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or tic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6초

부주의한 뚜렛장애 환자에게 뉴로피드백을 병행한 치험 1례 (A Case of Inattentive Tourette Syndrome Patient with Side Neurofeedback Treatment)

  • 천영호;김보경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7-288
    • /
    • 2008
  • We have cared for a 13years old boy, who has Tourette Syndrome and symptoms of vocal tic and motor tic for 5years, since 9months ago. We have treated him with korean herb medicine, 8-constitution acupuncture, Chimsband, Neurofeedback, EFT therapy. After taking treatment, his YGTSS score was down to 38 from 119, and his tic symtoms altered for the better. We think korean herb medicine had a powerful effect and Neurofeedback was effective. Especially, SMR Beta Training of all programs of Neurofeedback was effective and well-directed. The EFT program helped him improved also, but it need much of time to apply. When we evaluated the condition of patient who was under the Cans 3000, we could not find any relationship between tic symtoms and Cans 3000. When we treat Tourette Syndrome, having the patience is important at a distance of time. Because Tourette Syndrome is a kind of unstable symptoms, so we would not care to predict what the result will be in a brief space of time.

  • PDF

한의원에 내원한 틱장애 아동 환자의 한의복합치료 후 개선 효과: 후향적 관찰 연구 (Effect of Complex Korean Medical Treatment on Tic Disorder in Children Who Visited the Neuropsychiatric Clinic of Korean Medicine: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 김동희;최유민;유종호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61-69
    • /
    • 2023
  • Objective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plex Korean medical treatment on tic disorder in children who visited the neuropsychiatric clinic of Korean medicine. Methods: Medical records of 35 patients diagnosed with tic disorder based on DSM-V who received complex Korean medical treatment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Korean psychotherapy) were reviewed. Tic disorder was then evaluated by Yale Global Tic Severity Scale (YGTSS) before and at 4, 8, and 12 weeks after treatment to determine whether their symptoms were improved. Results: 1) After the treatment, mean YGTSS was reduced from 35.54±14.77 to 23.20±12.6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between scores according to the time of treatment (p< 0.05). 2) At the time of visit, symptoms of motor tics were in the order of eyes, neck and shoulders, mouth, head and arms & hands, nose, face, upper body and other parts, and legs and symptoms of vocal tics were in the order of sniffing, dry coughing and MMM, AA and whistling, and other sounds. 3) For 35 patients, herbal medicine was prescribed every two weeks. The frequency of prescriptions used was in the order of Shihogayonggolmoryo-tang, Gami-ondam-tang, and others. 4) The frequency of herbs used in 35 patients was in the order of Poria, Zingiberis Rhizoma Recens, Pinelliae Rhizoma and Scutellariae Radix, Bupleuri Radix, Ostreae Concha and Bovis Ossis Fossilia, and others. Conclusions: Complex Korean medical treatment including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Korean psychotherapy is effective for reducing tic symptoms in children.

틱 장애의 진단분류에 따른 임상특징과 질환 심각도와 연관된 변인들 (THE CLINICAL FEATURES OF THREE SUB-DIAGNOSED GROUPS OF TIC DISORDERS AND FACTORS RELATED WITH ILLNESS SEVERITY)

  • 정희연;황정민;정선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1호
    • /
    • pp.115-124
    • /
    • 2001
  • 연구목적:본 연구는 일과성 틱 장애(Transient tic disorder:TTD), 만성 틱 장애(chronic tic disoder:CTD), 뚜렛 장애(Tourette's disorder:TD) 아동의 임상 양상을 비교하고, 틱 장애의 질환 심각도와 연관된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DSM-Ⅳ 진단분류에 따라 틱 장애로 진단된 69명의 아동과 대조군 43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변인 및 틱과 관련된 임상적 변인을 조사하였다. 틱 증상의 심각도를 알아보기 위해 예일 틱 증상 평가 척도(Yale Global Tic Severity Scale)을 시행하였으며 연구 대상 모두에게 동반된 정서/행동 문제를 평가하기 위해 아동 행동조사표(Child Behavior Checklist)를 시행하였다. 결 과:TTD군은 CTD 및 TD군과 비교할 때 틱 증상의 지속 기간이 짧을 뿐 아니라 틱 증상의 심각도와 장해 정도도 미약하였다. TTD군의 동반된 정서/행동 문제 역시 CTD, TD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으며 공격성 소척도 점수를 제외하고는 정상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CTD군과 TD군간에는 틱 증상의 종류, 개수와 CBCL의 사회성 문제 소척도 점수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이 없었다. 틱 증상으로 인한 장해 정도를 가장 잘 예측해 주는 변인은 운동틱의 강도와 방해도, 틱 증상의 지속기간이었으며, CBCL 총 문제행동 점수와 가장 높은 연관성이 있는 변인은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의 존재여부였다. 결 론:본 연구의 결과는 틱 증상의 심각도 외에 증상의 지속 기간이 틱 장애 아동들의 틱으로 인한 장해도에 큰 영향을 미치며, 동반된 ADHD의 존재가 이들의 임상상을 결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위와 같은 임상 변인들이 틱 장애의 진단적 분류보다도 틱 장애 아동의 질환 심각도를 판단하고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있어 더욱 중요함을 시사한다.

