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typic species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5초

Endoplura jejuensis sp. nov. and Endoplura koreana sp. nov. (Ralfsiales, Phaeophyceae) from Korea based on molecular and morphological analyses

  • Oteng'o, Antony Otinga;Cho, Tae Oh;Won, Boo Yeon
    • ALGAE
    • /
    • 제36권3호
    • /
    • pp.155-163
    • /
    • 2021
  • The crustose brown algal genus Endoplura has been known as a monotypic genus characterized by its intercalary plurangial reproductive structures composed of 2-4 separate parallel filaments terminated by 2-5 sterile cells and by containing several to many chloroplasts per cell. In this study, Endoplura jejuensis sp. nov. and E. koreana sp. nov. from Korea are newly described based on molecular and morphological analyses. Our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rbcL gene reveal that E. jejuensis sp. nov. and E. koreana sp. nov. are placed in the same clade with "E. aurea" from Japan with a strong bootstrap supporting value. E. jejuensis is characterized by small and light to dark brown crustose thalli of less than 1 cm diameter, tufts of hairs arising from the basal disc, plurangia composed mostly of two separate parallel reproductive filaments terminated by 2-4 sterile cells, and sessile unangia each with a single paraphysis. E. koreana is distinguished by olive or yellowish-brown crustose thalli of up to 3 cm diameter, tufts of hairs arising from the basal disc, and apical parts of erect filaments, plurangia with 2-5 separate reproductive filaments terminated by 2-8 sterile cells, and sessile unangia with 1-2 paraphyses. Our studies also show that "E. aurea" specimens from Japan may be recognized to be a different species from other Endoplura species.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Coreanomecon (Papaveraceae: Papaveroideae), an endemic genus in Korea, using DNA sequences

  • YUN, Narae;OH, Sang-H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89-300
    • /
    • 2018
  • Coreanomecon is a monotypic and endemic genus in Korea, distributed mainly in the southern regions. Coreanomecon is morphologically similar to Hylomecon by producing red latex, easily distinguished from Chelidonium, which produces yellow latex. Coreanomecon were merged into Hylomecon or Chelidonium depending on the authors. To understand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Coreanomecon, DNA sequences of chloroplast rbcL and matK and nuclear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were determined from the species of Papaveroideae (Papaveraceae) in Korea and analyzed with the Maximum Parsimony and Bayesian methods. Phylogenetic analyses of Papaveroideae suggest that Coreanomecon is sister to the clade of Chelidonium and Stylophorum in the ITS data and that it is sister to Hylomecon in the chloroplast (cpDNA) data. A constraining analysis using the Shimodaira-Hasegawa test (S-H test) suggested that the ITS data do not reject the sister relationship of Coreanomecon and Hylomecon. The S-H test also suggested that the cpDNA data is compatible with the placement of Coreanomecon as a sister to the clade of Chelidonium and Stylophorum. Although the conflicting phylogenetic results may stem from insufficient phylogenetic signals, they may also be associated with hybridization between Hylomecon and an ancestor of Stylophorum and Chelidoni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reanomecon is a distinct lineage as an endemic genus, supporting the morphological data.

한반도 미기록속 Neomegacoelum Yasunaga (노린재목: 노린재아목: 장님노린재과)에 대한 보고 (First Record of the Genus Neomegacoelum Yasunaga (Hemiptera: Heteroptera: Miridae) from the Korean Peninsula)

  • 김정곤;이호단;김기경;서홍렬;채준석;정성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1-33
    • /
    • 2015
  • 한반도 장님노린재과의 미기록속 Neomegacoelum 속을 처음으로 확인하고 Neomegacoelum vitreum (Kerzhner, 1988)의 한반도 분포를 보고한다. 성충과 생식기의 사진 등의 형태학적 정보와 생태학적 정보가 함께 제공된다.

