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yamoya disease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5초

Phenytoin에 의한 항경련제 과민증후군의 스테로이드 치험증례 (Steroid Therapy in Phenytoin Hypersensitivity Syndrome Patient)

  • 김영옥;서정필;김은일;조석구;이창돈;이종육;유도성;김달수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2호
    • /
    • pp.1673-1676
    • /
    • 2000
  • Anticonvulsant hypersensitivity syndrome is a rare but fatal complication. It manifests as fever, skin rash, lymphadenopathy, and hepatitis. Phenytoin, phenobarbital, and carbamazepine are the most frequently involved drugs. We here report a case of phenytoin-induced anticonvulsant hypersensitivity syndrome. A 37-year-old woman presented with fever and generalized skin rash, 3 weeks following commencement of phenytoin 400mg daily for treatment of seizure after superficial temporal artery-middle cerebral artery(STA-MCA) anastomosis for moyamoya disease. Her temperature was $39.3^{\circ}C$ and her face was edematous. Laboratory findings showed elevated hepatic enzymes and eosinophilia. Blood and urine culture were all negative. Initially, prednisolone was commenced at 30 mg daily. But fever and skin rash did not improved and hepatic function was more aggravated. After increasing dose of steroid(methylprednisolone 125mg/day), fever and skin rash disappeared and hepatic enzymes returned to normal range.

  • PDF

Protocols and Results of Resident Neurosurgeon's Transfemoral Catheter Angiography Training Supervised by Neuroendovascular Specialists

  • Shin, Dong-Seong;Yeo, Dong-Kyu;Hwang, Sun-Chul;Park, Sukh-Que;Kim, Bum-Tae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4권2호
    • /
    • pp.81-85
    • /
    • 2013
  • Objective : Transfemoral catheter angiography (TFCA) is a basic procedure in neurovascular surgery with increasing importance in surgical and non-invasive treatments. Unfortunately, resident neurosurgeons have relatively few opportunities to perform TFCA in most institutions. We report a method developed in our hospital for training resident neurosurgeons to perform TFCA and evaluate the efficacy of this training. Methods : From May 2011 to September 2011, a total of 112 consecutive patients underwent TFCA by one resident neurosurgeon supervised by two neuroendovascular specialists. Patients who underwent elective diagnostic procedur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atients who underwent endovascular treatment were excluded. Demographic data, indications for TFCA, side of approach, number of selected arteries, an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 This study included 64 males and 48 females with a mean age of 51.6 (12-81) years. All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the angiography suite. Common indications for procedures were as follows : stroke-induced symptoms in 61 patients (54.5%), Moyamoya disease and arteriovenous malformation in 13 patients (11.6%), and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in eight patients (7.1%). Right and left femoral puncture was performed in 98.2% and 1.8% of patients, respectively. A total of 465 selective angiographies were performed without complications. Angiographic examination was performed on 4.15 vessels per patient. Conclusion : TFCA can be performed safely by resident neurosurgeons based on anatomical study and a meticulous protocol under the careful supervision of neuroendovascular specialists.

SWI의 신경영상분야의 임상적 이용 (Clinical Applications of Neuroimaging with Susceptibility Weighted Imaging: Review Article)

  • 노근탁;강현구;김인중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8권4호
    • /
    • pp.290-302
    • /
    • 2014
  • 목적: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 (Susceptibility-weighted imaging)은 혈액분해산물, 석회화, 철 침착물을 발견하는데 있어 높은 민감도를 보이는 3D spoiled gradient-echo pulse sequence 이다. 본 임상화보는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의 주된 임상적 적용에 대해 설명하고 논의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대상과 방법: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은 자기강도영상 (magnitude image)과 위상영상 (phase image)을 이용한 고해상도, 3D fully velocity-compensated gradient-echo sequence 에 기초를 두고 있다. 정맥 구조물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강도영상은 여과된 위상 데이터 (phase data) 로부터 발생된 위상 마스크 (phase mask)를 이용해 증폭되고, 이것은 최소강도투사 (Minimal intensive projection) 알고리즘을 이용한 3D dataset 후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3T 자기공명기기에서 SWI를 포함하는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한 총 2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은 다양한 뇌 질환의 발견에 매우 유용하였다. 200명의 환자 중 80명은 선천성 정맥 기형, 22명은 해면상 혈관종, 12명은 다양한 질환에서의 석회화, 21명은 혈관자화 징후 (susceptibility vessel sign) 또는 미세출혈을 동반하는 뇌혈관 질환, 52명은 뇌종양, 2명은 미만성 축삭 손상, 3명은 동정맥 기형, 5명은 뇌경막 동정맥루, 1명은 모야모야병, 그리고 2명은 파킨슨병이 관찰되었다. 결론: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은 미세 저혈량 혈관성 병변, 석회화 그리고 미세출혈과 다양한 뇌병변의 진단에 유용하다.

천측두동맥-중대뇌동맥 문합술 후 발생한 일과성 신경학적 악화에서 뇌관류 SPECT를 이용한 과관류 평가 (Assessment of Hyperperfusion by Brain Perfusion SPECT in Transient Neurological Deterioration after Superficial Temporal Artery-Middle Cerebral Artery Anastomosis Surgery)

  • 이정원;김유경;이상미;어재선;오창완;이원우;팽진철;김상은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4호
    • /
    • pp.267-274
    • /
    • 2008
  • 목적: 일과성 신경학적 악화(transient neurological deterioration, TND)는 재관류술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중 하나이며, 수술 직후 발생하는 일과성 과관류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TND 발생에 따른 수술 전후 뇌관류의 변화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9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시행된 60건의 천측두동맥-중대뇌동맥 문합술을 받은 환자 56명(남:여=29:27, 평균연령: $50{\pm}16$세, 죽상경화성혈관 질환: 33건, 모야모야병 27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전과 술후 10일에 $^{99m}Tc$-ECD 기저/아세타졸아미드 부하 뇌관류 SPECT를 시행하여 기저 뇌관류와 뇌혈류예비능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술후 3일과 10일에 뇌관류 SPECT를 시행하여 기저 뇌관류를 측정하였다. 각 뇌관류 SPECT에서 나온 결과를 SPM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60건의 STA-MCA 우회술 중 6건(10%)에서 술후 TND가 발생하였다. 전체 환자에서 수술 전 병측 부위 중간대뇌동맥영역의 뇌관류가 반대측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p=0.002), 술후 3일과 10일의 기저뇌관류는 수술 전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p=0.02). TND가 발생환 환자가 나머지 환자에 비해 수술 전기저뇌관류와 뇌혈류예비능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p=0.01, p=0.05), 기저뇌관류의 증가율도 술후 3일에 유의미하게 높았다(p=0.008). 그러나, 술후 3일과 10일에 TND 환자와 나머지 환자간에 뇌관류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n.s.). 반대측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병측 부위의 뇌관류량의 비율을 구한 상대적 관류량은 TND 환자가 나머지 환자에 비해 술후 3일에 유의하게 높았으나(p=0.002), 술 전과 술후 10일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n.s.). 결론: 이 연구에서는 TND 발생군에서 비발생군에 비해 술후 상대적인 중등도의 과관류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TND의 병태생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