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hs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4초

A Practical Synthesis of (Z)-7-Eicosen-11-one and (Z)-7-Nonadecen-11-one, the Pheromone of Peach Fruit Moth, and Its Biological Activity Test

  • Suck-Ku Kang;Jung-Min Park;Jung-Han Kim;Hyun-Gwan Goh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4권2호
    • /
    • pp.61-63
    • /
    • 1983
  • A new practical method is described for the synthesis of (Z)-7-eicosen-11-one (1) and (Z)-7-nonadecen-11-one (2), the active principles of the sex pheromone of the peach fruit moth. Lithium anion of 1-octyne (from acetylene and 1-bromohexane) was alkylated with 3-bromo-1-propanol tetrahydropyranyl ether and deprotected to afford 4-undecyn-1-ol, which was oxidized with pyridinium chlorochromate to 4-undecyn-1-al. 4-Undecyn-1-al was treated with 1-nonylmagnesiumbromide or 1-octylmagnesiumbromide to yield 7-eicosyn-11-ol and 7-nonadecyn-11-ol. Jones oxidation, followed by Lindlar catalytic hydrogenation afforded the target compounds. Biological activity of the synthetic pheromones as attractants for males of the peach fruit moth was tested in the field using polyethylene capsules as containers. For each vial containing about 3.0 mg of the synthetic pheromone, the number of trapped moths were counted.

Tineola bisselliella (나비목, 곡식좀나방과)의 국내 발견 보고 (A Webbing Clothes Moth, Tineola bisselliella (Lepidoptera, Tineidae) New to Korea)

  • 이동준;박해철;노승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49-153
    • /
    • 2023
  •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미기록속인 Tineola Herrich-Schäffer속의 Tieola bisselliella (Hummel, 1823)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해당 종은 모피, 양모, 깃털, 가죽 등 일상용품을 가해할 뿐만 아니라 미술, 역사, 또는 과학적으로 중요한 물품들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산 T. bisselliella의 성충 및 암수 생식기를 기재하고 도판을 제공하였다.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분자동정법 개발 및 복숭아와 자두에서의 발생차이 (Molecular Diagnosis of Grapholita molesta and Grapholita dimorpha and Their Different Occurrence in Peach and Plum)

  • 안승준;최경희;강택준;김형환;김동환;조명래;양창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65-370
    • /
    • 2013
  • 복숭아순나방붙이(Grapholita dimorpha Komai)는 동북아시아에 주로 발생하는 과수 해충으로, 국내에서는 2009년에 사과에 피해를 준다는 것이 보고되었으나, 그 이외의 과수에서는 직접적인 피해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핵과류인 복숭아와 자두를 대상으로 복숭아 순나방류의 피해로 보이는 피해순과 피해과를 채집하여, 복숭아순나방붙이와 그 유사종인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ck)의 피해율을 비교 조사하였다. 두 유사종의 정확한 구별을 위해 우선 종 특이적 프라이머와 PCR 반응조건을 이용한 분자동정법을 개발하였다. 복숭아와 자두의 신초와 과실을 가해하는 종을 야외에서 채집하여 분자동정법으로 확인한 결과, 복숭아의 신초와 과실은 거의 모두 복숭아순나방이 가해하였으며, 자두는 신초의 경우 복숭아순나방이, 과실의 경우 복숭아순나방붙이가 주로 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복숭아와 자두에서 조사한 신초는 모두(100%) 복숭아순나방에 의해 피해를 받았으나, 복숭아 과실은 대부분(92.5%) 복숭아순나방이, 자두 과실은 대부분(97.0%) 복숭아순나방붙이가 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복숭아순나방붙이가 복숭아 보다는 자두 과실에 주로 피해를 준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히 자두나무에서도 신초와 과실에 따라 각기 다른 종이 피해를 준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렇게, 기주식물에 따라 두 유사종의 가해특성이 다른 것은 복숭아와 자두과원에서 두 종의 발생을 예찰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여겨진다.

단감 과수원에서 밤알락명나방의 발생소장과 성페로몬샘 성분의 유인력 (Seasonal Occurrence of Euzophera batangensis and Attractiveness of Its Sex Pheromone Gland Components in Non-astringent Persimmon Orchards)

  • 김준헌;노광현;장신애;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65-169
    • /
    • 2017
  • 경남과 전남지역의 단감원에서 밤알락명나방의 발생소장과 성페로몬샘의 성분별 및 트랩 종류별 유인력을 조사하였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밤알락명나방은 년 3회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세대 성충의 발생시기는 월동세대는 4월 상순-5월 하순, 제1세대는 6월 상순-7월 하순, 제2세대는 8월 상순-10월 중순이었다. 성페로몬샘 성분별 유인력은 (Z9,E12)-tetradeca-9,12-dien-1-ol (Z9, E12-14OH) 단독 루어가 (Z)-tetradec-9-en-1-ol (Z9-14OH) 단독 루어보다 유인력이 뛰어났으며, 두 물질을 9:1로 혼합한 루어와 차이가 없었다. 깔대기 트랩과 흰색 및 붉은색 트랩을 비교해 본 결과 트랩 종류 간에는 유인수의 차이가 없었다.