  • PDF

FCST 치료로 호전된 틱장애 환자 치험 1예 (A Case Report of Motor Tics Improved by Intraoral Appliance of FCST)

  • 엄태민;김현태;유호룡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5권sup호
    • /
    • pp.6-10
    • /
    • 2015
  • 본 증례에서는 발병한지 3개월된 틱장애에 대해 약 7개월 간의 FCST 치료법이 양호한 치료효과가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틱장애 증상의 정도는 YGTSS를 통하여 평가하였으며, 1주(${\pm}1$일)간격으로 방문때마다 측정이 이루어졌다. YGTSS 점수가 치료 도중 몇차례 초진 시 측정점수인 24점보다 상승한 적이 있었으나 곧 호전되었으며, 최종 치료 종결시에는 5점으로 초진 점수에 비해 현저하게 호전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호전된 상태는 추적관찰 중에서 2015년 10월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저자는 본 증례를 FCST 치료를 통하여 틱장애를 호전시킨 유의한 증례라고 판단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위로 치켜뜨는 운동 틱 장애 환자에 대해 턱관절균형요법을 병행한 한방치료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Glancing Up Motor Tic Disorder Managed by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Therapy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 신창민;김태경;이은주;박현섭;이영준;김철홍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26
    • /
    • 2023
  • 본 임상사례에서 보는 것처럼 눈을 위로 치켜뜨는 단일 운동 틱과 경항통 등의 겸증을 호소하는 상태에서 TBT의 턱관절균형장치와 복합한방치료로 증상의 대한 현저한 치료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하루 수차례 발생하던 위로 치켜 올려보는 증상은 치료 후 간혹 긴장하였을 때를 제외하고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목과 견정부의 뻐근한 통증은 치료 종결 후 환자가 소실되었다고 언급하였으며, 각각의 증상에 따른 scale에서도 볼 수 있듯 틱 증상은 YGTSS 17점, VAS 6점에서 YGTSS 3점, VAS 1점으로 감소, 경항통 및 견정부 통증의 NDI score는 7점에서 4점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추후 본 증례와 유사한 운동 틱 장애 TBT 치료에 관하여 임상상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틱 장애 및 소아기 발병 강박 장애 (TIC DISORDER AND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IN CHILDHOOD)

  • 홍현주;송동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2호
    • /
    • pp.183-191
    • /
    • 2005
  • 뚜렛 장애는 음성틱과 운동틱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기의 대표적인 신경발달학적 행동장애이다. 소아기 발병 강박장애는 강박장애의 한 아형으로써 틱장애와의 연관성이 알려져 있다. 두 질환은 처음 진단시, $40\~75\%$에서 서로 공존질환으로서 발견되며, 유전학적으로도 관련성이 있으며 신경해부학적으로도 피질-선초체-시상 회로(cortico-striato-thalmic circuit)의 이상이 보고되며 증상적인 면에서도 유사점이 발견되고 있다. 최근 10여년 동안 틱장애와 소아기 발병 강박장애 영역에서는 놀라울 정도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뚜렛 장애를 포함하는 틱장애와, 소아 청소년 발병 강박 장애에서 1) 임상 양상 2) 유전학 및 역학 연구 3) 뇌영상 연구 4)신경화학 5) 연쇄구균 감염 관련 소아기 자가면역성 신경정신과적 질환(pediatric autoimmune neuropsychiatric disorders associated with streptococcal infection : PANDAS)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PDF

Tourette씨병의 Serotonin계와 정신병리와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OTONIN SYSTEM AND PSYCHOPATHOLOGY IN TOURETTE'S DISORDER)

