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al development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9초

초등학생의 사회인식 및 대인관계 능력 함양을 위한 도덕교육의 통합적인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ive ways of moral education for the building of children's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ship skills)

  • 이인재;지준호
    • 한국철학논집
    • /
    • 제29호
    • /
    • pp.375-396
    • /
    • 2010
  • 본 연구는 사회·정서적 학습 이론(th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에 근거를 두고 초등 도덕교육의 목표인 초등학생들의 "바르고 선한 인성(character)"을 어떻게 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함양할 것인가? 의 물음에 답하기 위해, 사회·정서적 능력 중에서도 특히 사회적 인식(social awareness) 및 대인 관계 기술(relationship skill) 함양에 초점을 두고 탐구하였다. 본 연구가 SEL에 토대를 두고자 하는 이유는 초등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이란 도덕적 지식(앎)의 발달만으로 가능하지 않고, 도덕적 지식을 행동으로 옮기는데 있어 중요한 가교의 역할(예를 들면, 자동차가 움직이기 위해 연료가 필수적이듯이 일종의 도덕적 에너지의 역할)을 하고 있는 사회·정서적 능력의 발달이 병행될 때 가능한 바, 그동안 우리나라 도덕교육에서는 이러한 사회·정서적 능력 혹은 도덕적 감정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하면서도 이를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교육할 것인가에 대해 구체적인 실천 방안 마련이 미흡하였기 때문이다. 초등학생들의 사회 인식 및 대인 관계 능력 함양의 모색은 도덕과 수업을 통한 방안과 도덕과 수업 이외의 활동을 통한 방안을 중심으로 구안하였다.

간호학생의 윤리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DIT(Defining Issues Test)를 사용하여 (A Study of an Effect of Ethics Education Being Provided to Nursing Students;Using the DIT(Defining Issues Test))

  • 이미애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6-34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moral judgment of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an effect of ethics education being provided to nursing students. Method: This study is a kind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using the Korean version of DIT which can measure the level of human's moral development. Result: In experimental group, the posttest scores on 4 stage and P are higher than the pretest of them, but these gaps between posttest and pretest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osttest scores of lower group on 4 stage and P are higher than the pretest scores of them, and these gap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xperimental group. The posttest scores of higher group on 4 stage and P are lower than the pretest scores of them, and these gap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trol group.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the ethics education being provided to nursing students has an effect in this study. And it is suggested that it may be a good strategy to use the various scores of DIT to verify an effect of ethics education.

  • PDF

부모의 권위에 대한 아동의 지각 연구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al Authority)

  • 김경희
    • 아동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5-60
    • /
    • 1987
  • This research examined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al authority within three different types of rules : moral, social-conventional, and personal issue. Specifically, two major aspects of parental authority-legitimacy and obedience-were explor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 children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Kwangju. There were 40 subjects (20 males and 20 females) in each of three age groups: 7-, 9-, and 11- year-olds. The subjects were administered an interview individually. Based on Tisak (1986) open-ended questions concerning three family rules (moral rule, social-conventional rule, personal issue) were administered. Responses to the assessment questions were coded as positive or negative. Responses to the judgment conception questions were coded into 7 categories : Other's Walfare, Social Coordination, Personal choice, Deservedness of Punishment for Wrongdoing, Existence of Authority, Conflicting Personal Interest and Authority, and Personal Development. Statistical analysis of obtained data was by percentage and ${\chi}_2$ test using log linear proced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type of rule on the children's assessment regarding legitimacy and obedience of parental authority. The children (average 96%) stated that it was all right for parents to make rules prohiliting an act when it pertained to moral and social conventions. However, the majority of the children (average 40%) stated that it was not right for parents to regulate personal issues. (2)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ype of rule and age. (3)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rules on the children's judgment conception of parental authority. (4)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rules and ages on children's judgment conception of parental authority.

  • PDF

스포츠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A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n Educating Sport Ethics)

  • 박성주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1호
    • /
    • pp.37-47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선수들이 실제 스포츠현장에서 도덕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도덕적 자율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스포츠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Rest의 도덕성 4구성요소 모형을 이론적 토대로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국내외 스포츠윤리 저서들을 분석함으로써 스포츠윤리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 주제를 도출하여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선정한 교육내용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하여 인지구조의 비평형화와 동년배 집단 교류의 기제를 통한 딜레마 토론 수업을 활용하였다. 끝으로 개발한 스포츠윤리교육 프로그램은 대학교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실행 후 심층면담을 통하여 설정한 스포츠윤리교육의 목적이 달성되었는지를 평가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에 참가 후 학생선수들의 스포츠윤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행동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가 스포츠지도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준의 스포츠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스포츠윤리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일본 메이지기(明治期) 삼육(三育) 개념의 도입과 전개 (A Study on the Adoption and Development of Three Concepts of General Educational Principles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in Meiji Japan)

  • 한용진;최정희
    • 비교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249-271
    • /
    • 2014
  • 본 논문은 메이지기(明治期) 일본에 서구교육학이 소개되는 과정에서 삼육(三育)의 개념이 어떻게 도입되고 전개되고 있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서구의 교육학 서적의 번역을 통해 삼육 관련 용어가 어떻게 번역되고 그 개념이 어떻게 정리되는가를 확인하는 작업이다. 이 글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일본 메이지기 삼육 개념의 도입은 일본사회의 내부적 변화에 따른 선택적 번역과 수용의 과정에 따라 1880년대에는 '삼교(三敎)'의 형태에서 '삼육(三育)'의 체계로서 정착된다. 둘째, 일본 메이지기 삼육의 개념은 일본 교육사조의 흐름에 따라 '삼육'의 형태는 유지하되 교육의 목적에 따라 중점을 두는 구성요소와 개념이 변용되어 전개된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의 역사적 재조명 : 약물치료적 접근 (Revisiting History of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Pharmacologic Approach)

