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ivational variables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주부 창업자의 창업 동기요인 분석 (Analysis of Motivational Factors of Korean Women with Children to become Mumpreneurs)

  • 이재홍;이봉환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2호
    • /
    • pp.79-90
    • /
    • 2018
  • 주부들이 창업을 하고 이를 운영해나가기에는 많은 도전과 어려움이 따른다. 많은 결혼한 여성들이 어떠한 이유로 스스로 창업의 길을 선택하고 기존의 직장에서 제공받는 혜택을 버리는지에 대한 요소들은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의 여성 창업자들의 창업동기요인들 및 그들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창업 동기 요인을 추진요인, 흡인요인, 환경적 요인, 재정적 요인 등 네 가지로 나누어 한국에서의 여성 창업자들의 동기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의 결혼한 여성 창업자들의 창업요인들의 특성 및 변화 그리고 한국의 노동 시장에서 사업자로서의 도전과 현실에 대한 부분도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 추진요인과 흡인요인이 결합하여 주부 창업자들이 창업을 하는 계기를 제공함을 알 수 있었다. 주부 창업에 대한 동기와 장벽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은 한국의 노동시장에서 여성들이 살아남기 위해 얼마나 힘들게 사업을 이어가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들은 일과 가족에 대한 책임감으로 인하여 창업을 하게 되고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일익을 담당하고자 한다. 또한, 주부 창업자들은 직장 생활에 대한 경험에 상관없이 기업가 정신을 발휘하여 자기만족을 얻고자 한다. 주부 창업의 일반적인 동기는 외적인 환경과 내적인 환경에 기인하며, 직장에서의 퇴사 및 비고용 그리고 주부들의 가족에 대한 책임감으로 인해 노동시장으로 내몰리고 있지만 그들은 동시에 자기만족과 자기개발을 꿈꾸고 있다. 대부분의 한국의 주부 창업자들은 자신들의 잠재적인 역량을 사회로부터 인정받기를 원하며 이와 더불어 재산 증식을 바라고 있다.

PISA 2009 과학성취도 상중하 집단별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의 영향 (Effects of Reading Motiva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on the Population of High, Middle and Low Scores in Science Achievements of PISA 2009)

  • 김동화;서혜애;김미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38-551
    • /
    • 2013
  • 우리나라는 PISA 2009 과학성취도 영역에서 참여국가 65개국 가운데 4~7위로 상위권 국가에 포함되었으나, 제6수준의 최상위 집단에 포함되는 학생 비율은 1.1%로 18위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최상위 집단의 성적 저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PISA 2009 과학성취도 상위 집단에게 미치는 동기적 요소의 읽기태도 및 행동적 요소의 읽기방법의 영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PISA 2009 과학성취도 자료와 학생용 설문조사 문항에서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에 관련되는 변인을 추출하였다. PISA 2009 과학성취도와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간에 인과관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상위, 중위, 하위집단 모두의 과학성취도에는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위 집단은 읽기방법에서 암기학습이 과학성취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위 및 하위 집단은 암기학습이 과학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기 및 인지 변인이 화학 선다형 수리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성취 목적, 유능감,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The Impact of Motivational and Cognitive Variables on Multiple-Choice Algorithmic Chemistry Problem Solving: Achievement Goal, Perceived Ability, Learning Strategy, and Self-Regulation)

  • 전경문;박현주;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취 목적(과제지향/수행 지향/수행 회피), 유능감 등의 동기 변인과 학습 전략(심층적/피상적), 자기 조절 능력 등의 인지 변인 및 화학 선다형 수리 문제 해결력 사이의 인과관계를 경로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유능감과 과제 지향 목적은 자기 조절 능력을 통하여 화학 수리 문제 해결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유능감은 인지 변인을 경유하지 않고도 직접적으로 화학 수리 문제 해결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지 변인 중 심층적 학습 전략은 유능감과 과제 지향 목적의 영향을 받았고 피상적 학습 전략은 수행 회피 목적의 영향을 받았으나, 이러한 학습 전략과 화학 수리 문제 해결력 사이에는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생물기술교육에 대한 기술교사의 동기유발 (Technology Teachers' Motivation toward Teaching Biotechnology)