현생 기저 피자식물에 대한 끝나지 않는 논쟁 (Endless debates on the extant basal-most angiosperm)

  • 김상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5
    • /
    • 2010
  • 한 분류군의 진화의 역사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분류군 내에서 가장 먼저 분지한 군(기저군)을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피자식물의 계통과 진화를 이해하고자 많은 식물학자들은 형태적 연구와 화석적 증거에 의해 현존하는 피자식물들 중 가장 먼저 분지하여 다른 모든 피자식물들과 자매군을 형성하는 분류군을 파악하려고 노력해 왔다. 최근 분자계통학의 기술적 발달과 자료의 축적으로 현생 기저 피자식물군에 대한 객관적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다. 여전히 논쟁의 여지는 있지만, 대부분의 식물계통학자들은 1) 다수의 유전자들의 계통분석적 접근, 2) 복제된 두 유전자군의 계통수 네트웍 형성법, 3) 유전자의 구조적 접근 등의 분자적 증거에 의해 현생 기저 피자식물이 뉴칼레도니아에 자생하는 1과 1속 1종 식물인 Amborella trichopoda Baill.임에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또 다른 가능성으로 Nymphaeaceae (수련과)와 A. trichopoda가 하나의 분계조를 형성하고 형성된 분계조가 다른 모든 피자식물의 자매군임을 지지하는 증거들도 일부 제시되어 현생 기저 피자식물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현대 분자생물학적인 신기술의 발달은 대량의 분자적 자료를 제공하고 있어 이들 논쟁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해 주고 있고, 진화적 모델식물로서의 Amborella 전체 유전체의 염기서열 결정과 이에 대한 파생연구는 Darwin이 지독하게 풀리지 않는 미스터리라 표현한 피자식물의 기원과 분화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mplete Chloroplast DNA Sequence from a Korean Endemic Genus, Megaleranthis saniculifolia, and Its Evolutionary Implications

  • Kim, Young-Kyu;Park, Chong-wook;Kim, Ki-Joo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7권3호
    • /
    • pp.365-381
    • /
    • 2009
  • The chloroplast DNA sequences of Megaleranthis saniculifolia, an endemic and monotypic endangered plant species, were completed in this study (GenBank FJ597983). The genome is 159,924 bp in length. It harbors a pair of IR regions consisting of 26,608 bp each. The lengths of the LSC and SSC regions are 88,326 bp and 18,382 bp, respectively. The structural organizations, gene and intron contents, gene orders, AT contents, codon usages, and transcription units of the Megaleranthis chloroplast genome are similar to those of typical land plant cp DNAs. However, the detailed features of Megaleranthis chloroplast genomes are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at of Ranunculus, which belongs to the same family, the Ranunculaceae. First, the Megaleranthis cp DNA was 4,797 bp longer than that of Ranunculus due to an expanded IR region into the SSC region and duplicated sequence elements in several spacer regions of the Megaleranthis cp genome. Second, the chloroplast genomes of Megaleranthis and Ranunculus evidence 5.6% sequence divergence in the coding regions, 8.9% sequence divergence in the intron regions, and 18.7% sequence divergence in the intergenic spacer regions, respectively. In both the coding and noncoding regions, average nucleotide substitution rates differed markedly, depending on the genome position. Our data strongly implicate the positional effects of the evolutionary modes of chloroplast genes. The genes evidencing higher levels of base substitutions also have higher incidences of indel mutations and low Ka/Ks ratios. A total of 54 simple sequence repeat loci were identified from the Megaleranthis cp genome. The existence of rich cp SSR loci in the Megaleranthis cp genome provides a rare opportunity to study the population genetic structures of this endangered species. Our phylogenetic trees based on the two independent markers, the nuclear ITS and chloroplast MatK sequences, strongly support the inclusion of the Megaleranthis to the Trollius. Therefore, our molecular trees support Ohwi's original treatment of Megaleranthis saniculifolia to Trollius chosenensis Ohwi.