위성영상과 자기조직화 분류기법을 이용한 산림생태계교란 탐지: 우박 피해지와 매미나방 피해지의 사례연구 (Detection of Forest Ecosystem Disturbance Using Satellite Images and ISODATA)

  • 김대선;김은숙;임종환;이양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5_1호
    • /
    • pp.835-846
    • /
    • 2020
  • 최근 기후변화가 심각해지고 이상기상 현상이 빈번해짐에 따라 산불, 산사태 이외에도 우박, 매미나방과 같은 흔치 않은 형태의 산림생태계교란이 발생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RapidEye와 Sentinel-2 영상에 ISODATA(Iterative Self-organizing Data Analysis Technique Algorithm)를 적용하여, 2017년 화순의 우박 피해지와 2020년 치악산의 매미나방 피해지를 분석하였다. 우박 피해지의 경우, 본연구의 6월 영상분석과 선행연구의 7월 현장조사를 종합해볼 때, 우박에 의해 수목에 외상이 생긴 후에 가뭄이 겹치면서 6월에서 7월로 갈수록 피해의 심각성이 보다 더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20년 치악산의 매미나방 피해지에서는 6월 영상에서 상당한 나뭇잎 피해가 발견되었으며, 원주시에 인접한 낮은 고도의 사면에서 주로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에 의해 유발된 다양하고 특이한 산림생태계교란을 탐지함에 있어 위성원격탐사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에 틀림없으며, 우리나라에서 2024년 발사 예정인 농림업중형위성은 이와 같은 산림생태계교란을 감시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흰불나방의 성유인과 Trap형에 관한 연구 (Field Studies on the Sex Attraction of the Fall Webworm Moths(Hyphantria cunea D.) and the Development of Sex-Attractant Trap)

  • 최승윤;송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5-90
    • /
    • 1970
  • 흰불나방의 성간성유인, Trap형의 개발, 일영에 따른 성유인의 변화, 교미후 성유인력의 감퇴 및 유인시각들에 관한 실험을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암놈에 대해서 숫놈은 유인되나 숫놈에 대하여 암놈은 유인되지 않았다. 2. Trap A형(직경 10cm, 높이 11.5cm원통형분유통 양쪽에 직경 4.8cm의 둥근 구멍을 만들고 통내부에 토양점차제를 바른것) 이 가장 유인효과가 좋았다. 3. 암놈의 성유인력은 우화후 4일까지 계속되나 1-2일에 가장 유인력이 컸으며 일영이 진행됨에 따라 유인력이 감소하였다. 우화후 2일까지 전체 유인율은 $84.2\%$이었다. 4. 교미후 암놈의 성유인력은 급격히 감소하는데 그 유인율은 미교미한 암놈 $80.5\%$에 대하여 교미한 것은 $19.5\%$에 불과하였다. 5, 흰불나방의 성유인은 오전 3-7시에 일어나는데 유인최성시각은 오전 4-6시로서 약 $98\%$가 이 시각에 유인되었다.

  • PDF

배과원에서 교미교란제를 이용한 복숭아순나방과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 발생소장과 방제 (Seasonal Catch and Control of Grapholita molesta(Lepidoptera:Tortricidae) and Adoxophyes orana(Lepidoptera:Tortricidae) by Mating Disruption in Pear Orchards)

  • 조영식;송장훈;황해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39-144
    • /
    • 2010
  • 본 연구는 배 과원에서 과실과 신초 등에 피해를 주는 복숭아순나방과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에 대한 교미교란제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07년에 복숭아순나방은 4회의 발생 peak를 보였으나 처리에 따라 약간 다르게 나타났다. 관행방제의 경우 4월 중 하순에 가장 많은 수가 포획되었고, 6월 중순, 8월 중순, 9월 상.중순에 각각 발생 peak를 보였으나 무방제구의 경우, 4월 발생량은 미미하였다.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도 4회의 발생 peak를 보였다. 교미교란제 처리구에서는 예찰트랩으로 거의 포획되지 않았고, 무방제구와 관행방제구에서는 유사하게 포획되었다. 배 과원 나방류의 피해는 2006년의 경우,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에 대한 교미교란제 처리구와 관행방제구간에는 유의성이 있었으며, 특히 교미교란제처리구에 살충제 처리내용에 따라 8월의 피해엽율간에는 유의성이 달랐고, 복숭아순나방에 의한 신초와 수확한 과실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페로몬 트랩 영상에서 해충 검출을 위한 객체 분할 (Object Segmentation for Detection of Moths in the Pheromone Trap Images)