  • 권혁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52-273
    • /
    • 2009
  • 생물기술의 중요성으로 인해 기술교육, 과학교육, 그리고 농업교육 분야에서는 중등교육에서 생물기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해오고 있다. 기술교육에서 생물기술이 하나의 내용조직자로서 인식되어왔지만, 실제 생물기술의 교육은 폭넓게 실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기대-가치 이론의 측면에서 기술교사의 동기유발은 생물기술을 가르치는 하나의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한국기술교사의 생물기술교육에 대한 동기유발과 생물기술 내용에 대한 그들의 스스로 인식하고 있는 능력과 가치를 연구하였다. 이런 동기유발의 측정을 위해, 하나의 온라인 설문지 (15개의 생물기술관련 동기유발 문항, 8개의 생물기술내용에 대한 교사들 스스로 인식하고 있는 능력과 가치, 그리고 기타 정보) 가 개발되었다. 114명의 한국기술교사의 반응에 의해, 이 연구는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그리고 요인 분석들 (SPSS와 M-plus를 사용하여 탐색적 그리고 확인적 요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생물기술내용에 대한 한국 기술교사의 가치(중요성 평가) 는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생물기술내용에 대한 그들의 능력은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성별과 교사의 연수 여부에 따른 독립표본 t-검증 결과 교사들의 가치면에서 몇개의 의미있는 차이점을 찾았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15개의 항목이 2개의 요인들(6개의 기대항목과 8개의 가치항목)로 나뉘었다. 한 항목 (6번) 은 교차로딩으로 제거되었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생물기술과 관련된 연수 프로그램에 대해 의미있는 함의를 가지고 있으며,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다른 교사들에 대한 타당성 평가, 동기유발 하위개념에 대한 연구, 그리고 생물기술교육에 대한 심화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고 있다.

학습자의 동기적 특성들이 불일치 사례를 사용한 개념 학습 과정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tudents' Motiv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Processes of Concept Learning Using A Discrepant Event)

  • 최숙영;김은경;강석진;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14-42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동기적 특성이 불일치 사례를 이용한 밀도 개념 학습 과정에 미지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두 개의 중학교 1학년 학생 64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사전 검사로 실패에 대한 인내, 자아효능감, 과제 목표 지향과 수행 목표 지향 검사를 실시한 뒤, 선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념 변화 학습의 주요 단계를 포함한 학습지를 이용하여 밀도 학습에 대한 개별적인 학습을 실시한 뒤, 사후 검사로 주의집중, 노력, 개념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목표 오개념을 지닌 203명의 학생들의 응답을 경로 분석한 결과, 동기적 특성 변인들은 인지 갈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실패에 대한 인내와 과제 목표 지향은 상황 흥미와 주의집중, 노력을 매개로 개념 이해도에 영향을 주었다. 자아효능감은 노력을 매개로 개념 이해도에 영향을 주었다. 수행 목표 지향은 주의집중과 노력을 매개로 개념 이해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인지 갈등은 상황 흥미를 매개로 간접적으로뿐 아니라 직접적으로도 개념 이해도에 영향을 주었다.

< Modeling Study for Developing Motivational and Cognitive Adaptive Agent >

  • Lee, Woo-Gul;Lee, Myung-Jin;Lim, Ka-Ram;Han, Cheon-Woo;So, Yeon-Hee;Hwang, Su-Young;Ryu, Ki-Gon;Yun, Sung-Hyun;Choi, Dong-Seong;Kim, Sung-I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918-925
    • /
    • 2006
  • Recent development of teachable agent provides learners with active roles as knowledge constructors and focuses on the individualization. The aim of this adaptive agent is not only to maximize the learner's cognitive functions but also to enhance the interests and motivation to learn. In order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s among user characteristics and response patterns and to extract the algorithm among variables, we measure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logs of the teachable agent named KORI (KORea university Intelligent agent) through the student modeling.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user responses, and learning outcomes. Among hundreds of possible relationships between numerous variables in three dimensions, nine key user responses were extracted, which were highly correlated with eith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outcomes. The results suggest that certain type of learner responses or the combination of the responses would be useful indices to predict the learn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ongoing learning outcome. This study proposed a new type of dynamic assessment for individual differences and ongoing cognitive/motivational learning outcomes through the computation of responses without measuring them directly. The construction of individualized student model based on the ongoing response pattern of the user that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individual differences and learning outcome may be the useful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learner's dynamic change during learning.

