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ving bottom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6초

불연속면을 포함한 사질토 지반에서 터널 굴착에 따른 하중전이 (Load transfer mechanism due to tunnel excavation in the jointed sandy ground)

  • 이상덕;김양운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217-22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활동성 불연속면을 포함하고 있는 모래지반에 터널을 굴착할 때에 터널 주변의 원지반에 발생되는 아칭을 규명하기 위하여 터널 상부의 토피고와 불연속면의 위치 및 각도를 변화시켜가며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모형실험기의 중앙에 수직으로 이동이 가능한 가동판을 설치하고 모래지반 조성 후에 가동판을 강하시켜서 터널 굴착을 모형화 하였고, 토조의 바닥판에 로드셀을 부착하여, 아칭에 의한 하중전이를 측정하였다. 굴착에 의한 지표면의 침하거동은 변위측정센서를 지표면에 설치하여 측정하였으며, 실험 중에 연속사진촬영을 실시하고 지반조성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 측점의 움직임을 관측하여 굴착에 의한 지반이완형태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터널굴착시 불연속면의 각도와 위치, 그리고 터널 상부의 토피고에 따라서 하중전이 형태와 이완영역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지반의 이완영역이 터널과 인접해 있는 불연속면을 따라 주변지반으로 점차 확대되어 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기하학 정보와 객체 추출을 통한 실시간 높이 측정 (The Real-Time Height Measurement through a Geometry Information and 0bject Extraction)

  • 김종수;김태용;최종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2C호
    • /
    • pp.1652-1659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기하학 정보를 이용하여 기저 평면에서 움직이는 객체의 높이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알고리즘은 설정된 위치에서 이동하는 객체의 높이를 각 프레임 마다 사용자 입력을 통해 측정하여 실시간에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입력 영상에서 움직임 객체의 영역을 추출하여 객체의 높이를 자동으로 측정한다. 입력 영상에서 픽셀 정보와 시간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움직임 객체를 추출하고 반복적인 계산을 통해 실제와 근소한 객체의 바닥점과 높이점을 추출한다 이 두 점 사이의 높이 계산은 기하학정보인 소실점(Vanishing point), 소실선(Vanishing line)과의 계산을 통해 이루어진다. 측정된 높이는 신뢰도 평가를 통해 모의실험에서 실제 높이와 유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동해 해역에서 해저면 잔향음 및 통계적 특징 (Ocean bottom reverberation and its statistical characteristics in the East Sea)

  • 정영철;이근화;성우제;김성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2-9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15년 8월, 동해 동남방 해역에서 수행된 해양 잔향음 빔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잔향음 데이터는 이동하는 연구선에 의해 예인된 LFM (Linear Frequency Modulation) 음원과 삼중선 배열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신호처리 과정을 거친 이후 해저지형, 음원/수신기 수심, 음속구조에 따른 잔향음 준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추가로 해저 잔향음의 확률적 특성을 해석하기 위해 셀 평균화 알고리즘이 적용된 정규화 데이터가 활용되었고, 모멘트 추정기법을 통해 형상 모수를 추정하여 해저 산란체의 확률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또한, 콜모고로프 스미르노프 검정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레일레이 분포와 K 분포 확률에 일치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해저 지형에 따른 잔향음의 거리종속 특성과 음원/수신기 수심에 따른 시간 지연 및 세기 변화를 확인하였고, 잔향음에서 레일레이 확률분포와 유사한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동해 중부연안에 서식하는 대문어(Enteroctopus dofleini) 흘림낚시의 어획실태에 관한 연구 (Catch status of the giant pacific octopus, Enterocotpus dofleini, by drift line fishery in the central coast of the East Sea, Korea)

