol. 13: 1881-1891. https://doi.org/10.1007/BF01013237
  32. Tindall, J. A., R. B. Beverly, and D. E. Radcliffe, 1991. Mulch effect on soil properties and Tomato growth using micro-irrigation. Agron. J. 83: 1028-1034. https://doi.org/10.2134/agronj1991.00021962008300060019x
  33. Unger, P. W. 1978. Straw mulch effects on soil temperatures and sorghum germination and growth. Agron. J. 70: 858-864. https://doi.org/10.2134/agronj1978.0002196200700005003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