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laurat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18초

Interlaboratory Validation Study of In Vitro Alternatives to the Draize Eye Irritation Test : HET-CAM Test and Cytotoxicity Test for 20 Cosmetic Ingredients

  • 이호;김주현;홍진천;김기문;박문억;류창석;정민석;김종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9-138
    • /
    • 1999
  • 피부 전용 제재 개발을 위해 요구되는 동물 대체 시험법 중 가장 적극적으로 연구가 행하여지곤 실제 실용화가 예상되는 것은 안점막 자극 시험으로 지금까지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었지만 그 중 계란 유정란의 응모요막(CAM)을 이용한 방법이 현재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방법이 일부 국가에서 이미 안점막 자극 시험 동물 대체 시험법으로 공인되었으며 현재까지도 validation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국내에 적합한 안점막 자극 시험 동물 대체 시험법의 공인 시험법 개발 및 validation study를 목표로 계란 유정란의 응모요막을 이용한 방법 중 HET-CAM 방법을 시행하였으며 안점막 동물 대체 시험법으로 확립하고자 하였다. 틴ET-CAM 방법의 보완을 위해 배양된 세포를 통해 자극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인 Cytotoxicity test를 도입하여 시행하였으며 두 방법의 data들을 분석하여 validation study를 수행하였다. 국내 유수의 6개 장업사가 본 연구에 참가하여 20가지의 화장품 전용제재를 대상으로 1차, 2차 validation study 를 진행하였다. HET-CAM test, Draize eye irritation test, Cytotoxicity test 측정 결과 HET-CAM 의 “Q” 수치는 대부분 강자극 수치인 2 이상이었고 10% sodium hydroxide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Tween 20(sorbitanpolyoxyethylene monolaurate) 100%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In vi패의 경우 10% sodium hydroxide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30군 propylene glycol 이 가장 낮은 자극수치를 보였다. HET-CAM test 와 Draize eye irritation test, Cytotoxicity test 간의 상관성 분석은 linear correlation coefficient 와 rank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여 비교하였으며 6개 장업사(A-F)의 실험실에서의 HET-CAM test 결과를 취합하여 각각 두 실험실간의 상관관계(linear correlation)를 분석하였다. Linear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 결과를 보면 전반적으로 상관관계가 0.589 - 0.954의 범위였으며, 특히 A사와 B사 사이의 경우 0.954이었으며, E사와 D사 사이의 경우 0.942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 외에도 A사와 D사 사이의 경우(0.589)와 B사와 D사 사이의 경우(0.638)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Microencapsulation of Caramel Flavor and Properties of Ready-to-drink Milk Beverages Supplemented with Coffee Containing These Microcapsules

  • Kim, Gur-Yoo;Lee, Jaehak;Lim, Seungtae;Kang, Hyojin;Ahn, Sung-Il;Jhoo, Jin-Woo;Ra, Chang-Six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80-791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extend the retention of flavor in coffee-containing milk beverage by microencapsulation. The core material was caramel flavor, and the primary and secondary coating materials were medium-chain triglyceride and maltodextrin, respectively. Polyglycerol polyricinoleate was used as the primary emulsifier, and the secondary emulsifier wa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employed to determine optimum microencapsulation conditions, and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was used to detect the caramel flavor during storage. The microencapsulation yield of the caramel flavor increased as the ratio of primary to secondary coating material increased. The optimum ratio of core to primary coating material for the water-in-oil (W/O) phase was 1:9, and that of the W/O phase to the secondary coating material was also 1:9. Microencapsulation yield was observed to be approximately 93.43%. In case of in vitro release behavior, the release rate of the capsules in the simulated gastric environment was feeble; however, the release rate in the simulated intestinal environment rapidly increased within 30 min, and nearly 70% of the core material was released within 120 min. The caramel flavor-supplemented beverage sample exhibited an exponential degradation in its flavor components. However, microcapsules containing flavor samples showed sustained flavor release compared to caramel flavor-filled samples under higher storage temperatures.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coffee flavor microcapsules to coffee-containing milk beverages effectively extended the retention of the coffee flavor during the storage period.