  • 반건호;홍민하;이연정;한주희;오수현
    • 생물정신의학
    • /
    • 제21권2호
    • /
    • pp.37-48
    • /
    • 2014
  • Besides from medical data, the patients who were previously called as attention disorder, mental instability, moral imbeciles, or moral defectives, can also be identified by exploring literatures and historical figures. In the past, as we can notice from the titles, they were recognized as a 'moral defect group'. And rather than treating them, separation from the society was the main solution. After the endemic encephalitis from 1917 to late 1920s, however, many survivors suffered from behavioral problems similar to those of the previous 'moral defect group' and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in damage and behavior problems were started henceforth. After being known as the 'minimal brain dysfunction', it was developed into the current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While the disease concept changed and developed over time, after numerous trials and errors, treatment medication starting from central nervous system stimulants such as amphetamine and methylphenidate is used for treatment in children and adult patients with ADHD, and most recently non-stimulants such as atomoxetine has become the one of the first line treatment options. Although we went through a thorough verification process of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medication by contemplat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we believe that adjustment is needed for remaining concerns on medication abuse and slight differences in disease paradigm and therapeutic philosophy depending on cultures.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지침에 대한 지식, 인지도 및 도덕적 민감성이 표준주의 지침 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Awareness and Moral sensitivity of standard precautions on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 장희정;모문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441-448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지침에 대한 지식, 인지도 및 도덕적 민감성과 표준주의 수행 정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표준주의 지침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D광역시에 소재하는 2개 대학에 재학중인 201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9년 12월 2일부터 12월 20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표준주의 지침에 대한 지식, 표준주의 지침에 대한 인지도, 도덕적 민감성과 표준주의 수행정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주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표준주의 인지도(β=.78, p<.001)였으며, 설명력은 60.5%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수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표준주의 인지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수준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도덕성 검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Moral Level Test System based on Kohlberg's Moral Development)

  • 백현기;하태현;박혜신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63-37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정의적 특성으로 분류해 온 도덕성의 성격과 발달 수준을 찾아 이를 기초하여 학생들의 자기 이해를 돕고 정의적 성숙을 가져올 수 있게 하는 자기 평가식 도덕성검사를 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수준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도덕성 검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도덕성을 진단하고 평가하여 자기중심성으로 부터 벗어나 협동과 상호존중의 관계를 지향할 수 있는 학생이 되도록 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요한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설계하고 구현한 도덕성검사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적용된다면 검사와 검사의 결과에 대한 진로안내가 한 시스템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대한 효율적인 성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쉽고 빠른 검사로 인해 지필검사를 통해 실시하는 것보다 훨씬 경제적인 효과를 올릴 수 있을 것이다.

  • PDF

인공지능 윤리 딜레마 문항 개발 (Development of AI Ethics Dilemma Questions)

  • 김은경;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225-226
    • /
    • 2023
  • 인공지능 기술이 사회 전반에 확산하며, 인공지능 윤리 문제 또한 큰 이슈가 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 기업, 연구기관, 국제기구 등 다양한 단체에서 인공지능 기준안을 발표하고 있으나 이러한 인공지능 윤리 기준안을 발표하는 것으로 인공지능 윤리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이에 인공지능 윤리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러나 학교급에서의 인공지능 윤리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 미흡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Moral machine은 인공지능을 위한 윤리교육 도구로 학교급을 막론하고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Moral machine의 딜레마 상황은 교육용으로 다소 부적절한 요소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윤리교육에 적합한 인공지능 윤리 딜레마 문항을 사람이 중심이 되는 인공지능 기준의 3대 원칙을 바탕으로 개발하였다.

  • PDF

태권도 공연 관람자의 인지된 가치 척도 개발 및 적용 (The Consumer Perceived Value in Taekwondo Performance Spectator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 정승훈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6호
    • /
    • pp.417-43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공연 관람자의 인지된 가치 척도를 개발하고 더 나아가 개발된 가치 척도에 대해 다양한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척도의 타당성, 신뢰성,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여 태권도 공연 관람자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척도개발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절차를 참고하여 8단계 방법인 (1) 선행연구 검토, (2) 예비 요인 및 문항 추출, (3) 문항의 정제 및 평가, (4) 예비조사, (5) 데이터 수집, (6) 문항의 타당성 확보, (7) 문항의 유효성 평가, (8) 문항의 적용가능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태권도 공연 관람자의 인지된 가치 척도는 문화적, 사회적, 쾌락적, 미적, 도덕적 및 실용적 가치 등 6가지 요인, 19문항으로 개발되었다. 한편, 개발된 가치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관람태도, 만족 및 미래 소비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문화적, 사회적, 미적, 도덕적 가치는 관람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쾌락적, 실용적 가치는 관람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 사회적, 미적 가치는 미래 소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개발된 가치 척도의 모든 요인은 소비자행동(태도, 만족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