  • PDF

집단의 성공 경험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해군 간부들의 집단효능감과 집단응집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Group Succ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Collective Efficacy and Group Cohesiveness of Naval Officials)

  • 김길환 ;김주현 ;박동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3권4호
    • /
    • pp.527-556
    • /
    • 2017
  • 본 연구는 조직상황에서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의 성공 경험을 심층적으로 고찰하고 집단효능감과 집단응집성의 집단수준 변인과 개인수준의 동기관련 태도변인과의 관계를 확인하여 다층적 관점에서 그 역학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군 간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6개 집단, 613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방법은 다층모형을 적용하고 다수준 매개효과 절차에 의거하여 일련의 연구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집단의 성공 경험은 집단효능감을 거쳐 집단응집성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었으며, 개인의 직무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의 성공 경험과 집단효능감의 교차수준의 주 효과가 관찰되었다. 또한, 집단응집성은 개인의 조직몰입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교차수준에서의 연구변인들 간 다수준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집단효능감은 집단의 성공 경험과 개인의 직무효능감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집단응집성은 집단효능감과 개인의 조직몰입의 관계를 매개하였고, 개인의 직무효능감은 집단의 성공 경험과 개인의 조직몰입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또한, 개인의 직무효능감은 집단효능감과 개인의 조직몰입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본고에서 도출한 이 결과는 어느 집단에 소속되는 지에 따라 구성원들의 동기적 수준과 태도가 다를 수 있으며, 집단의 수행 결과에 대한 구성원들의 공유된 지각이 중요한 동기적 근원으로써 집단응집성에 이르게 하는 초석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시사점과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운동 행위 예측 요인 (Prediction Model of Exercise Behavior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이은옥;김인자;김종임;강현숙;배상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81-691
    • /
    • 2001
  • Purpose: The exercise status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ssociations between exercise behavior and personal factors, and associations between exercise behavior and exercise-specific cognitions and their effects were assessed. Method: Four hundred thirty nine out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were studied. The exercise status was measured by a single item. The intensity was multiplied by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each exercise. The product of these intensity values for all exercises was defined as exercise behavior. Based on the Pender's revised health promotion model, exercise benefit, barrier, self-efficacy, enjoyment and social support were chosen as exercise specific cognitions and affect variables. Path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exercise behavior. Results: Compared to the duration before being diagnosed, the number of subjects who exercised regularly increased after being diagnosed. However over half of the subjects refrain from any sort of exercise and the type of exercise is very limited. Among the variables, exercise barrier,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exercise behavior, and only previous exercise experie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all behavior specific cognitions and affect variable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udies should explore exercise behaviors and strategies to emphasize the cognitive-motivational messages to promote exercise behaviors.

  • PDF

신체활동에 대한 건강행동과정접근모델(Health Action Process Approach Model) 관련 변인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Health Action Process Approach Model on Physical Activit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 최윤;양숙자;송혜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59-370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ects of the variables of Health Action Process Approach (HAPA) Model on physical activity. Methods: This study has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Sixteen articles were searched through electronic databases (PsycINFO, PubMed, CINAHL, Web of science, Science Direct, RISS, KMBASE, KoreaMed, KISS, DBpia) and additional journals from 2000 to July, 2017. To estimate the effect size (ES), the meta-analysis of the studies was performed by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programs. Results: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of HAPA on physical activity was median (ES=.28). Of the core variables of HAPA model, action control (ES=.43)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followed by coping self-efficacy (ES=.31) and planning (ES=.31).Additional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preparatory behavior (ES=.39) and past physical activity (ES=.24). Through the moderator effect analysis, the effect size was higher in the volitional phase than in the motivational phase, and higher in the healthy group than in the patient group.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males and the lower the age, the larger the effect size. Conclusion: This finding shows empirical evidence that all core variables of the HAPA model are useful for predicting physical activity. We propose the use of the HAPA model to develop physical activity promotion intervention.

지각된 실행기능 수준이 중학생의 수학성적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erceived executive function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scores)

  • 김근영;김도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063-2071
    • /
    • 2012
  • 수학 과목은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과목인 동시에 학생들이 가장 싫어하는 과목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실제 수학성적을 예측하는 실행기능의 효과를 탐구하였으며, 이 변인의 효과가 다른 심리적 변인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유의미한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실행기능 수준은 동기와 태도변인을 통제한 후에도 그들의 수학성적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이었다. 이 변인의 효과는 특히 수학성적이 낮은 중학생의 경우 더 강했으며, 오히려 수학성적이 높은 학생의 경우에는 생물학적 변인의 효과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드러나, 성적에 따라 인지적, 심리적 요인을 고려한 다른 유형의 학습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