유산균 함유 이중층 미세캡슐화를 위한 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Conditions for the Double Layer Microencaps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 박병규;이종혁;신혜경;이재환;장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67-772
    • /
    • 2006
  • 유산균의 일종인 Lactobacillus sp.을 중심물질로 하고 그 바깥을 2중층으로 미세캡슐화하는 공정을 위한 최적 조건을 확립하였는데, [중심물질]과 [피복물질]의 혼합비율과 유화제 첨가농도, 2중층 유화계내의 2종류 유화제(PGPR/PSML)에 의한 상승효과, 분산액의 온도 및 분산액의 교반속도가 유산균함유 2중층 미세캡슐화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W/O형 및 W/O/W형 유화계내에서의 중심물질과 피복물질의 혼합비율과 유화제 첨가농도에 다른 최적조건을 탐색한 결과, Lactobacillus sp.(Cm)와 옥배경화유(Wm)와의 혼합비율이 [W/O형 Cm]:[W/O형 Wm]=3:2(w/w), 1.00%의 유화제(PGPR) 첨가농도에서 최대의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유산균을 옥배경화유가 단일층으로 둘러싼 W/O형 유화계와 다당류 호화액의 혼합비율 즉, [W/O/W형 중심물질, CM]:[W/O/W형 피복물질, WM]=1:3(w/w) 0.65%의 유화제(PSML) 농도에서 가장 높은 미세캡슐화 수율을 얻을 수 있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최종적으로, 유산균 2중층 미세캡슐화 공정을 위한 여러 가지 요인들 중 물리적인 조건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분산매의 온도가 10$^{\circ}C$이며, 미세캡슐을 함유하는 분산액 제조시의 교반정도가 270rpm일 때 2중 미세캡슐화의 가장 높은 수율을 확인 할 수 있다.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정제어유 미세캡슐화 공정의 최적화 및 미세캡슐 저장안정성 분석 (Optimization of Fish Oil Microencapsulat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Its Storage Stability)

  • 장판식;하재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46-653
    • /
    • 2000
  • ${\omega}3$계 고도불포화 지방산의 한 종류인 DHA(docosahexaenoic acid, $C_{22:6},\;{\omega}3$)를 함유하는 정제어유를 중심물질로 하고 agar와 waxy corn starch를 피복물질로하여 미세캡슐화 공정을 수행할 때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이용하여 최적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때 정제어유 미세캡슐화의 수율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5% cupric acetatepyridine 용액에 발색정도가 뛰어난 oleic acid를 정제 어유내에 20%(w/w) 농도로 첨가하여 중심물질로 사용하였다. 반응표면분석결과 최적화된 미세캡슐화 조건은 [중심물질, Cm]:[피복물질, Wm]의 비율 =4.9 : 5.1(w/w), 유화제(sorbitan monolaurate, H.L.B. 16.7)의 농도 = 0.48%(w/w), 분산매의 온도 = $19.4^{\circ}C$이었고, 실제 이 조건에서 99.9%의 수율을 보였다. 또한 최적 조건하에서 제조된 미세캡슐물질 저장을 위한 최적 온도 및 pH는 각각 $25{\circ}C$와 pH 7.0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25^{\circ}C$, pH 7.0의 분산매내에서 7일간 저장한 후에도 99%이상의 미세캡슐이 안정한 상태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 PDF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양파유 미세캡슐화 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Onion Oil Microencapsulat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홍은미;유문균;노봉수;장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37-443
    • /
    • 2002
  • 생체내에서 각종 생리활성이 있는 양파유의 기능성 및 저장성 향상을 위하여 agar와 gelatin이 혼합되어 있는 물질을 피복물질로 사용하여 양파유(중심물질)를 미세하게 캡슐화하는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먼저 양파유 미세캡슐화 수율을 예민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ethyl acetate 추출 및 gas chromatography 기술을 사용하여 확립하였다. 확립된 미세캡슐화 수율 측정법을 사용하여 양파유 미세캡슐화를 위한 제반 공정조건들, 즉 [중심물질, Cm] : [피복물질, Wm]의 비율($X_1$), 분산액의 온도($X_2,\;^{\circ}C$), 분산액내의 detergent 농도($X_3$, %(w/v)), 유화체의 농도($X_4$, %(w/w)) 등의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공정 최적화를 위해서는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이용하였다. RSREG 처리 결과, 4가지 독립변수가 각각 변화함에 따른 미세캡슐화 수율(Y, %)에 대한 회귀식은 $Y=97.028571-0.775000(X_1)-0.746726(X_1){\cdot}(X_1)-1.100000(X_3){\cdot}(X_2)$으로 표현되었으며, 반응표면분석 결과 양파유 미세캡슐화를 위한 최적화 조건으로서 [중심물질, Cm] : [피복물질, Wm]의 비율은 4.5 : 5.5(w/w), 분산액의 온도는 $17.1^{\circ}C$, 분산액내 detergent농도는 0.037%(w/w), 유화제(sorbitan monolaurate, HLB 16.7)의 농도는 0.42%(w/w)인 것으로 판명되었으며(미세캡슐화 수율의 최대 예측값은 95.7%), 이상의 최적조건하에서 양파유 미세캡슐화를 실제 수행한 결과 96.2%의 미세캡슐화수율 실측값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RSM에 의하여 결정된 미세캡슐화 최적 조건은 ${\pm}5%$ 오차범위내에서의 높은 신뢰성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실제 미세캡슐화 공정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