  • 서영일;이수정;양재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8권4호
    • /
    • pp.310-316
    • /
    • 2022
  • Giant pacific octopus, Enteroctopus dofleini, is a large mollusk distributed in the East Sea of Korea. In this study, the catch status of giant pacific octopus by drift line fishery and the effect of sea temperature on fishing ground were investigated in Goseong-gun, Gangwon-do, which is the central coast of the East Sea. The average catch of giant pacific octopus in Gangwon-do was 1,570 tons over the past ten years, and it accounted for 21% in 2008 and 44% in 2021 compared to the total catch in the East Sea during the same period. Such data indicates that the catch in Gangwon-do has recently increased. In this study area, giant pacific octopus weighing 1.1-5.0 kg dominated accounting for 56% of the total individuals, and followed by those weighing 1 kg or less. However, the ratio of catch of giant pacific octopus over 5.1 kg tended to increase in 2021, which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sea temperature that affected the fishing ground. The main depth of fishing ground was from 21 m to 50 m in this area and fishing grounds were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season except summer. Fishing ground was formed with the conditions of bottom sea temperature under 10℃ and was diminished by moving of giant pacific octopus to deeper depth with conditions of bottom sea temperature over 18℃.

AHP 기법을 이용한 부유식 해상 풍력 단지 내 근해자망어업 위험 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for offshore gillnet fisheries in the floating offshore wind farms based on AHP technique)

  • 안종갑;박유진;정유진;안영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9권4호
    • /
    • pp.354-361
    • /
    • 2023
  • In this study, the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was used to analyze the risk of expected risk factors and fishing possibilities during gillnet fishing within the floating offshore wind farms (floating OWF). For this purpose, the risks that may occur during gillnet fishing within the floating offshore wind farms were defined as collisions, entanglements, and snags. In addition, the risk factors that cause these risks were classified into three upper risk factors and ten sub risk factors, and the three alternatives to gillnet fishing available within the floating OWF were classified and a hierarchy was established. Lastl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fisheries and marine experts and the response resul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top risk factors, the risk was the greatest when laying fishing gear. The risk of the sub factors for each upper risk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t the berthing (mooring), the final hauling of fishing net, and the laying of the bottom layer net. Based on the alternatives, the average of the integrated risk rankings showed that allowing full navigation/fisheries had the highest risk. As a result of the final ranking analysis of the integrated risk, the overall ranking of allowing navigation/fisheries in areas where bottom layer nets were laid was ranked the first when moving vessels within the floating OWF was analyzed as the lowest integrated risk ranking of the 30th at the ban on navigation/fisheries. Through this, navigation was analyzed to be possible while it was analyzed that the possibility of gillnet fishing within the floating OWF was not high.

초음파의 통과시간을 이용한 목재 결점부위의 평가 (Determination of Localized Defects in Wood by the Transfer Time of Ultrasonic Waves)

  • 박준철;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61-68
    • /
    • 2008
  • 초음파 시험기를 이용하여 목재의 파단형상이 초음파의 속도에 미치는 영향과 송수신단자의 위치 변화를 통한 효율적인 결점부위 탐색방법을 검토하였다. 파단의 방향에 따른 초음파 속도는 송수신 단자와 평행방향의 파단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수직방향 파단에서만 영향을 주었다. 이는 초음파의 진행 경로에 결점부위가 위치하지 않을시 결점을 파악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였다. 또한, 초음파의 진행방향과 수직으로 파단이 되었더라도 초음파가 진행되는 직선상에 파단부위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파단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점부위 판별 방법은 송수신 단자를 시편 양끝부분에 서로 엇갈리게(한쪽은 상단부에 반대편은 하단부에 위치) 위치시켰을 때 파단 존재여부가 확인되었다. 일정구간의 파단을 확인한 후 두 송수신 단자를 폭 방향으로 마주보게 위치시켜 구간별로 이동시키며 탐색하면 결점부위가 정밀하게 판별되었다.