Adding to the freshwater red algal diversity in North America: Lympha mucosa gen. et sp. nov. (Batrachospermales, Rhodophyta)

  • Evans, Joshua R.;Chapuis, Iara S.;Vis, Morgan L.
    • ALGAE
    • /
    • 제32권3호
    • /
    • pp.171-179
    • /
    • 2017
  • The strictly freshwater red algal order Batrachospermales has undergone numerous taxonomic rearrangements in the recent past to rectify the paraphyly of its largest genus Batrachospermum. These systematic investigations have led to the description of new genera and species as well as re-circumscription of some taxa. Specimens collected from two locations in the southeastern USA were initially identified as being allied to Batrachospermum sensu lato, but could not be assigned to any recognized species. Representative rbcL (plastid) and COI-5P (mitochondrion) sequences showed these specimens to be similar to each other and not closely matching the previously published sequence data for other Batrachospermum taxa. Comparison of sequence variation and morphology with a broader range of batrachospermalean taxa resulted in the proposal of a new monotypic genus Lympha mucosa gen. et sp. nov. to accommodate these specimens. Lympha mucosa is sister to members of a newly described genus Volatus, but the two genera are easily distinguished based on straight versus curved, twisted or spirally coiled carpogonial branch, respectively. This new taxon has morphological similarities to Batrachospermum sections Turfosa and Virescentia, but can be differentiated based on genetic divergence in rbcL and COI-5P as well as a combin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s: dense, compressed whorls, axial carposporophytes with a single type of gonimoblast filament; cortication of the main axis closely appressed; and short, straight carpogonial branch arising from the pericentral cell and carpogonia with unstalked, lanceolate trichogynes. This new taxon adds to the freshwater red algal diversity of the southeastern USA, a region already known for biodiversity and high endemism of the aquatic flora and fauna. It is also a relevant new addition to the taxonomic knowledge of the freshwater red algal Batrachospermales.

한국 미기록 식물 : 빌레나무 (빌레나무과)와 꼬마냉이 (십자화과) (Unrecorded species from Korean flora : Maesa japonica (Thunb.) Moritzi & Zoll. [Maesaceae] and Cardamine tanakae Franch. & Sav. [Brassicaceae])

  • 문명옥;도재화;김철환;김찬수;김문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3-161
    • /
    • 2006
  • 제주도에서 한국 미기록과인 빌레나무과 (Maesaceae)의 빌레나무 (Maesa japonica)와 십자화과의 꼬마냉이 (Cardamine tanakae)가 채집되었다. 빌레나무과는 Maesa, 1 속으로 구성된 과로서 소화경에 한 쌍의 소포엽이 있으며, 가웅예가 없고, 준자방하위이며, 다수의 종자를 갖는 폐과인 점 등으로 자금우과와 앵초과 식물과 구별된다. 빌레나무는 엽신, 화관 및 소포엽의 형태, 엽연부의 거치의 유무, 화통과 화관열편의 길이의 비율, 과실 표면의 특성 및 색깔에 의해 각각 중국, 대만 및 일본에 분포하는 M. salicifolia와 M. montana var. formosana와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꼬마냉이는 경생엽의 소엽 수 및 정소엽의 크기, 한 화서에 붙는 꽃의 수, 자방 및 열매의 백색 연모의 유무의 특징에 의해 국내 고유종인 벌깨냉이 (C. glechomifolia)와 명백히 구분되었다.

ITS 염기서열에 의한 미치광이풀속의 계통 (Phylogeny of Scopolia Jacq. s. str. based on ITS sequences)

