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vie review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4초

네이버 영화 리뷰 데이터를 이용한 의미 분석(semantic analysis) (Semantic analysis via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using Naver movie review data)

  • 김소진;송종우
    • 응용통계연구
    • /
    • 제35권1호
    • /
    • pp.19-33
    • /
    • 2022
  • SNS의 등장으로 인터넷 이용자들이 온라인에 남기는 텍스트의 양이 방대해지고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있다. 특히 네이버의 영화 탭에서 볼 수 있는 영화 평점이나 리뷰는 실제로 관객들이 영화를 보기 전 해당 영화를 볼 것인지 결정하는 데 주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실제 네이버 영화 리뷰 데이터를 가지고 평점을 예측하는 분석을 수행했다. 영화 리뷰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평점의 분포를 통해 데이터 특성을 살펴보았고, 텍스트의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형태소 분석을 통한 한국어 자연어처리를 수행했다. 또한 평점 예측에 활용할 모델 선택을 위해 2-Class와 multi-Class 문제들에 대해 머신러닝과 딥러닝, 회귀와 분류 분석을 비교했으며, 오분류의 원인을 영화 리뷰 데이터 특성과 연관시켜 서술했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영화 흥행에 따른 리뷰길이 변화 (Changes in Review Length Based on the Popularity of Movies Using Big Data)

  • 조용희;박이슬;김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67-37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영화 관람 후 높은 평점을 매긴 집단과 낮은 평점을 매긴 집단 중 어느 집단이 영화에 대해 더 많은 이야기를 하는지, 즉 온라인 리뷰를 길게 작성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 영화 API에서 제공하는 영화 평점과 리뷰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한국영화진흥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영화 손익분기점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화를 흥행성공, 흥행부진, 흥행실패로 구분하여 영화 평점과 리뷰길이 간의 상관관계, 영화 개봉 전과 후, 흥행여부에 따른 리뷰길이의 특성, 마지막으로 영화 평점이 리뷰길이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제시하였다.

영화 흥행성과 예측을 위한 온라인 리뷰 마이닝 연구: 개봉 첫 주 온라인 리뷰를 활용하여 (Predicting Movie Revenue by Online Review Mining: Using the Opening Week Online Review)

  • 조승연;김현구;김범수;김희웅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13-134
    • /
    • 2014
  • 온라인 리뷰는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을 통해 그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사전 정보로 통해 소비가 결정되는 영화는 온라인 리뷰가 소비자들의 영화 결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관련 온라인 리뷰를 영화 소비 후 소비자들의 평가 정보라 가정하고, 이를 활용한 영화 흥행성과 예측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를 통하여 영화관련 온라인 리뷰에 감독, 배우, 스토리, 효과 등의 독립적인 속성 및 종합적인 평가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각 속성을 2개 이상 평가하고 있는 복합형 리뷰 10가지를 추가하여 총 15가지로 온라인 리뷰 분류하였다.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개봉한 한국영화 중 상업영화 209개의 개봉 첫 주 온라인 리뷰를 온라인 리뷰 마이닝을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리뷰 마이닝 결과를 판별분석을 통한 영화 흥행성적 예측모형을 제시한다.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온라인 리뷰로부터 도출된 감독, 배우, 효과 및 스토리 관련 평가와 개봉 첫 주 전체 온라인 리뷰 수가 유의미하게 변별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영화 리뷰 시각화 (A Visualization of Movie Review based on a Semantic Network Analysis)

  • 김슬기;김장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7-20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네이버 영화> 페이지의 리뷰 데이터를 수집하여, 출현 빈도가 높은 단어를 중심으로 영화 관람객의 반응을 시각화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총 6편의 영화를 선정하여 데이터 수집 및 정제과정을 거쳤으며,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단어 간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데이터 시각화 작업에는 UCINET과 함께 패키지화된 NetDraw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문장으로 작성된 영화 관람객의 리뷰를 키워드 중심으로 시각화하여, 소비자들의 반응을 한 눈에 확인하는 리뷰 인터페이스 구현이 가능한지 탐색하였다는 점이다.

  • PDF

워드 임베딩과 CNN을 사용하여 영화 리뷰에 대한 감성 분석 (Sentiment Analysis on Movie Reviews Using Word Embedding and CNN)

  • 주명길;윤성욱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87-97
    • /
    • 2019
  • Reaction of people is importantly considered about specific case as a social network service grows. In the previous research on analysis of social network service, they predicted tendency of interesting topic by giving scores to sentences written by user. Based on previous study we proceeded research of sentiment analysis for social network service's sentences, which predict the result as positive or negative for movie reviews. In this study, we used movie review to get high accuracy. We classify the movie review into positive or negative based on the score for learning. Also, we performed embedding and morpheme analysis on movie review. We could predict learning result as positive or negative with a number 0 and 1 by applying the model based on learning result to social network service. Experimental result show accuracy of about 80% in predicting sentence as positive or negative.