낮은 레이놀즈 수에서 벽면에 근접하여 이동하는 실린더 주위의 유동해석 (Flow Analysis over Moving Circular Cylinder Near the Wall at Moderate Reynolds Number)

  • 곽승현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6권8호
    • /
    • pp.1091-1096
    • /
    • 2012
  • 유한체적법을 기반으로 나비에 스톡스 방정식을 비구조격자로 풀어 실린더 주위의 공력특성을 규명하였다. 보텍스, 속도, 압력, 잔차, 항력계수 등의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하였고 레이놀즈 수는 50, 100이다. 유동특성은 Re>50에서 주기적으로 진동하는 소용돌이를 후류에 형성하며 이 현상은 이동하는 실린더에서도 유사한 현상을 보여 주었다. 지면효과는 실린더 위쪽에서 형성된 소용돌이가 벽면에 근접할수록 실린더의 후방으로 길게 늘어나는 형상을 보이고, 실린더와 근접벽면 사이의 유속이 정체되어 실린더와 벽면 사이의 간격이 0.6 에서는 근접 평판과 실린더 사이의 유동이 거의 끊겨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수치계산의 검증을 위하여 항력계수를 타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진동만의 용존산소량 예측 (Prediction of Dissolved Oxygen in Jindong Bay Using Time Series Analysis)

  • 한명수;박성은;최영진;김영민;황재동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82-39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하여 진동만의 용존산소량 예측을 하였다. 관측자료에 존재하는 결측 구간을 보간하기 위해 양방향재귀신경망(BRITS, Bidirectional Recurrent Imputation for Time Series)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였고, 대표적 시계열 예측 선형모델인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과 비선형모델 중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LSTM(Long Short-Term Memory) 모델을 이용하여 진동만의 용존산소량을 예측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결측 구간 보정 실험은 표층에서 높은 정확도로 보정이 가능했으나, 저층에서는 그 정확도가 낮았으며, 중층에서는 실험조건에 따라 정확도가 불안정하게 나타났다. 실험조건에 따라 정확도가 불안정하게 나타났다. 결과로부터 LSTM 모델이 중층과 저층에서 ARIMA 모델보다 우세한 정확도를 보였으나, 표층에서는 ARIMA모델의 정확도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 정밀 측위용 이중대역 GPS 안테나 설계 (Design of a Vehicle-Mounted GPS Antenna for Accurate Positioning)

  • 느팜;정재영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45-150
    • /
    • 2016
  • 자율주행 차량 구현에 있어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동기준국 차분 측위 기술은 차량에 복수의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의 위상차를 통해 정밀 측위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로, 이를 위해 차량의 평평하고 넓은 루프를 접지면으로 하는 이중대역 및 이중 원형편파 안테나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안테나는 GPS L1과 L2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을 일으키는 이중대역 안테나로써, 기존 안테나와 달리 급전부가 안테나 측면에 위치하여 복수의 안테나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 적합하다. 안테나 설계안은 중요 파라미터들의 이론값을 토대로 모델링한 초기 모델을 3D 전파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최적화하는 방법으로 도출하였다. 최적화된 안테나의 시뮬레이션값과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L1과 L2에서 대역폭 6.1%와 3.7%, 축비 1%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안테나 크기는 $73mm{\times}73mm{\times}6.4mm$로 소형 구조의 장점을 갖췄다.

한국 동해 연안에 내유한 산란기 도루묵, Arctoscopus japonicus의 행동습성 (Behaviour habitats of sailfin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approaching toward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in the spawning season)

  • 안희춘;이경훈;이성일;박해훈;배봉성;양재형;김종빈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35-42
    • /
    • 2011
  • Behaviour habitats of sailfin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one of the stock recovery species of Korea, were investigated when they were approaching toward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during spawning season. Underwater surveys were conducted in December, 2009 at Jug-island, Goseong, Gangwon-province to observe the behaviour of sailfin sandfish by underwater video camera and underwater camera, and the body characteristics of sailfin sandfish caught by gillnet were measured. It was observed that the species generally move in school but a few of individuals go out of the school to approach and dig into the sand bottom. Eggs of sailfin sandfish were shown in many cases to be attached to seaweed like Sargassum fulvellum and Zostera mairna. The females maintain its body in horizon and shake the body to breed eggs.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males spray sperm on the eggs attached on seaweed. Sailfin sandfish is assumed to make diurnal migration by moving to the shallow coast at night for spawning and fertilization, and moving out to the offshore at sunr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