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Variable Factors for Brain Perfusion SPECT(Diamox) Scan

Brain Perfusion SPECT(Diamox) 검사의 수행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 Lee, Jin-Hyeo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Kim, Sang-E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Park, Hyeon-So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Yeoung-Ja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Lee, In-W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이진형 (분당서울대병원 핵의학과) ;
  • 김상언 (분당서울대병원 핵의학과) ;
  • 박현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박영재 (분당서울대병원 핵의학과) ;
  • 이인원 (분당서울대병원 핵의학과)
  • Received : 2011.06.28
  • Accepted : 2011.07.05
  • Published : 2011.11.05

Abstract

Purpose: Head movement during brain perfusion SPECT (Diamox) scan is a one of important issues which decreases image quality. It also causes repeated scan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variable factors causing scan failures. Materials and Methods: 676 patients (359 men, 317 women, age average $54.5{\pm}18.4$) for brain perfusion SPECT (Diamox) scan from March, 2010 to Feb. 2011 were used as a subject. Age data and the kind of disease(Moyamoya disease (MMD), None moyamoya disease (NMMD), Cerebral infarction (CI)), test performance outcome (success,failure) were collected. The head movement factors(gender, disease, age, head fixation device) were evaluated by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 showed that men had higher scan failure rate than women. Seniors in seventies(men 3.4%, women 1.5%) showed the most highest failure rate. Using head fixation device increased scan success rate up to 94.4~97.7%. The scan success rate is dependent upon gender, head fixation device by chi-square test(${\chi}^2$=3.8 (df=1, p<0.05), ${\chi}^2$=10.4 (df=1, p<0.001)) Gender, disease(CI), head fixation device showed very effective result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Wald=3.3 (p<0.07), Wald=3.7 (p<0.05), Wald=9.3 (p<0.05) Conclusion: It is demonstrated that gender, disease, using head fixation device is statistically very useful factors. Especially, head fixation device is a main key minimizing repeated scan.

Brain Perfusion SPECT (Diamox)는 아세타졸아미드를 사용하여 혈관예비능을 평가하는데 아주 유용한 검사이다. 1day-protocol method는 영상의 질이 뛰어나고 한 번에 두 가지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어, 검사실과 내원 환자에 모두 유리하다. 하지만 긴 검사시간으로 인해 다른 검사보다 재검사율이 높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시행한 환자의 성별, 나이, 상병, 머리고정기구 사용 여부에 따른 재검사율을 파악하여 검사의 최적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2010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시행한 환자 676명(남:359명, 여:31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머리의 움직임을 유발하는 요인을 성별, 연령, 상병의 종류, 머리고정기구 적용여부로 나누어 검사결과에 기여하는 여부와 정도를, 카이제곱 검정기법과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기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남성이 3.4%, 여성이 1.5%로 남성이 여성보다 실패율이 높았으며, 70대가 1.0%로 가장 높은 실패율을 보였다. 카이제곱 검정결과 p-value는 0.001미만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에서는 성별, 상병(CI), 머리고정기구 사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평가 되었다. 각각의 Wald value는 3.3, 3.7, 9.3으로 머리고정기구의 사용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연령을 제외한 성별과 상병 그리고 머리고정기구 사용이 검사수행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영향력을 가지는 요인들임을 알게 되었으며. 그 중 머리고정기구 사용은 검사수행결과에 끼치는 영향이 가장 큰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검사의 시행에 있어서 머리고정기구를 필수적으로 사용한다면 Brain Perfusion SPECT(Diamox)검사의 재검사율을 크게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