Visualization of movi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he sentimental vocabulary distribution map

  • Ha, Hyoji;Han, Hyunwoo;Mun, Seongmin;Bae, Sungyun;Lee, Jihye;Lee, Kyung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9-29
    • /
    • 2016
  •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to refine a massive collective intelligence data, and visualize with multilevel sentiment network, in order to understand information in an intuitive and semantic way. For this study, we first calculated a frequency of sentiment words from each movie review. Second, we designed a Heatmap visualization to effectively discover the main emotions on each online movie review. Third, we formed a Sentiment-Movie Network combining the MDS Map and Social Network in order to fix the movie network topology, while creating a network graph to enable the clustering of similar nodes. Finally, we evaluated our progress to verify if it is actually helpful to improve user cognition for multilevel analysis experience compared to the existing network system, thus concluded that our method provides improved user experience in terms of cognition, being appropriate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semantic understanding.

영화리뷰 감성 분석을 통한 평점 예측 연구 (Sentiment Analysis of movie review for predicting movie rating)

  • 조정태;최상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3호
    • /
    • pp.161-177
    • /
    • 2015
  • 인터넷 포털은 많은 양의 정보를 빠르고 쉽게 이용 할 수 있다는 특성 때문에 지속적으로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웹 이용자들은 다양한 정보 습득, 네티즌 간의 정보 교환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포털 사이트를 사용하고 있다. 문화콘텐츠 이용자들은 타인의 경험을 미리 알아보기 위해 포털 사이트에서 정보를 검색한 후 해당콘텐츠를 사용하고 개인적인 의견을 게시하기도 한다. 영화를 보고자 하는 이용자들은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얻는 과정에서 영화에 대한 다른 이용자들이 게시한 다양한 정보들을 접하게 된다. 영화 관련 포털사이트에서는 영화에 대한 제한된 글자수의 리뷰와 평점을 제공하는데 이와 같은 정보의 영향으로 영화에 대한 태도를 형성할 뿐 아니라, 영화 관람 여부를 결정하도록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영화 리뷰는 사용자가 전체를 읽을 수 없기 때문에 일부 리뷰와 리뷰 개개의 평점보다는 전체 평점을 참고 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정도가 대부분이다. 이처럼 전체 평점만을 참고하게 되면 편향적인 정보 습득으로 인하여 잘못된 판단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리뷰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리뷰는 사용자의 의견을 풍부하게 드러내고 영화를 보지 않은 다른 이용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다양한 실용적 활용성을 갖는 데이터임은 분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리뷰 데이터를 활용하여 평점을 예측하기 위한 평점예측 연구를 수행하였다. 리뷰테이터를 형태소로 추출하고 형태소별로 극성값을 계산하여 리뷰에 대한 평점을 예측하는 모형으로서, 기존의 긍부정 값만을 근거로 하는 모형에 비해 정확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 PDF

Movie Review Classification Based on a Multiple Classifier

  • Tsutsumi, Kimitaka;Shimada, Kazutaka;Endo, Tsutomu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481-488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classify movie review documents into positive or negative opinions. There are several approaches to classify documents.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used only a single classifier for the classification task. We describe a multiple classifier for the review document classification task. The method consists of three classifiers based on SVMs, ME and score calculation. We apply two voting methods and SVMs to the integration process of single classifiers. The integrated methods improved the accuracy as compared with the three single classifier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our method.

  • PDF

The Impact of Initial eWOM Growth on the Sales in Movie Distribution

  • Oh, Yun-Ky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9호
    • /
    • pp.85-93
    • /
    • 2017
  • Purpose - The volume and valence of online word-of-mouth(eWOM) have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he retailer's market success for a wide range of product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growth of eWOM has generated the product's final financial outcomes in the introductory period influenc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uses weekly box office performance for 117 movies released in the South Korea from July 2015 to June 2016 using Korean Film Council(KOFIC) database. 292,371 posted online review messages were collected from NAVER movie review bulletin board. Using regression analysis, we test whether eWOM incurred during the opening week is valuable to explain the last of box office performance. Three major eWOM metrics were considered after controlling for the major distributional factors. Results - Results support that major eWOM variables play a significant role in box-office outcome prediction. Especially, the growth rate of the positive eWOM volum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potential in sales. Conclusions - The findings highlight that the speed of eWOM growth has an informational value to understand the market reaction to a new product beyond valence and volume. Movie distributors need to take positive online eWOM growth into account to make optimal screen allocation decisions after release.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영화 리뷰 시각화 (A Visualization of Movie Reviews based on a Semantic Network Analysis)

  • 김슬기;김장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6
    • /
    • 2019
  • 본 연구는 <네이버 영화> 페이지의 리뷰 데이터를 수집하여, 출현 빈도가 높은 단어를 중심으로 영화 관람객의 반응을 시각화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총 6편의 영화를 선정하여 데이터 수집 및 정제과정을 거쳤으며,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단어 간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데이터 시각화 작업에는 UCINET과 함께 패키지화된 NetDraw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문장으로 작성된 영화 관람객의 리뷰를 키워드 중심으로 시각화하여, 소비자들의 반응을 한 눈에 확인하는 리뷰 인터페이스 구현이 가능한지 탐색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영화 리뷰를 구성하는 키워드를 시각화하고, 리뷰 내용에서 영화별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후속 연구는 보다 많은 영화의 리뷰를 활용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각 영화별 리뷰의 수도 비슷한 양으로 맞추어 연구에 활용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