  • 김영동;백진협;김성희;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73-386
    • /
    • 2003
  • Scopolia s. str.(미치광이풀속) 및 그 근연속인 Anisodus, Atropanthe 등을 대표하는 8 분류군으로부터 얻은 14개체를 대상으로 핵 ribosome DNA의 ITS 염기서열 결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반도 고유종인 S. parviflora(미치광이풀)은 ITS 전체 길이와 염기서열 변이에 있어서 근연종인 S. japonica와 매우 큰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두 종을 동일시했던 대부분의 분류학적 견해와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S. parviflora는 유럽에 격리분포하는 종인 S. carniolica와 더 가까운 계통유연관계를 나타냈다. S. japonica가 S. parviflora 및 S. carniolica와 높은 유전적 차이를 나타내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매우 높은 형태적 유사성을 보이는 것은 이들이 오랜 격리기간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생육환경에 처함으로 인해 형태진화가 지연되었거나 비슷한 형질을 갖는 방향으로 진화가 일어났을 것이라는 형태정체(morphological stasis) 개념으로 이해되었다. 다른 한반도 고유종인 S. lutescens(노랑미치광이풀)은 S. parviflora와 ITS 염기서열이 거의 동일하였고 계통수 상에서도 두 종에 속하는 개체들이 전혀 구분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연개체군 내에서 이들 두 종을 구분하는 주요 식별형질들의 유용성도 결여되어 S. lutescens는 S. parviflora의 품종 혹은 단순한 개체 변이로 이해되었다. 한편, Scopolia속으로 최초 기재되었다가 화분의 형질에 의해 Anisodus속으로 이전되었던 A. carniolicoides는 A. luridus 및 A. tanguticus와 단계통군을 형성하였으며 Anisodus는 단형속인 Atropanthe와 자매군 관계를 형성하였다.

미나리아재비과 동의나물아족의 종피형태와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Implications of Seed Coat in the Subtribe Calthinae (Ranunculaceae))

  • 허권;서영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6
    • /
    • 2008
  • 한국 고유종인 모데미풀의 분류학적 검토를 위하여 모데미풀과 근연분류군의 종피 형태를 관찰하였다. 모데미풀의 종피 형태는 외종피 세포가 책상조직모양의 후벽세포로 발달하는 외종피외층형으로 나타났고, 종피의 표면은 오목형 구조를 보였다. 근연분류군인 동의나물의 외종피 외층은 입방형(cuboid)이며, 표면구조는 매끄러워서 모데미풀과 같은 책상조직 형태의 후벽세포로 잘 발달하였으며, 종피 표면 구조는 오목형과 볼록형이 연속적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모데미풀속의 종피구조가 금매화속의 종피구조 범위내에 포함됨을 암시하고 있다. 따라서 동의나물 아족에서는 종피의 해부형태와 표면구조가 아족내에서 분류학적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종피의 표면구조와 행부형태 특징은 고유종인 모데미풀이 동의나물속이나 Calathodes속보다는 금매화속에 보다 가깝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종피의 오목형 표면구조와 잘 발달된 외종피 외층형 종피유형은 모데미풀과 금매화속이 함께 공유하는 형질이었다.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의 새로운 자생지 보고 - 경기도 여주시 자생지- (Recently Augmented Natural Habitat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in Yeoju-si, Gyunggi-do, Korea)

  • 이호영;김태관;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2-70
    • /
    • 2014
  • 본 연구는 새롭게 확인된 경기도 여주시 미선나무 자생지를 대상으로 식생현황 및 분포규모와 신규 자생지의 의미를 분석하고 향후의 보전 및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미선나무는 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특산식물로 1속 1종만이 존재한다. 그동안 보고된 미선나무 자생지는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중남부 지역에 편중되어 있었으나 여주시 자생지의 발견으로 분포역이 중부지역까지 확장되었다. 대상지는 $37^{\circ}20{\sim}21^{\prime}N$, $137^{\circ}43{\sim}21^{\prime}E$, 해발 99~120m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천을 끼고 있는 산자락 전석지대의 지형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자생지의 규모는 약 $530m^2$로 좁은 면적이었으며, 자생지 내에 미선나무는 약 1,200여 개체가 분포하고 있다. 출현하고 있는 개체들은 수고 0.5m 이하의 어린 개체가 대부분이었고, 1.0m 이상의 성숙한 개체는 약 300여 개체로 확인되었다. 여주시의 미선나무는 뿌리나 줄기를 이용한 영양번식에 의해 개체군이 유지 및 확산되고 있다. 자생지의 식생은 교목층에서는 리기다소나무와 갈참나무가 우점하고, 아교목층은 생강나무, 갈참나무, 신나무 등이 출현하고 있다. 관목층은 미선나무가 우점하는 가운데 국수나무, 회잎나무, 쥐똥나무 등이 출현하였으며, 초본층은 낮은 식피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