  • 조수철;신윤오;서유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1호
    • /
    • pp.77-91
    • /
    • 1996
  • 틱장애 아동들의 생화학적인 원인을 규명하고, 동반 질환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87명의 틱장애 아동과 30명이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87명 중 45명은 Tourette씨병(TS)이었고, 22명은 만성틱장애(chronic motor tic disorder, CMT), 20명은 일과성틱장애(transient tic disorder, TTD)이었다. 공존질병에 따른 분류로는 순수한 틱군(PT)은 43명, 틱과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ADHD)가 동반된 군이 28명, 틱과 강박장애(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T+OCD)가 동반된 군이 16명이었다. 이들 대상군과 대조군에 대하여 혈장 5- HT(5-hydroxytryptamine)와 5-HIAA(5-hydroxyindoleacetic acid)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혈장내 5-HT함량과 5-HTAA함량 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성이 관찰되었다(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0.77, p<0.05). 2) 대상군에서 연령과 5-HT또는 연령과 5-HIAA함량과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3) 대조군에서 연령과 5-HT또는 연령과 5-HIAA함량과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4) 혈장 내의 5-HT함량은 TS, CMT, TTD그리고 대조군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F=34.48, df=3.113. p<0.01), 사후검증에서는 대조군과 TS군, 대조군과 CMT군, 대조군과TTD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TS군과 CMT군 TS군과 TTD군, 그리고 TTD군과CMT군 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5) 혈장 내의 5-HIAA함량은 TS군, CMT군, TTD군 그리고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며(F=26.48, df=3,113, p<0.01), 사후검증에서는 대조군과 TS군, 대조군과 CMT군, 대조군과 TTD군 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TS군과 CMT군 TS군과 TTD군, 그리고 TTD군과 CMT군 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6) 공존질병의 생화학적 소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혈장 내의 5-HT와 5-HIAA함량은 PT군, T+ADHD군, T+OCD군 그리고 대조군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5-HT, F=37.59, df=3, 113, p<0.01, 5-HIAA, F=27.37, df=3, 113, p<0.01), 사후검증에서는 대조군과 PT군. 대조군과 T+ADHD군, 대조군과 T+OCD군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PT군과 T+ADHD군, PT군과 T+ADHD군, PT군과 T+OCD군, 그리고 T+ADHD군과 T+OCD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serotonin계의 개체발생적인 과정은 대상군과 대조군에서 차이가 없으나, serotonin계의 기능저하가 틱장애의 발병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공존질병이 생화학적인 소견에 미치는 영향은 극미하다고 할 수 있다. 향후의 연구에 있어서는 틱장애에 대하여 serotonin계의 기능항진을 일으키는 약물 투여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하며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그 기전을 규명하여야 한다.

  • PDF

Haloperidol로 치료한 Tourette 장애에서 발생한 항정신병약물-퇴행 증후군 1례 (A Case of Antipsychotic-Regression Syndrome in Haloperidol Treated Tourette's Syndrome)

  • 정희연;조현주;권영준;박인준;진혁희
    • 생물정신의학
    • /
    • 제5권1호
    • /
    • pp.134-137
    • /
    • 1998
  • Authors report a case of separation anxiety disorder, which developed as a side effect during haloperidol treatment of Tourette syndrome(TS). In this case, 14 years old boy developed attention deficit symptoms during his infancy. At 4th grade of primary school, he developed vocal tic, motor tic, and coprolalia. With 5mg/day of haloperidol treatment his symptoms of TS were subsided. During the treatment, he developed features of separation anxiety disorder, including dependence, pleading, clinging, and sadness. Symptoms of attention deficit and separation anxiety disorder were improved by 25mg/day of imipramine treatment. During haloperidol treatment of TS, careful observation may be needed whether separation anxiety disorder-like symptom develops.

  • PDF

Association of Pre- and Perinatal Risk Factors With Tourette Syndrome or Chronic Tic Disorders in a Korean School-Age Population

  • Wooseok Choi;Soon-beom Hong;Johanna Inhynag Kim;Jung Lee;Soomin Jang;Yebin D Ahn;You Bin Lim;Sumin Kim;Mee Rim Oh;Bung-Nyun Kim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1호
    • /
    • pp.37-44
    • /
    • 2023
  • Objectives: Tic disorders are highly heritable; however, growing evidence suggests that environmental factor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ir pathogenesis. Studies on these factors have been inconsistent, with conflicting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pre- and perinatal exposure to Tourette syndrome (TS) or chronic tic disorders (CTD)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Methods: This case-control study used data from a large prospective cohort study. The primary outcome was TS/CTD diagnosis according to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 (DSM-5) criteria and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Version-Korean Version. Demographic, pre-, and perinatal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the maternal questionnaires. Data between the TS/CTD and control groups were compared using the chi-squared or Student's t-test, as appropriate. Two-step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test the association between TS/CTD and pre- and perinatal risk factors. Results: We included of 223 children (78 with TS/CTD and 145 control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data between the two groups were observed. The male sex ratio, mean parental age, parental final education level, and family history of tics were included as confounders. In the final adjusted multivariable model, TS/CT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tiemetic exposure during pregnancy (odds ratio [OR]=16.61, 95% confidence interval [CI] 1.49-185.22, p=0.02) and medically assisted reproduction (OR=7.89, 95% CI 2.28-27.28, p=0.01). Conclusion: Antiemetic exposure and medically assisted reproduction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TS/CTD. These results should be replicated in future prospective and gene-by-environment studies.

뚜렛 증후군에서의 경두개 자기자극술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in Gilles de la Tourette Syndrome)

  • 이문수
    • 정신신체의학
    • /
    • 제18권1호
    • /
    • pp.3-10
    • /
    • 2010
  • 뚜렛 증후군은 주로 아동기에 발생하는 만성적인 운동 및 음성 틱을 주소로 하는 질환이다. 기저핵-시상-피질 회로에서의 이상이 비자발성 틱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뚜렛 증후군은 흔히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나 강박장애와 병존한다. 경두개 자기자극술은 연구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신경생리학적 기법이다. 이 기법이 피질의 활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증거들이 많아서, 반복적 경두개 자기자극술은 피질의 활성도를 바꾸어서 결과적으로 내재한 서로 연결된 피질-피질하 회로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치료적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경두개자극술의 여러 신경생리학적 변인들과 임상적 응용에 관하여 기존의 연구보고들을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