  • 김태우;조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57-163
    • /
    • 2017
  • 객체 분할 방식은 객체를 먼저 분할한 후, 검출된 객체에 대해 해충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하므로 해충 개체를 검출하는 데 필요한 처리 비용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페로몬 트랩 영상에서 해충 검출을 위한 객체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전처리, 문턱치 처리, 형태학적 필터링, 레이블링 처리로 구성된다. 이들 과정 중 문턱치 처리는 객체 분할의 성능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처리 과정이다. 제안한 방법은 문턱치 처리 과정에서 해충 영상의 국소적 특성을 반영하므로 매우 정교한 문턱치 처리를 할 수 있다. 과수원에 설치된 페로몬 트랩에서 수집된 복숭아심식나방 영상에 대해 Otsu의 방법의 전역적 방식과 국소적 방식, 그리고 제안한 방법으로 처리한 결과, 제안한 방법이 조명과 배경의 특성을 잘 반영함을 알 수 있었다. 페로몬 트랩에 수집된 복숭아심식나방 영상에 대해 객체 분할과 개체 분류를 수행하였다. 개체 분류는 SVM 분류기로 학습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10개의 해충 영상에 대해 복숭아심식나방 검출 결과 95%의 평균 검출율을 보임으로써 과수원의 복숭아심식나방의 개체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효과적임을 보였다.

이화명충에 대한 수도통일품종의 저항성 (The Nature of the Variety Tongil (Suweon 213-1) in Resistance to the Striped Rice Border, Chilo suppressalis W.)

  • 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4-214
    • /
    • 197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d the nature of the variety Tongil(Suweon 213-1) in resistance to the striped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comparing with those of Rexoro(susceptible check) and TKM-6(resistant check) selected at IRRI. 1. The striped rice borer moths much more preferred the variety Tongil for oviposition than the varieties Rexoro and TKM-6. The variety Tongil and more egg masses and number of eggs than the varieties Rexoro and TKM-6, while TKM-6 having more egg masses and more number of eggs than Rexoro. This reaction was consistent throughout the test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illers per hill. 2. In laboratory, preference of larvae for feeding was studied with 5cm of stem pieces of the varieties. The results showed, in contrast to the case of ovipositional preference, that the striped rice borer larvae least preferred the stems of Tongil among the test varieties, while larvae much more preferred the stems of Rexoro than those of TKM-6. 3. The larval weights at 20 days later infested on the 40 day-old plants were the lowest on Tongil among the test varieties. On the variety Rexoro the larvae had heavier body weights(43.0mg), higher pupation(64.9%) and higher adult emergence(83.3%) than those on Tongil(larval weights 30.3mg, pupation 60%, adult emergence 60.7%) and TKM-6(larval weights 35.7mg, pupation 56.3%, adult emergence 51.9%). The pupal weights, however, were not consistent among the test varieties and/or sexes in comparison with the larval weights, pupation and adult emergence above mentioned. 4. Field experiments indicated that the incidence of dead hearts at 70 days after transplanting was relatively higher on the variety Tongil(11.1%) than those on Rexoro(8.9%) and TKM-6(8.4%), and the incidence of white heads at harvest was, in contrast to the dead hearts, lower on Tongil(9.8%) than those on Rexoro(27.4%) and TKM-6(13.9%). At harvest lower larval survival observed on Tongil (49 larvae/40 hills) than those on the susceptible variety Rexoro(104 larvae/40 hills) and on the resistant variety TKM-6(70 larvae/40 hills). The average larval weights collected from three test varieties at harvest were 80.5mg from Tongil, 83.7mg from TKM-6 and 99.6mg from Rexoro. 5. Increased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to the variety Tongil, the striped rice borer damage was increased. Also, preference of larvae for feeding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6. Any specific association between the plant characters and striped rice borer resistance could not be found. The variety Tongil even having large number of tillers, short plant height, large stem, broad leaf, etc, had still high preference of moths for oviposition, low preference of larvae for feeding, low damage, and relatively high antibiosis. 7. Resistance of the variety Tongil to the striped rice borers seemed to be associated with the low feeding preference and the relatively high antibiosis, not associated directly with the ovipositional preference.

  • PDF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Gypsy moth (Lymantria dispar))

  • 조아해;김효정;이진희;김지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385-388
    • /
    • 2023
  • 매미나방(Lymantria dispar)은 나비목(Lepidoptera) 독나방과(Lymantriidae)에 속하는 해충으로 매미나방은 한국, 일본, 시베리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하며, 주로 배나무, 사과나무, 블루베리 등의 식물을 가해하는 광식성 해충이다. 매미나방은 수목해충으로 관리되어 왔으나 최근 산림 발생지 인접 농경지로 유입 빈도가 높아지면서 방제 대책이 수립되지 않은 농작물에 피해가 심하다. 본 연구는 매미나방(L. dispar)의 방제기술의 일환으로 매미나방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21년 전라남도 장흥군 황금측백나무에서 채집한 알집을 이용해 18, 21, 24, 27, 30, 33℃ (14L:10D, 상대습도 60±5%) 항온조건에서 온도별, 발육단계별 발육기간을 조사하였다. 매미나방 유충의 발육속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빨라졌으나, 매미나방 유충의 생존율이 33℃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발육적온은 30℃였으며, 30℃에서 총 발육기간은 암컷 43.8일, 수컷 42.5일 소요되었다. 암컷과 수컷 발육영점온도는 각각 13.1℃, 12.5℃,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641.1 DD, 657.8 DD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